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다시 읽기] (16)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 Ⅲ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4.25 03:51
[서울신문] 명 조정이 왕세자로 승인하는 것을 거부하면서부터 광해군은 안팎으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1604년, 명나라 제독주사(提督主事) 섭운한(雲翰)은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해 달라고 온 조선 사신들에게 극언을 퍼부었다.'임해군이 일본군에 포로가 된 것은 너희 국왕의 책임'이며 '맏아들 대신 둘째아들을 왕세자로 세우려는 너희들은 금수(禽獸)와 다를 바 없는 난신적자(亂臣賊子)'라고 매도했다. 신종(神宗) 황제는 명 조정의 신료들이 워낙 강경하게 반대하자 조선에 보낸 칙서(勅書)에서, 맏아들 임해군을 왕세자로 다시 세우고, 광해군에게는 물러남으로써 윤서(倫序)를 지키라고 촉구했다. 광해군에게는 절체절명의 위기였다. 임진왜란에 참전했던 이후, 과거보다 훨씬 대하기가 버거워진 명이었다. 그런데 바로 그 명의 황제가 조선에 보낸 칙서에서 '물러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것의 정치적 파괴력은 엄청난 것이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부왕 선조가 광해군을 대하는 태도도 달라지고 있었다.1600년(선조 33) 무렵부터 특히 그러했다.
● 선조, 광해군의 아침 문안조차 냉대
당시 선조는 정릉동(貞陵洞) 행궁(行宮-오늘날의 덕수궁)에 거처했다. 광해군은 아침마다 선조의 처소로 문안 인사를 드리러 갔지만 선조는 좀처럼 그를 방으로 불러들여 접견하려 하지 않았다.
1600년 3월30일자 '선조실록(宣祖實錄)'에는 선조가 워낙 엄하게 대해 광해군은 문안할 적마다 처소의 바깥문에 머물다가 돌아가곤 했다고 적혀 있다. 선조의 냉랭한 태도에 광해군이 불안해지는 것은 당연했다.1601년의 기록을 보면 광해군은 아침에 문안하고, 점심에도 문안하는 날이 있었다. 그것은 선조의 냉랭한 태도에서 비롯된 불안감, 그럴수록 더 인정받고 싶다는 초조함이 반영된 행동이었을 것이다.
1600년, 중전 박씨가 세상을 떠나자 상황은 더 어려워졌다. 이듬해 10월, 예조(禮曹)는 중전의 자리가 오랫동안 비어 있음을 들어 선조에게 재혼하라고 건의한다. 선조는 별다른 망설임 없이 이를 받아들인다.
● 왕세자 책봉 재건의 거부·논공행상 제외
1602년 4월, 조정 신료들은 명나라에 주청사(奏請使)를 보내 왕세자 책봉을 다시 요청하자고 건의한다. 선조는 그것을 일언지하에 거절한다.'중전의 책봉을 먼저 주청하여 국모(國母) 자리를 바르게 한 다음에 왕세자 책봉을 주청해야 인륜이 바로 선다.'는 것이 이유였다.
임진왜란 시기 무려 15번이나 스스로 왕위에서 물러나겠다고 했던 그 '선조'가 아니었다.1603년, 왜란 당시 국난 극복에 노력했던 인물들을 공신(功臣)으로 책봉하는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벌어졌을 때, 신료들은 광해군도 공신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건의했다. 분조(分朝) 활동의 성과를 인정하자는 주장이었다.
선조는 그것도 거부했다.
선조의 태도는 분명 광해군에 대한 견제였다. 임진왜란 시기 지존의 권위에 흠집이 생긴데다, 명군 지휘부에 의해 '무능한 임금'이자 '퇴위시켜야 할 대상'으로 매도되었던 울분이 광해군에게 향한 것인지도 몰랐다. 권력이란 분명 부자(父子) 사이에도 공유될 수 없는 것이었다.
1602년 2월, 선조는 이조정랑(吏曹正郞) 김제남(金悌男)의 딸을 새로운 왕비로 맞았다. 광해군과 화동(和同)할 수 없는 악연을 맺었던 인목왕후(仁穆王后)였다. 다시 4년 뒤 인목왕후의 몸에서 아들(永昌大君)이 태어났다.
왕세자 광해군의 앞길은 그야말로 첩첩산중이었다.'왕세자 책봉'을 주청하는 것에 선조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자 일부 신료들은 그의 마음이 광해군에게서 이미 떠났다고 판단했다.
적자(嫡子)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아예 영창대군 앞에 드러내 놓고 '줄을 서는' 신료들이 나타났다.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1607년 3월부터 선조는 잔병치레를 하더니 10월에는 쓰러져 병석에 드러누웠다.10월11일, 선조는 병석에서 비망기(備忘記)를 내려 광해군에게 전위(傳位)하겠다고 했다. 여의치 않으면 섭정(攝政)이라도 맡기라고 지시했다.
유영경 등은 병석에 누운 선조에게 결사적으로 매달렸다.'이 상태로도 충분히 정사를 담당하실 수 있으니 전위나 섭정의 명을 거두시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선조가 내린 비망기의 내용을 숨기려고 시도했다.
광해군 또한 선조가 쓰러진 뒤부터 궐내에 머물면서 시질(侍疾-병구완)에 들어갔다. 긴장 속에 시간이 흐르고 있었다.
1608년 1월, 전 참판 정인홍(鄭仁弘)은 선조에게 상소하여 광해군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몸조리에 전념하라고 건의했다. 그러면서 유영경이 정당한 전위를 방해했으니 처단하라고 촉구했다. 또 다른 돌발상황이었다. 선조는 정인홍의 상소 내용에 발끈했다. 다시 비망기를 내려 '명의 승인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바로 전위하면 나중에 명에서 문제를 삼을 수도 있다.'고 했다. 쓰러진 직후에는 바로 전위하겠다고 하더니 정인홍의 상소를 접한 뒤 마음이 다시 흔들린 것이다.
● 왕세자 16년… 국내외 견제 딛고 즉위
광해군은 바짝 엎드렸다.
'변변치 못한 제가 감당할 수 없는 지위에 있는데 갑자기 전섭(傳攝)하라시니 죽으려 해도 되지 않았습니다. 유영경이 전섭을 만류한 것은 제 뜻과 다르지 않은데 정인홍이 입에 담지 못할 말을 만들어 냈으니 그저 죽고 싶을 뿐입니다.'라고 했다.
격분한 선조의 입에서 무슨 말이 나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광해군은 기로에 서있었다.
1608년 2월1일, 선조가 세상을 떠났다. 광해군이 즉위했다. 왕세자가 된 지 16년 만의 일이었다.
이윽고 2월6일,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을 고부청시승습사(告訃請諡承襲使)로 삼아 베이징으로 보냈다. 선조의 승하 사실을 명 조정에 알려 시호(諡號)를 내려줄 것을 요청하고, 광해군의 즉위도 승인받아 오는 임무를 지닌 사절이었다.
명 조정은 결코 만만치 않았다.
이호민 일행이 4월12일, 광해군의 즉위를 승인해 달라는 주본(奏本)을 올렸을 때, 명 예부는 다시 차서(次序) 문제를 걸고 넘어졌다. 여전히 둘째아들 광해군은 승인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당황한 이호민은 "임해군은 중풍에 걸려 왕세자 자리를 감당할 수 없었다."고 따졌다. 그러자 명의 예부낭중(禮部郞中)은 임해군이 왕위를 사양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주본을 다시 가져오라고 요구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명 조정은 랴오양(遼陽)에 있는 요동도사(遼東都司)를 시켜 조선에 들어가 직접 상황을 파악하라고 지시했다.
'중풍' 운운한 것이 화근이었다.
6월15일, 명 차관(差官) 엄일괴(嚴一魁)와 만애민(萬愛民)이 서울로 들어왔다. 그들은 임해군을 직접 만나겠다고 우겼다. 당시 임해군은 역모 혐의를 받아 강화도 교동(喬桐)에 유배되어 있었다.
● 銀 풀어 위기 넘겨
난감한 일이었다. 임해군이 그들에게 무슨 말을 할지 알 수 없었다. 여차하면 명에 또 다시 결정적인 약점을 잡힐 판이었다.
그럴 경우, 또 얼마나 힘들고 지루한 실랑이를 벌여야 할 것인가?
광해군과 조선 조정은 이 대목에서 은(銀)을 풀었다. 엄일괴와 만애민에게 은 수만냥을 주었다.'칙사 대접'을 받은 그들은 임해군을 면담한 뒤, 조선 신료들에게 말했다.
"국왕에게 임해군을 잘 보호하여 박대하지 말라고 이르시오." 그리고는 은 궤짝을 챙겨 귀국길에 올랐다.
어느 새 광해군은 '국왕'이 되어 있었다.
광해군은 정치적 곤경을 타개하려고 어쩔 수 없이 은을 뇌물로 썼지만 그것은 좋지 않은 선례를 남겼다. 엄일괴와 만애민이 다녀간 뒤부터 요동에 있던 명나라 관리들은 입맛을 다셨다. 엄일괴 등이 조선에서 한밑천 크게 잡았다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이다.
이후 조선에 오는 명사(明使)들은 예외 없이 손을 벌렸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은 누르하치의 군사적 위협은 물론, 명사들의 '경제적 위협'에도 직면하게 되었다.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선조, 광해군의 아침 문안조차 냉대
당시 선조는 정릉동(貞陵洞) 행궁(行宮-오늘날의 덕수궁)에 거처했다. 광해군은 아침마다 선조의 처소로 문안 인사를 드리러 갔지만 선조는 좀처럼 그를 방으로 불러들여 접견하려 하지 않았다.
1600년 3월30일자 '선조실록(宣祖實錄)'에는 선조가 워낙 엄하게 대해 광해군은 문안할 적마다 처소의 바깥문에 머물다가 돌아가곤 했다고 적혀 있다. 선조의 냉랭한 태도에 광해군이 불안해지는 것은 당연했다.1601년의 기록을 보면 광해군은 아침에 문안하고, 점심에도 문안하는 날이 있었다. 그것은 선조의 냉랭한 태도에서 비롯된 불안감, 그럴수록 더 인정받고 싶다는 초조함이 반영된 행동이었을 것이다.
1600년, 중전 박씨가 세상을 떠나자 상황은 더 어려워졌다. 이듬해 10월, 예조(禮曹)는 중전의 자리가 오랫동안 비어 있음을 들어 선조에게 재혼하라고 건의한다. 선조는 별다른 망설임 없이 이를 받아들인다.
● 왕세자 책봉 재건의 거부·논공행상 제외
1602년 4월, 조정 신료들은 명나라에 주청사(奏請使)를 보내 왕세자 책봉을 다시 요청하자고 건의한다. 선조는 그것을 일언지하에 거절한다.'중전의 책봉을 먼저 주청하여 국모(國母) 자리를 바르게 한 다음에 왕세자 책봉을 주청해야 인륜이 바로 선다.'는 것이 이유였다.
임진왜란 시기 무려 15번이나 스스로 왕위에서 물러나겠다고 했던 그 '선조'가 아니었다.1603년, 왜란 당시 국난 극복에 노력했던 인물들을 공신(功臣)으로 책봉하는 논공행상(論功行賞)이 벌어졌을 때, 신료들은 광해군도 공신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건의했다. 분조(分朝) 활동의 성과를 인정하자는 주장이었다.
선조는 그것도 거부했다.
선조의 태도는 분명 광해군에 대한 견제였다. 임진왜란 시기 지존의 권위에 흠집이 생긴데다, 명군 지휘부에 의해 '무능한 임금'이자 '퇴위시켜야 할 대상'으로 매도되었던 울분이 광해군에게 향한 것인지도 몰랐다. 권력이란 분명 부자(父子) 사이에도 공유될 수 없는 것이었다.
1602년 2월, 선조는 이조정랑(吏曹正郞) 김제남(金悌男)의 딸을 새로운 왕비로 맞았다. 광해군과 화동(和同)할 수 없는 악연을 맺었던 인목왕후(仁穆王后)였다. 다시 4년 뒤 인목왕후의 몸에서 아들(永昌大君)이 태어났다.
왕세자 광해군의 앞길은 그야말로 첩첩산중이었다.'왕세자 책봉'을 주청하는 것에 선조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자 일부 신료들은 그의 마음이 광해군에게서 이미 떠났다고 판단했다.
적자(嫡子)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아예 영창대군 앞에 드러내 놓고 '줄을 서는' 신료들이 나타났다.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1607년 3월부터 선조는 잔병치레를 하더니 10월에는 쓰러져 병석에 드러누웠다.10월11일, 선조는 병석에서 비망기(備忘記)를 내려 광해군에게 전위(傳位)하겠다고 했다. 여의치 않으면 섭정(攝政)이라도 맡기라고 지시했다.
유영경 등은 병석에 누운 선조에게 결사적으로 매달렸다.'이 상태로도 충분히 정사를 담당하실 수 있으니 전위나 섭정의 명을 거두시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선조가 내린 비망기의 내용을 숨기려고 시도했다.
광해군 또한 선조가 쓰러진 뒤부터 궐내에 머물면서 시질(侍疾-병구완)에 들어갔다. 긴장 속에 시간이 흐르고 있었다.
1608년 1월, 전 참판 정인홍(鄭仁弘)은 선조에게 상소하여 광해군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몸조리에 전념하라고 건의했다. 그러면서 유영경이 정당한 전위를 방해했으니 처단하라고 촉구했다. 또 다른 돌발상황이었다. 선조는 정인홍의 상소 내용에 발끈했다. 다시 비망기를 내려 '명의 승인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바로 전위하면 나중에 명에서 문제를 삼을 수도 있다.'고 했다. 쓰러진 직후에는 바로 전위하겠다고 하더니 정인홍의 상소를 접한 뒤 마음이 다시 흔들린 것이다.
● 왕세자 16년… 국내외 견제 딛고 즉위
광해군은 바짝 엎드렸다.
'변변치 못한 제가 감당할 수 없는 지위에 있는데 갑자기 전섭(傳攝)하라시니 죽으려 해도 되지 않았습니다. 유영경이 전섭을 만류한 것은 제 뜻과 다르지 않은데 정인홍이 입에 담지 못할 말을 만들어 냈으니 그저 죽고 싶을 뿐입니다.'라고 했다.
격분한 선조의 입에서 무슨 말이 나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광해군은 기로에 서있었다.
1608년 2월1일, 선조가 세상을 떠났다. 광해군이 즉위했다. 왕세자가 된 지 16년 만의 일이었다.
이윽고 2월6일,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을 고부청시승습사(告訃請諡承襲使)로 삼아 베이징으로 보냈다. 선조의 승하 사실을 명 조정에 알려 시호(諡號)를 내려줄 것을 요청하고, 광해군의 즉위도 승인받아 오는 임무를 지닌 사절이었다.
명 조정은 결코 만만치 않았다.
이호민 일행이 4월12일, 광해군의 즉위를 승인해 달라는 주본(奏本)을 올렸을 때, 명 예부는 다시 차서(次序) 문제를 걸고 넘어졌다. 여전히 둘째아들 광해군은 승인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당황한 이호민은 "임해군은 중풍에 걸려 왕세자 자리를 감당할 수 없었다."고 따졌다. 그러자 명의 예부낭중(禮部郞中)은 임해군이 왕위를 사양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주본을 다시 가져오라고 요구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명 조정은 랴오양(遼陽)에 있는 요동도사(遼東都司)를 시켜 조선에 들어가 직접 상황을 파악하라고 지시했다.
'중풍' 운운한 것이 화근이었다.
6월15일, 명 차관(差官) 엄일괴(嚴一魁)와 만애민(萬愛民)이 서울로 들어왔다. 그들은 임해군을 직접 만나겠다고 우겼다. 당시 임해군은 역모 혐의를 받아 강화도 교동(喬桐)에 유배되어 있었다.
● 銀 풀어 위기 넘겨
난감한 일이었다. 임해군이 그들에게 무슨 말을 할지 알 수 없었다. 여차하면 명에 또 다시 결정적인 약점을 잡힐 판이었다.
그럴 경우, 또 얼마나 힘들고 지루한 실랑이를 벌여야 할 것인가?
광해군과 조선 조정은 이 대목에서 은(銀)을 풀었다. 엄일괴와 만애민에게 은 수만냥을 주었다.'칙사 대접'을 받은 그들은 임해군을 면담한 뒤, 조선 신료들에게 말했다.
"국왕에게 임해군을 잘 보호하여 박대하지 말라고 이르시오." 그리고는 은 궤짝을 챙겨 귀국길에 올랐다.
어느 새 광해군은 '국왕'이 되어 있었다.
광해군은 정치적 곤경을 타개하려고 어쩔 수 없이 은을 뇌물로 썼지만 그것은 좋지 않은 선례를 남겼다. 엄일괴와 만애민이 다녀간 뒤부터 요동에 있던 명나라 관리들은 입맛을 다셨다. 엄일괴 등이 조선에서 한밑천 크게 잡았다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이다.
이후 조선에 오는 명사(明使)들은 예외 없이 손을 벌렸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은 누르하치의 군사적 위협은 물론, 명사들의 '경제적 위협'에도 직면하게 되었다.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 > 1636년 병자호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광해군과 누르하치, 그리고 명나라 Ⅴ (0) | 2008.12.31 |
---|---|
(17) 광해군과 누르하치, 그리고 명나라 Ⅳ (0) | 2008.12.31 |
(15)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Ⅱ (0) | 2008.12.31 |
(14)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Ⅰ (0) | 2008.12.31 |
(13)누르하치, 명(明)에 도전하다Ⅴ (0) | 2008.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