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북한 어뢰 공격설 유력해지자 민주당 당혹

화이트보스 2010. 4. 28. 21:02

북한 어뢰 공격설 유력해지자 민주당 당혹

  • 트위터로 보내기
  • MSN 메신저 보내기
  • 뉴스알림신청
  • 뉴스젯
  • RSS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 스크랩하기
  • 블로그담기
  • 기사목록
  • 글자 작게 하기
  • 글자 크게 하기

입력 : 2010.04.27 10:34


천안함 사건 원인으로 북한의 공격설이 다각도의 정황을 통해 굳어지면서 민주당이 당황하고 있다.

민주당은 처음부터 지방선거에 끼칠 북풍(北風)을 경계하며 북한 배제설에 무게를 둬왔다. 하지만 최근 합동조사단의 조사 과정 발표와 북한 군·수뇌부 동향 뉴스, 미국 측의 북한 개연성 발언 등 다양한 정보가 북한의 어뢰 공격 가능성 쪽으로 수렴되자, “조사 발표를 영결식 이후로 미루라” “좀더 과학적인 검증을 하기 전엔 함부로 예단하지 말라”며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강래 원내대표는 27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선거를 목전에 둔 상황이라 섣부른 예단과 규정은 대단히 위험할 수 있다”며 “최종적, 과학적으로 확실한 원인 규명이 되기 전까지 신중한 접근과 자세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또 “합동조사단의 조사나, 군에 대한 감사원 감사 등 정부 당국의 조사는 이미 많은 오류와 허점을 드러냈기 때문에 공정한 결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며 “민주당 조사단의 조사나 국회 진상조사특위, 국정조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것”이라고 했다.

최근 ‘북한의 어뢰 공격 가능성을 믿을 수 없다’고 발언했던 김효석 민주정책연구원장도 이 자리에서 “지금은 순국장병 애도에 집중할 때로, 합동조사단의 모든 발표도 영결식 이후로 미뤄야 한다”고 했다. 당초 민주당이 신속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주장하던 것과는 정반대다.

사고 초기 “북한의 공격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했던 박지원 정책위의장은 이날 천안함 사고 원인에 대해 아무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핫이슈] 미군도 "북어뢰 가능성"… 캠벨 "중국과 대책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