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5기 전남도정에 ‘F1 코리아 그랑프리’라는 대형폭탄이 떨어졌다. 대회 운영법인인 카보(KAVO) ‘부실’에 대한 모든 책임이 쏠려 있는 모습이지만, 당장 내년대회 재원마련 등 ‘불등의 불’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개최 과정 곳곳에서 각종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다 카보의 조직개편을 앞두고 출자사간 충돌도 불가피한 형국이다. 21일 F1대회 관계기관에 따르면 전남도와 F1운영법인 카보(KAVO) 등은 지난 3월 감사원 특별감사팀으로부터 300억원대의 F1경주장내 특수전자설비 업체 선정과정에 대한 의혹에 대해 감사를 받았다. 또 검찰은 지난 2007년과 2008년 잇따라 카보에 대해 지분구조변경, 참여업체, 공사계약서 등에 대한 자료를 여러 차례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수·감사 과정에서 관계자 소환 또는 혐의점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일부 쟁점에 있어 의혹은 아직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19일 열린 전남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영암 F1경주장 건설비 증액과 트랙설계, 대회 개최권 및 TV중계권료 협상과정 등이 주요 쟁점이 됐다. 무엇보다 영암 F1경주장의 마스터 플랜은 틸케가 한 것은 맞지만, 트랙공사 설계는 국내 설계회사가 맡은 것으로 확인돼 어떤 경위로 건설비용이 산정되고 실제 설계사가 국내 업체로 정해졌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또한 올 F1코리아 그랑프리 적자 책임과 내년대회 재원확보 문제에 대한 논란도 더욱 가열되고 있다. 특히 전남도의회 박철홍 의원(담양1·민주)은 “카보가 F1대회 TV중계권을 147억원에 F1매니지먼트(FOM)로부터 사온 반면, 국내 방송사에 15억원으로 판매했다”며 집행부에 책임을 추궁했다. 더군다나 전남도는 올해 대회 개최권료 지급을 위한 LC(신용장)를 개설하면서 내년 대회 개최권료 지급용 LC까지 미리 개설해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F1코리아 그랑프리로 인해 전남도의 재정적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전남도는 당초 경주장 건설비용 3천400억원 중 880억원을 지방채로 부담하고 있는데다 올해까지 확보하지 못한 312억원도 정부의 지원이 없을 경우 고스란히 모든 부담을 떠안아야하는 상황이다. 또 경주장 건설을 위해 2016년까지 3년 거치 5년 상환조건으로 이자율이 7.5% 수준인 PF대출금 1천980억원에 대한 전남도와 전남개방공사 이자부담도 만만치 않다. 이런 가운데 카보 최대 출자기관인 전남도와 현재 경영권을 쥐고 있는 MBH가 대회운영 조직 개편문제를 두고 22일 열리는 행정사무감사에서 충돌할 가능성도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관’이 되고 있다.
|
|
< /김영민 기자> kym711@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