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北로켓발사] ICBM 기술 입증한 듯

화이트보스 2009. 4. 5. 15:08

[北로켓발사] ICBM 기술 입증한 듯

 

 

美본토도 위협 가능할 듯..안보지형 변화

북한이 5일 장거리 로켓 발사로 사실상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기술 능력을 입증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북한은 1970년대 후반 미사일 개발에 착수, 1984년 스커드-B 미사일 개발에 성공한 이후 25년만에 ICBM 기술 보유국 반열에 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사거리 3천㎞ 이상의 중거리 미사일(IRBM)을 실전배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거리 6천㎞ 이상의 ICBM 개발 능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왔지만 이번 발사 성공으로 그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났다.

북한이 발사한 로켓의 2단 추진체의 낙하지점이 애초 예고된 무수단 발사장 기점 3천600㎞에는 못미친 것으로 알려졌지만 1998년의 대포동 1호보다 더 멀리 낙하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ICBM 능력을 갖췄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아직 북한이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켰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그와 무관하게 상당 거리에 단계별 로켓을 낙하시켰다는 점만으로도 북한이 ICBM 능력을 사실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

이날 발사된 로켓의 2단 추진체는 일본 동쪽에서 1천270㎞ 지점에 떨어졌고 이는 무수단 발사장으로부터 2천300㎞가량 거리인 것으로 추정된다. 1998년 대포동 1호 로켓의 2단계 추진체는 1천646㎞ 지점에 떨어졌다.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북한이 인공위성을 발사한다 하더라도 사실상 미사일 기술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제재의 목소리를 높인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지금까지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쏘아 올린 국가는 러시아,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영국, 인도, 이스라엘, 이란 등 9개국으로, 이들 국가는 모두 막강한 화력의 ICBM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ICBM 기술 보유가 갖는 국제정치 및 군사적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핵폐기 문제로 미국과 기싸움을 벌이고 있는 북한 입장에서는 또 하나의 유효한 협상카드를 쥐게 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입지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군사적으로도 최대 사거리 8천㎞로 추정되는 대포동 2호가 미국까지 사정권에 둘 수 있기 때문에 국제 안보지형에도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무수단리를 기점으로 미국 본토 서부까지는 1만1천㎞이지만, 하와이 7천600㎞, 알래스카 7천400㎞로 사정권에 들어간다. 미국의 태평양 전진기지인 앤더슨 공군기지가 있는 괌까지는 불과 3천600㎞ 거리다.

탄두 무게에 따라 사거리를 충분히 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 본토까지 위협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물론 이날 발사한 대포동 2호에 탄두를 장착해 ICBM화 하더라도 그 사정권이 어디까지일지 현재로선 단언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한 군사전문가는 “2단로켓이 발사지점인 함북 무수단리로부터 북한이 제시한 좌표인 3천600㎞ 거리에 떨어졌다고 해도 실제 ICBM이 얼마나 날아갈지는 로켓의 속도와 단계별 로켓의 연소 종료시점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ICBM의 경우 탄두가 대기권 안으로 재진입해야 하며 그때 발생하는 초고열을 견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데 이를 확보했을지 여부도 아직 불투명하다.

북한의 ICBM 기술 확보는 예견된 것이었다.

북한은 1998년 8월31일 사전 예고없이 함북 무수단리에서 사거리 1천500~2천500㎞로 추정되는 3단식 로켓인 대포동 1호를 발사해 국제사회를 놀라게 했다.

당시 1단계 로켓은 발사지점으로부터 243㎞ 거리의 동해 공해상에 떨어졌고 2단계 로켓은 65㎞의 고도로 일본열도 상공을 지나 1천646㎞ 해상에 낙하했으며 3단계 로켓은 궤도진입에 실패해 대기 중에서 타버린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하지만 탄도미사일이나 인공위성 기술 중 하나인 다단로켓 기술은 상당수준임을 보여줬다. 이후 북한은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는 3단계 로켓의 고체연료 기술 확보에 나섰고 KN-02 미사일 개발로 소형로켓용 고체연료 기술을 확보했다.

지난 2월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한 이란과의 협력도 기술확보에 많은 도움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점들 때문에 북한이 대포동2호(은하2호) 발사가 인공위성용이라고 했을 때도 미국 정부는 “ICBM 능력 과시용”이라고 했고 러시아에서도 “ICBM 예행연습이 될 것”이란 관측이 흘러나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