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숙 유엔미래포럼대표 강의
정말 대단한 강의다. 800장의 ppt 가 말해주는 미래사회는 거의 타임머신타고 미래를 구경갔다온 것 같다. 미래사회의 메가트렌드를 제시하고, 기후변화, 1인가족, 여성시대, 동양의 시대 등등 하나하나 근거를 갖고 세계를 바라보는 그녀의 입에 세상이 집중하고 있다. 수양부모회대표를 맡고 있는 그녀는 매우 인간적이기까지 하다.
그녀의생각을 들여다 본다. 사람들은 미래를 알고 싶어합니다.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것이 우리네 사람살이라지만, 그것을 또한 알고 있지만, 그렇다고 포기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든 미래를 엿보고픈 열망 혹은 욕망은 일상에서도 흔히 엿볼 수 있습니다. 점을 보거나 운세를 보는 행위. 미래를 알고픈 욕망을 부정하진 못할 것입니다. 작게는 일상에서, 크게는 국가 혹은 인류 차원에서, 더 크게는 자신의 장래를 위해 미래예측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박 대표는 13년 동안 매년 유엔미래보고서를 내놓고 있습니다. 20년간 자료를 토대로 10년 후를 예측하는 미래보고서는 국내총생산(GDP), 아동학습률, AIDS, 테러공격, 물 접근가능성 등 다양한 요소를 버무립니다. “미래예측=경고+대안이다. 미래예측은 긍정의 힘을 만들자"는 것입니다.
"미래는 예산과 정책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미래예측을 통해서 이 모든 어려움을 극복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2020년 줄기세포 보편화로 의식주가 해결되고, 2024년 암 정복으로 2030년 평균수명이 130세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라고 예견합니다.
박 대표가 오늘 강연을 통해 제시한 미래사회의 8가지 메가트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ging(저출산 고령화) 2. Blending (혼합, 지구촌문화통합) 3. Climate Change (기후변화) 4. Development of S&T (과학기술발전) 5. Education (교육 : unlearn, relearn) 6. Female (여성성 강화) 7. Globality (글로벌화 국제화) 8. Home Alone (싱글, 1인 가구 35%)
박대표는 강연을 통해 위의 8가지 메가트렌드에 대해 항목별로 상세히 설명합니다..
박영숙이 예측하는 어떤 미래
박 대표가 미래예측에 있어 또 강조한 것은, 인구다. 인구가 곧, 국력이라는 것이 박 대표의 지론. “우리나라는 2015년 이후 인구가 자연 감소할 것이다.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은 인구 감소와도 관련이 있다. 조금 과장해서 2015년 이후 집은 공짜가 될 것이다. 2020년이 되면 집이 많이 남아돌 것이다. 그러니까 집에 투자할 일은 아니다. 러시아의 푸틴은 2006년 연례연설을 통해 6월13일을 임신의 날로 만들었다. 출산 장려를 위해서였다. 러시아 각 주마다 권고했다. 이는 한편으로 출산 장려가 아닌 투자유치 작전이었다. 미래의 국력에서 인구는 그렇게 중요하다.”
물 부족과 급격한 네트워크화와 지구촌 정부의 탄생도 박 대표가 예측하는 미래다. 물론 이것은 이미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2050년 아이슬랜드를 빼고 지구의 거의 전부가 사막화된다는 보고서도 있다. 급격한 네트워크화도 이뤄질 것이다. 더욱더 많은, 우리나라 표현으로 하자면, ‘촛불 시위’도 일어날 것이다. 스스로의 법과 문화를 만드는 스마트 몹(Smart Mobs)의 등장도 주시해야 한다. 핀란드 의회는 100주년 기념으로 나온 ‘민주주의의 미래, 2017’을 보면 지구촌 정부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X세대가 국회 권위를 인정하지 않아 정당이 소멸하고 개인주의와 소수 민주주의가 부상할 것이란 얘기도 있다.”
이런 네트워크화 사회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한두 사람의 위인이나 독재자보다 수백만 명이 한곳에 집합하여 협력하는 모습이 바로 미래사회의 모습이다.”(p.102) 정부의 존재가 무위화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정부가 할 수 있는 것, 해야 할 것이 바로, 국민설득이다. “유럽에서는 이런 변화를 10년째 연구하면서 국민설득 전문가를 키우고 있다. 이제는 국민에게 한 걸음 다가서서 국민을 설득시키려는 정부만 살아남는다.”(p.36) 그리고 그것에 대한 근거. “그래서 요즘 세계 각국은 국민 설득을 위해 국민통합본부를 만들고 있다. 국민통합 없이는 경제성장도 없기 때문이다. 호주는 정부부처로 사회통합부를 만들었고, 이 밖에 스웨덴·벨기에·노르웨이·브라질·이탈리아·덴마크·프랑스·인도·인도네시아· 파키스탄·나이지리아·케냐·루마니아·바베이도스·스리랑카 등 20여 개국 정부에서도 국민통합부처를 신설했다. 국민설득의 방법도 일방적으로 추진하던 연설 형태가 사라지고, 블로그·홈페이지·이메일을 통한 ‘속삭이는 목소리’가 국민을 설득시킨다.
신직접민주주의, 전자민주주의에 익숙한 국민들의 ‘똑똑한 자아’를 설득하기 위해 국민설득부, 즉 대국민홍보부가 큰 권력을 가진다.”(p.103)
|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北이 사용한 122㎜ 방사포 위력은] 넓은지역 초토화 위한 '공포의 병기'… (0) | 2010.11.26 |
---|---|
李대통령 "서해 5도, 세계 최고 장비 갖춰 철저하게 대응하라" (0) | 2010.11.26 |
석유를 대체할 최적의 에너지 ´앨지´를 아십니까<박영숙의 미래뉴스>미세조 (0) | 2010.11.26 |
간호사의 미래, 마지막까지 생존 가장 존경받는 직업 (0) | 2010.11.26 |
中 "연평도 마찰, 北 미래 없을 것" 이례적 비판 (0) | 2010.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