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02/03 11:31
http://blog.naver.com/support_gw/40179496700
대한민국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012년 처음으로 1천100조원을 돌파했다. 이를 통계청의 추계인구(5천만명)로 나누어 계산할 때 1인당 실질 GDP는 2천207만원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작년 글로벌 시장에서 거둔 사상최고 매출액의 5.5배 정도다.
한국은행의 '2012년 연간 국내총생산 속보치'를 보면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가 작년에 국내에서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해 합산하고서 물가변동 등을 고려해 산출한 실질 GDP는 1천103조4천673억원이다.
작년에는 2011년 1천81조5천939억 원보다 2% 늘었다. 우리나라는 2010년(1천43조6천663억원)에 실질GDP 1천조 원 달성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당해연도의 총생산물을 당해연도의 가격(경상가격)으로 계산한 명목 GDP를 근거로 1인당 국민소득(GNI)을 산출한다. 작년 명목 GDP와 1인당 GNI는 3월 중 발표될 예정이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315조원으로 31.7%를 차지했다. 제조업이 한국경제의 1/3가량을 차지한다는 중요한 함의를 갖게 된다.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104조원), 금융보험업(72조원), 부동산 및 임대업(69조원), 공공행정 및 국방(58조원), 교육서비스업(44조원)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작년 실질GDP 증가율이 2%의 부진한 흐름을 보인 것과 달리 삼성전자, 현대차 등 국내 글로벌 대기업은 눈부시게 성장했다. 하지만, 연일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던 두 대기업인 만큼 어느 정도 예상했던 결과다. 구체적으로 국외 생산분과 현지 판매가 매출의 85%를 넘는 삼성전자의 작년 매출실적(201조원)은 실질GDP의 18%에 달한다. 2011년 비중 15%보다 3%포인트 증가했다.
작년 삼성전자와 현대차(84조5천억원) 실적을 더하면 두 기업의 매출액은 실질GDP의 26%까지 치솟는다. 한국을 대표하는 두 대기업의 글로벌 발전은 분명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너무 집중화되어 있는 현상은 긍정적으로만 바라보기 어렵다. 특히 이와 같은 대기업 성장은 이명박 정부에서의 낙수효과 실패 및 대기업 집중화 현상도 일부 영향을 미친 만큼 이를 성장을 유지하면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강구될 필요가 있다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文 의원, 대선 후보 지낸 사람의 말 무게 생각해야기사100자평(15) 크게 작게요즘싸이 공감조선블로그MSN 메신저입력 : 2013.10.07 03:06 (0) | 2013.10.07 |
---|---|
文 의원, 대선 후보 지낸 사람의 말 무게 생각해야기사100자평(15) 크게 작게요즘싸이 공감조선블로그MSN 메신저입력 : 2013.10.07 03:06 (0) | 2013.10.07 |
아픈 역사의 현장에 무관심한 우리 (0) | 2013.10.07 |
정치보복은 있다 (0) | 2013.10.07 |
남자들이 말하는 ‘사무실의 그녀들’ (0) | 201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