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취업자 규모 1981년 수준까지 뒷걸음질
26일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분기 전체 취업자 숫자는 2천303만7천명으로 작년 1분기에 비해 13만2천명 증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로 지난해 4분기 연속으로 감소한 뒤 처음 늘어난 것이다.
그럼에도 1분기 20대 취업자는 전년 동기 대비 4만1천명 줄어든 370만명으로 1981년 4분기의 349만5천명 이후 최저치다. 연도별 1분기와 비교해도 1981년 1분기의 356만2천명 이후 가장 적다.
이런 현상의 가장 큰 이유는 저출산이 초래한 인구구조의 변화다. 매년 1분기 기준 20대 인구는 1995년 790만8천명을 정점으로 15년 연속 감소했기 때문이다.
실제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20대 비중은 지난 1분기에 15.9%로 하락했다. 지난 30년간 15%대 비중은 처음이다. 1분기 기준 고점을 찍은 1984년 1분기(26.7%)에 비해 10%포인트 넘게 떨어졌다. 20대 비중은 1991년(25.1%) 이후 19년째 줄었다.
아울러 경제위기도 20대 취업자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1분기의 20대 취업자는 경제위기 직전인 2008년 1분기에 비해 21만9천명 줄면서 연령대 가운데 감소폭이 가장 컸기 때문이다. 실제 청년 취업난은 지난 1분기 실업률을 10년 만에 가장 높은 9.1%까지 끌어올렸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20대 취업자 감소에 대해 "장기 시계열로 보면 구조적으로 20대 인구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이유지만 단기적으로는 경기적인 요인도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 실업률 상승은 학력 인플레의 영향도 없지 않다. 대학 진학률은 20년 전만 해도 33% 수준이었지만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2004년부터는 80%를 웃돌고 있다.
◇한국경제 주력부대 이동..50대이상 증가에 20~30대 감소
인구 구조의 변화는 20대뿐 아니라 다른 연령대의 취업자 증감을 불러 오고 있다. 20~30대의 경우 비중 축소, 40대는 보합, 50대 이상은 비중 확대가 추세다.
저출산에 고령화가 맞물린 결과다.
전체 취업자에서 연령대별 비중 추이를 보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할 정도다.
1분기 기준으로 최대 비중을 차지한 연령대는 1981~1986년에는 한때 29%대까지 상승한 20대였지만 1987년부터는 30대가 그 자리를 이어받은 뒤 1990년대에는 30%를 웃도는 비중을 이어갔다. 하지만 2005년부터는 40대가 최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2008년에는 50대 비중이 20대를 추월했다. 게다가 60세 이상의 비중은 2007년 처음으로 10%를 돌파하면서 1980년(4.7%)의 갑절을 넘어섰다.
지난 1분기 비중을 보면 40대 27.9%, 30대 25.1%, 50대 19.8%, 20대 16.1%, 60세 이상 10.2% 순이다. 20대는 지난 30년간 1분기 비중 가운데 최저치였고 최고점인 1984년의 29.5%보다 13%포인트 낮은 것이다.
한국경제의 주력부대가 20대, 30대에 이어 40대로 옮겨간 것이다.
여기에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태어난 한국사회의 베이비부머(현재 나이 47~55세)의 영향이 크다. 이들이 나이를 먹을 때마다 노동시장의 핵심 연령층이 고령화 쪽으로 한 발짝씩 나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2017년에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구가 줄어들 것이라는 경고가 나오는 가운데 청년층은 높은 대학 진학률과 군 복무, 긴 취업준비 기간 등으로 경제활동 진입시기가 늦어지고 조기퇴직하는 고령자는 노동시장 재진입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장기근속에 따른 급여체계는 고령층 고용연장의 저해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녹색성장 ▲창업.입지 규제 등 기업 규제완화 ▲부품소재산업 육성 ▲고용친화적 재정.세제 지원 ▲사회적 기업 육성 ▲서비스산업 선진화 등을 통해 우리 경제의 고용 창출력을 높이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아울러 유연근로제와 단시간근로 등을 통해 근로형태를 다양화하고 임금피크제처럼 임금을 유연화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