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탄생 100년 정주영, 지하에서 묻는다 “이봐 해봤어?”

화이트보스 2015. 11. 24. 16:31

탄생 100년 정주영, 지하에서 묻는다 “이봐 해봤어?”

PDF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내일은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태어난 지 100년이 되는 날이다. 한국의 성장 신화를 이끌었던 위대한 기업가, 새삼 그가 그리워지는 이유는 많다. 무엇보다 성장이 멈춰 선 한국 경제호를 되살릴 처방을 그라면 가지고 있을 것이란 기대가 그것이다.

 정주영이야말로 기업가 정신의 화신이다. “이봐, 해봤어?”는 그의 기업가 정신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도전·창의·혁신과 실천, 스스로의 능력에 한계를 짓지 않는 불굴의 도전정신이 담겨 있다. 못 배우고 가진 돈도 없는 가출 소년이 세계적인 기업의 총수가 된 것도 이런 정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배짱과 뚝심을 말해주는 일화는 차고 넘친다. 세계 최대 조선소를 짓겠다며 거북선이 그려진 500원짜리 지폐 한 장으로 선박을 수주한 그의 도전은 오늘날 세계 1위 조선 강국을 만든 원동력이 됐다. 1970년대 중반 오일쇼크 땐 중동 진출을 결정했다. 모래 투성이에 40도를 넘는 폭염, 물도 없는 곳에서 어떻게 공사를 하냐며 모두 말릴 때였다. 그는 “낮에 자고 공사는 밤에 하면 된다. 모래가 많은 건 콘크리트 시멘트를 만들 때 도움이 된다. 물은 유조선을 만들어 가져온 뒤 돌아갈 땐 석유를 싣고 가면 된다”고 했다. 역발상도 이런 역발상이 없었다. ‘20세기 최대 역사(役事)’로 불린 페르시아만 주베일 공사를 따낸 힘이 여기서 나왔다. 공사 경험도 없었지만 공기를 8개월 단축해 국제신용도를 높였다. 한국 건설업의 중동신화는 이렇게 시작했다.

DA 300


 기업가 정신은 역사와 국가를 바꾸는 원동력이다. 기업가 정신이 약한 나라엔 미래가 없다. 혁신이 멈추기 때문이다. 미국이 강하고 중국이 떠오르는 이유도 구글·애플과 샤오미의 혁신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한국은 어떤가. 기업가 정신 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22위다. 대만·싱가포르는 물론 터키에도 뒤진다. 도전과 혁신을 꿈꾸는 젊은이는 찾기 어렵고 3포·5포니 ‘헬조선’이니 비관과 좌절만 늘고 있다. 정주영이 살아있다면 물을 것이다. “이봐, 해봤어?”
AD


[출처: 중앙일보] [사설] 탄생 100년 정주영, 지하에서 묻는다 “이봐 해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