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피할 수 있을까?- 뉴스위크(6월22일자)에 난 재미난 기사
- 포스트 상세 정보
- 2009-06-18 15:25:14
- 조회 (16589) | 추천 (2)
yongdka ywpark21
세계보건기구(WHO) 가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8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은 78.5세로 전 세계 193개국 중 공동 23위를 차지했으며, 한국남성과 여성의 평균 수명은 전년과 마찬가지로 각각 75세와 82세로 나타났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이번 뉴스위크호의 한 쪽짜리 기사는 미국인을 기준으로 한 내용인데, 아는 내용이지만 재미있는 것 같아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제목은 죽음을 피할 수 있는가? 아니다, 그렇지만 (노력하면) 늘일 수 있다고...
미국인 평균수명은 남성은 75.2세, 여성은 80.4세인데, 조절능력 밖이지만 관여 요인인 '가족병력, 국적, 지리적 특성'이 기대 수명을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우리 손안에 있다? 만약에 당신 생일의 촛불을 조금이라도 늘이려면 잇실(flossing)사용 부터 하라.(제가 이해한 내용입니다.)
요인별 기대수명 연장 정도는
+ 집안내력(혈통) 중 95세 이상 산 경우엔 +10년,
+ 단어맞추기나 숫자놀이(Sudoku)하기 , 결혼한 남자, 하루에 81mg 아스피린을 섭취하면 +5년
+ 매일 5가지 과일이나 채소를 먹으면 +3년
+ 매일 잇솔(실) 사용하기와 견과류를 간식으로 먹으면 +2년
+ 정기적으로 교회에 나가면 +1.7년, 결혼한 여자는 +0(좀 그렇지요)
그런데 기대수명을 까먹는 요인으로는
- 매일 커피를 다섯잔 이상 마시면 -0.5
- 하루에 6~8 시간이내로 자거나, 가족중 당뇨병력이 있으면 -1
- 선스크린을 바르지 않거나 야외활동이 많으면 -2.5
- 점차 몸무게가 늘거나, 종종 스트레스를 받고, 일주일에 두 번 이상 붉은 고기를 먹고, 정규교육을 12년 이내 받았을 경우엔 -5년,
- 다수의 파트너와 보호되지않는 성관계를 가지는 경우 -7년,
- 담배를 피울 경우 -15년, 마지막으로
- 정맥주사 또는 약을 복용하는 경우엔 -15년 등등 입니다.
참고하시고 건강한 삶을 누리세요
제목은 죽음을 피할 수 있는가? 아니다, 그렇지만 (노력하면) 늘일 수 있다고...
미국인 평균수명은 남성은 75.2세, 여성은 80.4세인데, 조절능력 밖이지만 관여 요인인 '가족병력, 국적, 지리적 특성'이 기대 수명을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우리 손안에 있다? 만약에 당신 생일의 촛불을 조금이라도 늘이려면 잇실(flossing)사용 부터 하라.(제가 이해한 내용입니다.)
요인별 기대수명 연장 정도는
+ 집안내력(혈통) 중 95세 이상 산 경우엔 +10년,
+ 단어맞추기나 숫자놀이(Sudoku)하기 , 결혼한 남자, 하루에 81mg 아스피린을 섭취하면 +5년
+ 매일 5가지 과일이나 채소를 먹으면 +3년
+ 매일 잇솔(실) 사용하기와 견과류를 간식으로 먹으면 +2년
+ 정기적으로 교회에 나가면 +1.7년, 결혼한 여자는 +0(좀 그렇지요)
그런데 기대수명을 까먹는 요인으로는
- 매일 커피를 다섯잔 이상 마시면 -0.5
- 하루에 6~8 시간이내로 자거나, 가족중 당뇨병력이 있으면 -1
- 선스크린을 바르지 않거나 야외활동이 많으면 -2.5
- 점차 몸무게가 늘거나, 종종 스트레스를 받고, 일주일에 두 번 이상 붉은 고기를 먹고, 정규교육을 12년 이내 받았을 경우엔 -5년,
- 다수의 파트너와 보호되지않는 성관계를 가지는 경우 -7년,
- 담배를 피울 경우 -15년, 마지막으로
- 정맥주사 또는 약을 복용하는 경우엔 -15년 등등 입니다.
참고하시고 건강한 삶을 누리세요
태그
'의학,헬스케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암 치료법으로 주목받는 ‘자기면역세포 이입요법’ (0) | 2009.06.22 |
---|---|
◐◈♤뇌졸중 약 만드는 법♤◈◑ (0) | 2009.06.22 |
[스크랩] 혈액 속에 있는 지방을 없애 주는 음식 (0) | 2009.06.20 |
[스크랩] 숨어있는 뇌경색 찾아내는법 (0) | 2009.06.20 |
수술 환자 5년 생존율 65%세계적 위암 전문의 노성훈 세브란스병원 교수 (0) | 200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