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핫이슈 | |
서 교수팀은 발기부전을 일으키는 많은 원인 중 한 가지에 특히 주목했다. 발기조직과 혈관의 내벽 세포가 고장 나면 혈관을 만드는 단백질인 ‘엔지오포이에틴-1’ 등 혈관 생성 인자가 부족해져 발기부전이 생긴다. 이 사실은 서 교수팀이 몇 년 전 해외 학계에 처음 보고한 것이다. 서 교수팀은 KAIST 생명과학과 고규영 교수의 연구 결과를 활용했다. 고 교수가 합성에 성공한 혈관 생성 단백질 ‘엔지오포이에틴-1’을 고(高)콜레스테롤성 발기부전 실험 쥐와 당뇨로 인한 발기부전 실험 쥐에게 2회씩 주사했다. 그 결과 고콜레스테롤성 발기부전 쥐는 두 달 이상, 당뇨성 발기부전 쥐는 4주 이상 정상 발기가 됐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