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신재생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풍력 산업

화이트보스 2008. 10. 20. 20:44
 

부산시, 신·재생 에너지, 풍력 산업 … 녹색성장 깃발 들다 [중앙일보] 온실가스 10%감축 로드맵 확정

가달지구에 풍력 관련 부품단지

내년 기후변화연구센터 설치도  

 부산 기장군 동백리 일원에 동부산권 수소+신·재생에너지 복합타운이 들어선다. 또 강서구 가달지구에 녹색성장 거점 산업단지인 풍력부품단지가 조성된다.


부산기후변화연구센터(가칭)가 설립되고 부산시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담부서가 설치된다.


부산시는 저CO2 녹색성장을 위해 4개 분야 24개 과제를 선정,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현재 1. 2%에서 10%로 끌어올리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10% 줄여나가는 ‘저CO2 녹색성장을 위한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2011년까지 국비 1972억원, 시비 2792억원, 민자 2881억원 등 모두 7645억원을 투입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저CO2 사회 구현을 위한 기반 구축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사업 추진 ▶범시민 역량강화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리기 위해 국비 400억원, 시비 200억원, 민자 400억원 등 1000억원을 투입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기장군에 10㎿급 규모의 수소+신·재생에너지 복합시범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 곳에서는 원자력 수소, 하천해양퇴적물로부터 3㎿급의 수소에너지를 개발하고 태양광 발전 1000㎾ 1기, 풍력발전 3000㎾ 2기, 해수온도차 이용 발전 100㎾ 3기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7.3㎿급 수소에너지를 개발한다. 또 총 10㎿급 수소에너지 저장기술 개발, 수소스테이션 설치,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시행한다.


시는 내년 2월부터 부산수산과학연구소와 시범타운 조성을 협의하고 국비예산을 신청할 예정이다.


시는 또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강서구 가달지구에 38만5000㎡의 풍력관련 부품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부산대 솔라파크 조성사업은 500억원이 투입돼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태양광발전소 3㎿, 풍력 등 발전시설과 교육·연구 등의 기능을 갖춘 복합단지사업으로 진행된다.


시는 녹색성장을 위한 대응방안 강구와 정보수집 분석 등을 위해 전문 연구원 3명과 20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되는 부산기후변화연구센터를 내년부터 설치·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또 올해부터 2013년까지 강서구 생곡동 부산환경자원공원에 1037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하루 900t 규모의 생활폐기물 연료화시설과 하루 500t 규모의 전용보일러를 설치하고 25㎿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 녹색성장 깃발 들다 [중앙일보] 온실가스 10%감축 로드맵 확정

가달지구에 풍력 관련 부품단지

내년 기후변화연구센터 설치도  

 부산 기장군 동백리 일원에 동부산권 수소+신·재생에너지 복합타운이 들어선다. 또 강서구 가달지구에 녹색성장 거점 산업단지인 풍력부품단지가 조성된다.


부산기후변화연구센터(가칭)가 설립되고 부산시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담부서가 설치된다.


부산시는 저CO2 녹색성장을 위해 4개 분야 24개 과제를 선정,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현재 1. 2%에서 10%로 끌어올리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10% 줄여나가는 ‘저CO2 녹색성장을 위한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2011년까지 국비 1972억원, 시비 2792억원, 민자 2881억원 등 모두 7645억원을 투입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저CO2 사회 구현을 위한 기반 구축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사업 추진 ▶범시민 역량강화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리기 위해 국비 400억원, 시비 200억원, 민자 400억원 등 1000억원을 투입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기장군에 10㎿급 규모의 수소+신·재생에너지 복합시범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 곳에서는 원자력 수소, 하천해양퇴적물로부터 3㎿급의 수소에너지를 개발하고 태양광 발전 1000㎾ 1기, 풍력발전 3000㎾ 2기, 해수온도차 이용 발전 100㎾ 3기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7.3㎿급 수소에너지를 개발한다. 또 총 10㎿급 수소에너지 저장기술 개발, 수소스테이션 설치,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시행한다.


시는 내년 2월부터 부산수산과학연구소와 시범타운 조성을 협의하고 국비예산을 신청할 예정이다.


시는 또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강서구 가달지구에 38만5000㎡의 풍력관련 부품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부산대 솔라파크 조성사업은 500억원이 투입돼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태양광발전소 3㎿, 풍력 등 발전시설과 교육·연구 등의 기능을 갖춘 복합단지사업으로 진행된다.


시는 녹색성장을 위한 대응방안 강구와 정보수집 분석 등을 위해 전문 연구원 3명과 20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되는 부산기후변화연구센터를 내년부터 설치·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또 올해부터 2013년까지 강서구 생곡동 부산환경자원공원에 1037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하루 900t 규모의 생활폐기물 연료화시설과 하루 500t 규모의 전용보일러를 설치하고 25㎿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 녹색성장 깃발 들다 [중앙일보] 온실가스 10%감축 로드맵 확정

가달지구에 풍력 관련 부품단지

내년 기후변화연구센터 설치도  

  

 부산 기장군 동백리 일원에 동부산권 수소+신·재생에너지 복합타운이 들어선다. 또 강서구 가달지구에 녹색성장 거점 산업단지인 풍력부품단지가 조성된다.


부산기후변화연구센터(가칭)가 설립되고 부산시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담부서가 설치된다.


부산시는 저CO2 녹색성장을 위해 4개 분야 24개 과제를 선정,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현재 1. 2%에서 10%로 끌어올리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10% 줄여나가는 ‘저CO2 녹색성장을 위한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2011년까지 국비 1972억원, 시비 2792억원, 민자 2881억원 등 모두 7645억원을 투입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저CO2 사회 구현을 위한 기반 구축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사업 추진 ▶범시민 역량강화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리기 위해 국비 400억원, 시비 200억원, 민자 400억원 등 1000억원을 투입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기장군에 10㎿급 규모의 수소+신·재생에너지 복합시범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 곳에서는 원자력 수소, 하천해양퇴적물로부터 3㎿급의 수소에너지를 개발하고 태양광 발전 1000㎾ 1기, 풍력발전 3000㎾ 2기, 해수온도차 이용 발전 100㎾ 3기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7.3㎿급 수소에너지를 개발한다. 또 총 10㎿급 수소에너지 저장기술 개발, 수소스테이션 설치,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시행한다.


시는 내년 2월부터 부산수산과학연구소와 시범타운 조성을 협의하고 국비예산을 신청할 예정이다.


시는 또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강서구 가달지구에 38만5000㎡의 풍력관련 부품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부산대 솔라파크 조성사업은 500억원이 투입돼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태양광발전소 3㎿, 풍력 등 발전시설과 교육·연구 등의 기능을 갖춘 복합단지사업으로 진행된다.


시는 녹색성장을 위한 대응방안 강구와 정보수집 분석 등을 위해 전문 연구원 3명과 20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되는 부산기후변화연구센터를 내년부터 설치·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또 올해부터 2013년까지 강서구 생곡동 부산환경자원공원에 1037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하루 900t 규모의 생활폐기물 연료화시설과 하루 500t 규모의 전용보일러를 설치하고 25㎿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