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해상무기이야기] 대잠전

화이트보스 2010. 8. 24. 18:22

해상무기이야기] 대잠전 (하)

잠수함 간 승패는 저주파 소음 탐지가 우선
정성 박사·한국국방연구원 초빙연구원 webmaster@chosun.com
-->
광개구소나.
선진국 해군에서 잠수함 탐지를 위한 연구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항공기·수상함·잠수함 등 해군의 모든 입체 전투전력이 대잠전에 동원되지만, 잠수함의 은밀성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 등 혁신적인 잠수함 탐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시도되고 있지만 해양이라는 매질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음파 이외에 다른 적절한 수단이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대잠전 방책으로 무시(ignore), 교전(engage), 회피(avoid)의 세 가지 개념을 제시하고 있는 미국 해군대학의 한 보고서가 눈길을 끈다.

대잠헬기는 경계진 돌파 적 잠수함 탐지

 무시는 공해상에서의 자유로운 항행 등을 규정하는 국제법에 따라 평시에는 잠수함의 위협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개념이다. 공해도 아니고 영해에 소형 잠수함을 침투시켜 평상 경비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함정을 공격하는 북한의 행위는 정상국가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만행이다. 교전은 평시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 및 전시에 적용하는 방책이고 회피는 전시에 적용하는 방책이다. 교전의 개념은 대잠항공기와 수상함을 방어적 개념으로 운용해 적 잠수함이 목표하는 표적으로의 접근을 억제하면서 잠수함과 대잠항공기를 적극적인 공격 전력으로 운용하는 개념이다. 회피는 항모타격단 등 주요 수상세력이 적 잠수함의 활동구역으로부터 멀리 이격해 작전을 수행하는 개념이다.

 먼저 대잠항공기의 운용개념은 최외곽 구역에 대한 대잠전 수행이다. 대표적인 대잠항공기인 P-3는 작전반경이 3000㎞ 이상이며 체공시간이 14시간이나 되기 때문에 지상의 기지에서 발진해도 전 세계 해양에 전개된 수상세력에 대한 대잠방호를 제공할 수 있다. P-3는 넓은 구역에 소노부이를 투하해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분석한다. 능동 소노부이는 탐지거리가 제한되지만 수동 소노부이는 상대적으로 탐지거리가 길다. 수동 소노부이로부터 미세한 신호라도 수신이 되면 정밀 분석과 함께 소노부이를 추가로 투하하면서 잠수함 위치를 추적한다.

잠수함은 통신, 위치확인, 탐색 및 스노켈링 등을 위해 잠망경ㆍGPSㆍ레이더ㆍESMㆍ통신ㆍ스노켈 마스트를 수면 위로 올리게 되는데 P-3는 이 순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레이더 화면에 순간적으로 전시됐다가 살아지는 잠수함의 표적신호를 접촉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다. 또 P-3 조종사가 비행하면서 잠수함의 속력에 의해 마스트 뒤로 길게 형성되는 항적(wake)을 탐지하게 되면 이는 가장 확실한 잠수함 탐지가 된다. ESM은 잠수함 레이더의 전자파를 접촉해 분석하는 장비이지만, 잠수함은 레이더를 사용할 경우 자신의 위치가 노출되기 때문에 레이더 사용을 거의 하지 않는다. MAD는 잠수함 상공을 통과할 때만 잠수함의 자장신호를 접촉하기 때문에 잠수함 위치를 확인하는 수단이지 탐색수단이 아니다.

 대표적인 대잠헬기로 Lynx, SH-60 등이 있다. P-3가 탑재하고 있는 장비 이외 디핑소나를 추가로 탑재하고 있으나 체공시간이 짧기 때문에 중간 및 내곽 구역에 배치된다. 대잠헬기는 P-3와 같은 고정익 항공기와는 달리, 공중에서 정지상태(hovering)로 머물 수 있기 때문에 디핑 소나를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상함에 비해 월등히 빠른 속력으로 원하는 임의의 구역으로 신속하게 기동해 소나를 수중에 내려 잠수함을 탐색한다. 이러한 대잠항공기와 대잠헬기의 탐색작전은 잠수함을 탐지하지 못하더라도 잠수함이 목표로 하는 표적으로의 접근을 억제할 수 있다. 내곽 구역의 대잠헬기는 적 잠수함이 목표로 하는 표적과 경계진 함정 사이에 배치돼 항공기와 수상함 경계진을 돌파한 적 잠수함을 탐지하는 최종 대잠탐색 임무를 수행한다.

미세 저주파 소음 탐지 광개구소나 탑재

 대잠항공기 및 대잠헬기의 대잠작전은 수상함의 대잠작전과 통합해 대잠지휘함으로 지정된 수상함에 의해 계획되고 집행된다. 대잠지휘함은 그날의 해양환경과 배속된 수상함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소나의 성능을 파악하고 작전상황을 고려해 대잠항공기, 헬기 및 수상함의 대잠탐색 구역을 지정한다. 수상함의 능동소나는 다양한 종류의 소나가 개발돼 있어 주파수 및 탐지방법 등에 따라 적절히 운용해야 하며 예인소나는 수상함으로부터 수백m 떨어진 위치에서 수동 또는 능동의 방법으로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어 수상함 자체소음의 방해를 받지 않아 탐지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잠수함용 대공유도탄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대잠항공기와 대잠헬기는 잠수함으로부터 공격당할 염려가 없지만 수상함은 위치가 노출돼 있어 기습공격을 당한다는 가능성에 대한 대비책을 고려하면서 대잠작전을 수행한다.

 잠수함은 자신을 탐색하고 있는 항공기 및 수상함에 대해서는 알고 있기 때문에 전술적 대비를 할 수 있고 마음만 먹으면 회피가 가능하지만, 자신을 탐색하고 있는 잠수함은 인지할 수가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잠수함을 적 잠수함에 대한 최적의 공격 전력으로 운용하는 것이다. 잠수함은 적 잠수함 기지 및 아 주요 항만 입구 등 적 잠수함이 반드시 통과하는 구역에 전개해 공격적으로 운용한다. 원자력 잠수함의 경우는 고속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동함대에 배속돼 대잠방호를 제공한다. 잠수함과 잠수함 간의 전투 승패는 잠수함에서 발생하는 좁은 대역의 저주파 소음을 누가 먼저 탐지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이 때문에 잠수함의 크기가 증대하고 있는 것이다. 덩치가 큰 저주파 수동소나와 연안의 많은 잡소음 가운데서 잠수함의 미세한 협대역 저주파 소음을 탐지하기 위한 광개구소나를 탑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010-08-23 10: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