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노 전(前) 대통령 묘소에 보고서 바친 친일진상규명위원들

화이트보스 2009. 12. 1. 16:33

노 전(前) 대통령 묘소에 보고서 바친 친일진상규명위원들

입력 : 2009.11.30 23:17

 

성대경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과 상임위원, 일부 위원들이 28일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를 찾아가 '친일반민족행위 진상 보고서' 발간을 보고하고 보고서를 바쳤다고 한다. 성 위원장은 "(노무현) 대통령님 재임 중 청와대에서 드렸던 약속을 오늘 지키게 됐다"며 "대통령님이 살아계셨으면 누구보다 기뻐하셨을 것"이라고 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과 보고서 발간에는 377억원의 국가 예산이 들어갔다. 그렇다면 우선 세금을 낸 국민에게 보고서 발간 과정을 보고하고 그다음 나라를 되찾고 지키기 위해 목숨 바친 순국선열을 모신 독립기념관이나 국립현충원을 찾아가 보고서를 바치는 게 순서다. 그런데 규명위는 보고서를 낸 27일엔 보도자료 한 장 달랑 내고 바로 이튿날 노 전 대통령 묘소로 내려가 보고서를 바쳤다는 것이다.

강만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초대 위원장은 보고서에 실은 축사에서 "노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취임하면 과거 청산을 해야겠으니 그때 도와달라'고 했다"고 밝혔다. 친일진상규명위는 2003년 노 전 대통령이 취임한 직후 첫 3·1절 기념사에서 "대한민국 역사는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역사"라고 대한민국 역사를 규정한 뒤 만들어졌다. 노 전 대통령이 진상규명위의 활동 지침을 미리 제시했던 셈이다. 진상규명위는 이번에 발간한 보고서에서 일제 말 강요에 의해 학병 권유 강연에 나갔거나 총독부 관변단체에 이름을 올렸어도 대한민국 헌법을 기초하고, 나라 발전에 큰 공을 세운 인재(人材)들을 길러내고, 6·25 전쟁 때 벼랑에 몰린 대한민국을 구하고, 종교·예술·언론 각 분야에서 오늘의 대한민국 토대를 만든 사람들은 가혹하게 친일 인사로 낙인 찍으면서도 좌파계열이거나 월북해 북한에서 고위직을 지낸 사람들 이름은 교묘하게 뺐다.

친일진상규명위는 11명의 위원 가운데 과반수 찬성으로 '친일반민족행위' 여부를 결정했다. 11명의 위원 중 노무현 대통령과 당시 여당에서 추천한 위원이 6명을 넘었다. 따라서 이들만 한목소리를 내면 누구든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멍에를 뒤집어쓸 수밖에 없었다. 실무 조사를 맡았던 50여명의 조사관이 과거 어떤 논문을 썼고, 어떤 이념적 성향을 갖고 있으며, 누구의 제자로 어떤 과정을 거쳐 채용됐는지 베일에 가려져 있다. 이 조사관들은 위원들이 자기들 의견에 반대 의사를 표시하면 노골적으로 반발·항명하며 사실상 파업을 벌였고 이 때문에 어느 위원은 회의에 나오지를 않게 됐다는 증언도 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 진상을 규명할 진상조사위가 필요해진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