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진도∼제주 송전선로 건설 ‘잡음’

화이트보스 2010. 11. 26. 15:36

진도∼제주 송전선로 건설 ‘잡음’
입력: 2010.11.25 00:00

대책위 “일부 구간 케이블 매설 안전 깊이 확보 안돼”
농작물 피해도…한전 “주민들 공사방해로 손해 더 커”
전남 진도군을 관통하는 ‘제주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반대하는 지역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공사구간에서 부실시공이 이뤄졌다는 주장이 나오는 등 잡음이 일고 있다.
송전선로 사업을 반대하고 있는 진도 임회면대책위원회는 “한국전력이 당초 설계를 무시하고 공법을 임의대로 변경하고 진도군의 허술한 공사현장 지도관리로 농작물 피해 등이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한전측은 “주민들의 공사방해로 안전사고 우려와 공기연장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맞서 양측의 갈등만 깊어지고 있다.
24일 제주 송전선로 반대 임회면 대책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제주 송전선로 건설사업 일환으로 지난 7월부터 ‘진도 변전소∼변환소 지중 송전선로 건설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한전의 케이블 지중화 공사구간은 전체 연장이 20㎞로, 국도 18호선을 따라 임회면 석교리 등 진도 관내 9개 마을을 관통하고 있다.
하지만 공사 구간 중 ‘석교 십일시∼매정’ 구간은 국도 18호선 행배수관이 1.5m 깊이로 설치돼 케이블 매설 안전 깊이 확보 여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도로법 시행령상 한전 지중화 케이블은 도로 표층에서 1.2m 깊이로 매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배수관 등 지장물이 있을 경우 매설 깊이를 확보할 수 있는 보완공사를 해야 한다.
박상윤 대책위원장은 “공정을 파악한 결과 당초 설계상에는 케이블 토관 매설을 3단 2열 방식으로 2.3m이상 굴착 후 매설키로 했다”며 “하지만 ‘십일시∼매정’ 구간은 토관을 2단 3열방식으로 매설, 굴착 깊이를 40cm이상 확보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대책위는 진도군에 공사중지와 공사현장 검증을 요청한 상태다.
대책위는 또 지난 7월 공사가 시작된 이 구간에 대해 군이 공사 현장 지도감독을 소홀하면서 인근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는 한편 야간공사 소음으로 인한 생활권도 침해 등을 호소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40만㎾가 흐르는 지하 케이블이 제대로 묻어지지 않았다면 지역 전체가 전자파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며 “한전은 당장 공사를 중지하고 군청도 사태를 파악, 주민 생존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한전측은 일부 농작물 피해는 인정하나 부실공사 의혹 등에 대해서는 완강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전 HVTC(제주송전선로) 건설소 관계자는 “공사 야적장 토사가 날려 배추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한 피해보상 협의는 조만간 마무리될 것”이라며 “하지만 주민들이 주장하는 케이블 부실 매설은 공법상 공사내용이 변경된 것이지 설계를 변경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오히려 대책위 주민들이 공사현장을 무단으로 점거해 안전사고 위험과 공기연장으로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금전적 피해액은 우리측이 더 크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주민들과 한전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지만 진도군은 공사 감독권이 없다는 이유로 민원 해결에는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군 관계자는 “공사가 야간에 진행되다보니 상주인력을 배치하기 힘든데다, 감독권한도 없다”며 “이 문제는 양측이 합의점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영민 기자> kym711@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