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탄도탄 방어’ 못하는 세종대왕함
서울신문 | 입력 2009.07.21 04:01
[서울신문]│필라델피아·포트워스 안동환특파원│국내 첫 이지스구축함인 세종대왕함(7600t급)이 2010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탄도미사일 요격 훈련을 실시한다.
그러나 내년 1월1일 실전 배치되는 세종대왕함의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이 조기에 확보될 가능성은 불투명해지고 있다. 군이 당초 도입 계획을 세운 대공 미사일 'SM-6'가 탄도탄 요격 능력이 없고 'SM-2 블록4'의 미국외 지역에서의 판매도 제한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군은 2010~2014년 '국방중기계획'을 통해 북한의 핵 및 탄도미사일에 대비한 세종대왕함의 해상 요격 능력을 증가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SM-6'와 'SM-2 블록4' 중에서 도입 방침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록히드마틴 관계자는 "SM-6는 탄도탄 요격 기능이 없고 SM-2 블록4는 종말 단계에서 요격이 가능하나 물량이 적어 미국 정부가 해외 판매를 승인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현재 세종대왕함에 배치된 SM-2 블록3A와 올해 장착될 SM-2블록3B는 탄도미사일에 대한 요격 능력이 아예 없다. 미국과 일본이 공동개발한 SM-3의 한국 판매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한편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에 록히드마틴이 제작 중인 스나이퍼 ATP(고성능 표적획득 장치)를 장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의 한 관계자는 이날 "내년부터 2012년까지 도입되는 F-15K 20대에 주·야간 타격능력을 높여주는 '스나이퍼(Sniper ATP)'가 장착될 것"이라며 "항공기 밑부분에 장착되는 스나이퍼로 인해 주·야간에 상관없이 지상 목표물에 대한 정찰 능력이 크게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스나이퍼는 9㎞ 안팎의 고고도에서 움직이는 지상표적 10개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최첨단 항법 및 조준장비이다. 록히드마틴 관계자도 "한국 공군을 위해 스나이퍼 2대를 제작 중이며 주한미군의 F-16에 장착된 랜틴(LANTIRN) 시스템보다 탐지 및 조준 거리가 3~5배 정도 길다."고 말했다. 대당 가격은 약 200만달러이다. 군 당국은 F-15K의 정밀 타격 능력을 유사시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시설 등을 제거하는 데 쓴다는 방안을 세워놓고 있다.
ipsofacto@seoul.co.kr
그러나 내년 1월1일 실전 배치되는 세종대왕함의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이 조기에 확보될 가능성은 불투명해지고 있다. 군이 당초 도입 계획을 세운 대공 미사일 'SM-6'가 탄도탄 요격 능력이 없고 'SM-2 블록4'의 미국외 지역에서의 판매도 제한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군의 한 소식통은 20일 "세종대왕함이 내년 8월쯤 하와이 해상에서 실시되는 환태평양훈련(림팩) 기간에 미국 해군과 함께 해상종합전술훈련(CSSQT)을 실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CSSQT는
이지스함의 체계 및 성능에 대한 전반적 시험 훈련이다. 이와 관련, 세종대왕함의 이지스 전투체계를 제작한 미 록히드마틴사의 도그 위넌드 국제 이지스프로그램담당 부사장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세종대왕함이 내년에 하와이나 샌디에이고 중 한 곳에서 미 해군과 공동으로 CSSQT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군은 2010~2014년 '국방중기계획'을 통해 북한의 핵 및 탄도미사일에 대비한 세종대왕함의 해상 요격 능력을 증가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SM-6'와 'SM-2 블록4' 중에서 도입 방침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록히드마틴 관계자는 "SM-6는 탄도탄 요격 기능이 없고 SM-2 블록4는 종말 단계에서 요격이 가능하나 물량이 적어 미국 정부가 해외 판매를 승인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현재 세종대왕함에 배치된 SM-2 블록3A와 올해 장착될 SM-2블록3B는 탄도미사일에 대한 요격 능력이 아예 없다. 미국과 일본이 공동개발한 SM-3의 한국 판매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한편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에 록히드마틴이 제작 중인 스나이퍼 ATP(고성능 표적획득 장치)를 장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의 한 관계자는 이날 "내년부터 2012년까지 도입되는 F-15K 20대에 주·야간 타격능력을 높여주는 '스나이퍼(Sniper ATP)'가 장착될 것"이라며 "항공기 밑부분에 장착되는 스나이퍼로 인해 주·야간에 상관없이 지상 목표물에 대한 정찰 능력이 크게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스나이퍼는 9㎞ 안팎의 고고도에서 움직이는 지상표적 10개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최첨단 항법 및 조준장비이다. 록히드마틴 관계자도 "한국 공군을 위해 스나이퍼 2대를 제작 중이며 주한미군의 F-16에 장착된 랜틴(LANTIRN) 시스템보다 탐지 및 조준 거리가 3~5배 정도 길다."고 말했다. 대당 가격은 약 200만달러이다. 군 당국은 F-15K의 정밀 타격 능력을 유사시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시설 등을 제거하는 데 쓴다는 방안을 세워놓고 있다.
ipsofacto@seoul.co.kr
'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 > 자주 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기밀문서로 본 ‘한반도 핵우산’의 실체 (0) | 2009.07.23 |
---|---|
우주로 가는 한국… '위대한 첫 출발' (0) | 2009.07.22 |
美 핵추진 잠수함, 발해만 인근서 감시·감청 작전 (0) | 2009.07.20 |
만재 75000t 영국 퀸엘리자베스급 차기 항모의 새로운 CG (0) | 2009.07.20 |
[스크랩] 전 국방부 정보본부장 박승춘 의 충격 증언! (0) | 2009.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