간질ㆍ치매 치료 신기술 개발
![]() |
경상대 김명옥 교수
|
김명옥 교수팀, siRNA기법으로 간질ㆍ신경세포 퇴화 치료 가능..국제특허 출원
(진주=연합뉴스) 지성호 기자 = 경남 진주 경상대학교 연구진이 간질ㆍ치매 등 신경 장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경상대는 이 대학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김명옥 교수 연구팀이 신경세포의 확산ㆍ이동ㆍ분화ㆍ시냅스 형성 역할을 하는 GABAB수용체(신경전달물질)를 'siRNA기법(유전자를 잘게 잘라 세포 속에 주입하는 것)'으로 조절해 간질이나 알코올성 신경 장애, 신경세포 퇴화를 치료할 수 있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5일 밝혔다.
김 교수는 "약물에 민감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갖는 GABAB수용체의 활성을 RNA 간섭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알코올과 간질 유발 물질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알코올이나 약물로 세포질 내 칼슘이온 농도가 증가하고 미토콘드리아를 자극해 신경세포 사멸의 신호물질로 작용한다. 이는 치매와 신경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인데 RNA간섭으로 세포질 내 칼슘이온 농도를 낮춰 신경세포 내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한다"고 설명했다.
RNA 간섭법은 유전자의 발현을 효율적으로 억제해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김 교수팀은 '간질 및 알코올성 태아 뇌신경 장애-GABAB 수용체 siRNA는 신경 신호 전달을 조절한다'는 제목의 논문을 신경과학분야 학술지인 'Synapse(시냅스)' 2010년 1월 인터넷판에 게재한 데 이어, 3월 출판되는 학술지에 발표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siRNA를 이용한 신경장애 질환 치료 기술'을 2009년 8월 특허 등록했고 같은 해 11월 국제특허를 출원, 발명자 기술권을 보유하고 있다.
김 교수는 "siRNA를 이용한 신경장애 제어 기술은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며 "연구팀에서 개발해 특허권을 가진 '천연 신경세포 보호물질'을 함께 사용하면 신경세포 재생 효과는 더욱 크다"고 말했다.
shchi@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의학,헬스케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염 천적 초록입 홍합 (0) | 2010.01.27 |
---|---|
손이 떨리는 것은 뇌졸중(중풍)의 초기 증상이다? (0) | 2010.01.26 |
전립선암, 간단한 피검사만으로도 중년남의 삶이 달라진다 (0) | 2010.01.25 |
건강 100세’ 위한 첫째 수칙 … 폐렴 백신 맞을 것 (0) | 2010.01.25 |
대장암 예방 위해 먹어야 할 것과 먹지 말아야 할 것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