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참는데도 한계가...´ 청와대, 박지원에 대폭발

화이트보스 2010. 10. 20. 22:35

참는데도 한계가...´ 청와대, 박지원에 대폭발

데일리안 | 입력 2010.10.20 15:55 | 누가 봤을까? 50대 남성, 전라

 




[데일리안 동성혜 기자]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를 향한 청와대의 칼끝이 날카롭다.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20일 성명서를 통해 "국내 정치 목적으로 외교를 악용하고 국익을 훼손하는 이적행위에 다를 바 없다"고 선전포고했다.

홍 수석은 "박 원내대표는 이같은 무책임한 행동에 대해 정중히 사과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며 "역사적 G20 서울정상회의를 앞두고 성공을 위해 여야를 떠나 초당적 협조를 해도 부족한 이 시점에서 이런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이명박 대통령을 흠집 내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평화와 외교의 훼방꾼은 바로 자신이 아닌지 자문해 봐야 할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린 것.

청와대가 분개한 것은 지난 19일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박 원내대표가 한 발언이 시발점이다. 박 원대대표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시진핑 부주석의 회담 자리에 배석했던 일화를 소개하며, "시 부주석은 당시 '왜 한국 정권은 과거 정권과는 달리 남북관계 교류를 하지 않으면서 긴장관계를 유지하는지 모르겠다'라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박 원내대표는 "시 부주석은 '중국으로서는 한국도 북한도 형제국가이지만 북한은 접경 국가이기 때문에 지원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며 "시진핑 시대를 앞두고 정부의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19일 당일, 한나라당은 즉각 반격에 들어갔다. 황천모 부대변인이 논평을 통해 "대단히 몰상식한 처사" "외교의 '외'자도 모르는 도발" "무지의 소치인지 인성의 문제인지 부끄럽고 안타까워" 등 날을 세웠다. 이때 청와대는 부글부글 속을 끓었지만 공식 대응은 자제했었다.

그러나 이유가 있었던 것. 청와대는 김 전 대통령과 시진핑 부주석의 면담록은 물론이고 당시 참석자들에게까지 일일이 확인 절차를 거치며 치밀하게 준비했다.

홍 수석은 당시의 면담 일시, 배석자를 낱낱이 공개했고, 면담록을 샅샅이 확인했음을 밝히며 "그런 발언이 전혀 없었고, 참석했던 사람들한테도 그런 류의 발언이 있었느냐 확인했지만 그렇게 추론할 만한 부분이 없었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밝혔다.

흥분보다는 철저한 조사를 우선했다. 이런 배경 때문인지 홍 수석은 "무엇을 얻겠다는 목적인지 모르지만 용납돼서는 안된다"며 "박 원내대표가 어떻게 하는 가를 보면서 추후 대응방안이 있다"고 박 원내대표의 사과를 압박했다.

박 원내대표, 인사청문회 도덕성 검증 비공개·러시아 방문 등 근거없이 '태클'

사실 청와대와 박 원내대표의 마찰음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9월 14일 박 원내대표는 김태호 총리후보자 사퇴 이후 인사청문회와 관련, "어제 (청와대 측에서) '잘 검증된 사람을 국회로 보낼 테니까 인사청문회를 두 가지로 나누자. 도덕성을 검증하는 것은 비공개로 하고 자질을 검증하는 것은 공개로 하자'는 얘기가 나왔다"고 주장했었다.

물론 당일 오후에 "청와대라고 말한 적 없다"며 "정부와 한나라당 등 여권에서 비공개 인사청문회 얘기를 들었다"고 해명했지만 '공정사회'를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의 화두로 삼은 이명박 정부에 상당히 치명적인 발언이다.

다음날 15일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제1야당의 원내대표를 맡고 계시는 분의 거짓말이 지나치다고 생각한다"며 "공당의 대표라는 분이 무책임하게 발언하는 것은 상식밖의 일로 유감스럽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무책임한 발언에 대해서는 사과를 하고 앞으로는 책임있게 행동하기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때 김 대변인의 '사과' 요구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앞서 박 원내대표는 9월 9일 당 비상대책위원회와 10일 라디오 인터뷰 등에서도 연이어 이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두고 "대통령이 당초에 계획에 없던 러시아 방문을 하는 것은 우연치고는 기가 막힌 일"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러시아의 천안함 조사 보고서가 우리 정부와 차이가 있다는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국) 대사의 발언도 있었다"며 "친분을 쌓기 위해 간다는 청와대의 말을 그대로 믿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박 대표의 의혹 제기 바탕에는 일각에서 제기하는 '러시아 정부의 천안함 침몰 원인 조사결과와 관련한 거래설'이 깔려 있는 것.

당시 청와대는 대놓고 반박하지 않았지만 트위터 등을 통해 러시아 초청장 공개 등 적극 반론을 폈었다. [데일리안 = 동성혜 기자]

- Copyrights ⓒ (주)이비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