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상의 긴장이 높아지는 것과는 별개로, 북한 함경북도 동해안에 있는 무수단리 미사일 시험장에선 장거리 미사일 대포동 2호 발사실험 준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2월 초 한·미 당국이 처음 이 움직임을 감지했을 때만 해도 발사까지 2개월 가까이 걸릴 것으로 봤지만, 오는 25일을 전후해 발사가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정일 은 지난 11일 우리의 국방장관에 해당하는 인민무력부장에 김영춘 차수를, 합참의장 격인 총참모장에 리영호 대장을 임명하는 등 북한 군 수뇌부 인사를 실시했다. 북한이 남쪽을 무력으로 도발할 때마다 전면(前面)에 나섰던 인물들이다. 북한은 서해에서든 동해에서든 그들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방식으로 도발을 감행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춰가고 있다고 대내외에 과시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12일 한나라당 청년위원회 회원들과 만나 "북한은 이런 식으로 협박을 계속하면서 살아왔는데 (그러지 말고) 자립해서 살아야 한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이 대통령은 최근 라디오 연설에선 "남북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원칙이며 서두르려 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 역시 옳은 지적이다. 그러나 지금은 옳은 말보다 언제 터질지 모를 북한 도발을 막을 현실적 대책이 필요하다. 정부가 겉으론 침착·평온한 듯해도 속으론 긴박하고 치밀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믿음을 국민에게 줘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다.
오는 19~20일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방한(訪韓)한다. 정부는 이를 계기로 북한의 NLL 도발,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막을 수 있는 외교적 압박과 설득의 국제 공조가 가동되고 있다는 사실을 북한에 보여줘야 한다. 한·미와 일본·중국·러시아 등 6자회담 참가국들이 공개적으로 하나의 목소리를 내 북한이 저지를지도 모를 위험한 도발에 사전 제동을 걸어야 한다. 이럴 때야말로 정부의 외교력이 제 역량 이상을 발휘해야 한다. 북한 도발을 사전 저지하려면 외교적 국제 공조와 우리 군의 철저한 대비가 맞물려 돌아가고 있음을 내외(內外)에 명확히 인식시켜야 한다.
'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 > 자주 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日), 독도 쉽게 점령할 수 있지만 한국 대마도 기습 땐 방어 곤란" (0) | 2009.02.19 |
---|---|
[스크랩] 전쟁난다! 중(中)어선 "뭔가 터질 듯… 피하고 보자?? (0) | 2009.02.15 |
北 미사일 발사 어떻게 탐지하나 (0) | 2009.02.13 |
음속8배 대포동 날아가도 세종대왕 손바닥 못 벗어나” (0) | 2009.02.13 |
샤프, 국회 국방위원장 등 5명 日 유엔사 후방기지 첫 초청 (0) | 2009.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