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아파치가 필요한 이유

화이트보스 2010. 6. 30. 18:22

아파치가 필요한 이유
홈페이지

우리군이 왜 이렇게 아파치를 외치는 이유는..

 

1. 현재 계발된 공격헬기중에 가장 실전경험이 많다는 거.

   - 아파치와 동급인 남아공의 루이벌크는 실전경험도 없을뿐만 아니라 생산량도 지극히 저조 (10대 안팍)

    

2. 아파치로 다년간 미군이 주둔하면서 한국지형과 헬기특성에 가장 맞는 전술적 사용방법을 터득

   - 우리가 아파치를 운영하면 미군이 장기간 운영하면서 겪었던 노하우를 거의 공짜로 습득해서 바로

     실전에 응용할 수 있음.

 

3. 아파치의 능력에 버금가는 공격헬기가 없음.

   - 한번 공격헬기를 도입하면 앞으로 최소 20년은 운영을 해야 하는데 어정쩡한 것을 도입할 경우 업그레

     이드나 부품의 백업이 없으면 졸라 나중에 힘들어짐.

 

4. 전시에 부품및 무기등 공용화가 가능.

   - 미군이 운영하는 기체이므로 만일에 전시에는 연합훈련 또는 실전에 가장 이상적이고 부품이나 추가도입

     또는 리스로 임대시 운영한 노하우로 바로 실전에 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음.

 

5. 북한의 비대칭 전력에 가장 대응하기가 적합한 기종임.

   - 한국의 특성상 공격헬기 대신에 F-16이나 A-10 또는 일부는 FA-50으로 한다는건 핀포인트 공격이나 북한

     의 수륙양용 침투부대나 an-2기 등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움.

 

6. 공격헬기 특성상 공격의 타이밍의 시간적 여유를 가짐.

   - 공격헬기이외 공격기로 했을 경우 지휘관이나 조종사가 목표물에 대한 정보획득 및 공격에 시간적 여유

     가 없기때문에 오인사격이나 정치적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많지만 아파치는 공격전에 목표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판단에 있어서 좀 더 유동성이 있는 판단이 가능함.

 

7. 아파치 만큼의 타격력과 방어력 그리고 행동반경이 뛰어난 헬기가 없음.

   - 현재 운영중인 코브라나 MD-500은 출력의 부족과 항속거리 부족 그리고 야간작전의 제한등으로 효과

     적인 작전수행이 불가능함. 그리고 스카우트할 헬기보다 속도가 느려서 스카우트임무시 UH-60 엄호

     시 공중에서 기다리는 촌극이 발생함. 아파치의 롱보우1대와 일반 아파치 3대의 한개편대로서

     비용대 효과가 극적임.

 

8. 주변국에 대한 확실한 경계임무 수행

   - 이미 아파치의 실전경력으로 인해 뗀넘들이 가장 무서워함. 아파치 1개편대의 화력은 적기갑사단을

     초토화 할 수 있는 무장능력과 서해안에서의 대간첩 및 침투대응에 가장 현실적인 대안임.

 

9. 아파치의 30mm 체인건을 따라올 만한 고정무장 헬기가 별로 없음.

   - 30mm체인건은 적 장갑차량 및 인원을 가장 확실하게 무력화시킬 수 있는 고정무기로 현재 코브라의

     20mm발칸과는 화력차이가 너무나 많이 남. 30mm 체인건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공격헬기는

     최소 준대형급이상이 되야함. 망구스타의 20mm는 그능력의 한계와 아파치의 대형급 공격헬기는

     충분한 양의 30mm탄을 적재하므로 효과적인 소프트차량 및 장갑차량에 대해 대응할 수 있음.

 

그넘의 쩐이 문제지만 만약 한국에 서해안과 동해안 남해안 그리고 내륙지역으로 각 아파치 3개편대씩 총

12 편대가 배치될 경우 총 48대의 아파치가 배치가 되면 유사시 제공권의 장악하에 가장 확실한 육군의

새로운 강력한 파워로 다양한 전술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음.

 

국내계발시 문제점은

1. 검증이 전혀 되지 않은 무기체계로 엄청난 뻘짓이 될 수 있음

   - 천문학적 계발비용에 비해 생산단가 증가로 인해 절대 수출이 이루어 질 수 없는 구조임. 이미 공격

     헬기시장에서 이제 한국이 수리온 할배를 만든다고 해도 절대 사주는 나라는 없을것임.

 

2. 유인화시대가 끝나는 마지막 뻘짓이 될 수 있음.

   - 국내계발로 나중에 아파치를 능가하는 헬기를 만들 수 있다고 장담하는 무리가 있지만 이는 개뻘짓임.

     이미 미국도 코만치계획이 무산된것을 보면 알 수 있음. 더이상 수리온의 발전형은 그 능력 또한

     한계에 있을것이며 앞으로 한국의 헬기산업은 세계에 뛰어들기에는 이미 너무 늦었음. 미국의 대형

     항공업계의 합병 및 거대 자본과 기술의 합병과 이미 유명한 항공업계조차 이분야에 대해서는 포화

     상태로 보는 시점에 국내시장의 100대도 안되는 사업으로 하기에는 엄청난 뻘짓이 눈에 선함.

 

3. 전력의 공백화가 분명함.

   - 수리온의 공격형 계발완료 시점은 적절한 대체기의 공백을 메울 수 없는 구조와 시간에 쫒겨 대충

     만들다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질 수 있는 상황임. 계발완료 계획은 계획일 뿐 어떻게 될지 장담할 수

     없음.

 

4. 비용대 효과

   - 비용이 결코 아파치의 절반수준이 될 수 도 없을뿐만 아니라 그 효과는 절대 1/2도 나오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