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장사정포 타격을 위한 포격지점 좌표(수정)및 획득방법

화이트보스 2010. 12. 3. 16:37

장사정포 타격을 위한 포격지점 좌표(수정)및 획득방법
홈페이지

 

이번에 사격지점을 보니 아래 그림처럼 북방향으로 70m정도 편위되었더군요

허술한 제 판단으로는 포병의 사격이 문제가 있던 것이 아니고 기존에 획득해두었던 적진지 좌표에 오류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대포병레이더로 근접위치를 확인한 뒤 정확한 사격은 기존에 설정해둔 좌표로 공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1. 위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 70m 이동한 것은 좌표획득 위치가 1:5000의 경우 1.4Cm, 1:50000지도의 경우 1.4mm의 오차범위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것은 도면의 신축을 보정하지 않아도 쉽게 생기는 오차입니다. 항공영상이나 위성영상으로도 정확한 위치를 잡기는 어렵습니다. 정확한 좌표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지상의 대공표지와 표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지형지물에 대한 실측작업이 필요한 겁니다. ***영상으로 얻는 좌표는 그다지 정확하지 않습니다***

 

2. 그러나 결론만 말하면 우리는 북한의 지형지물에대한 실측자료가 전혀 없습니다..측량한 적이 없기때문이죠..제 독자적인 판단은 위치보정을 할 수 있는 실측자료가 없기때문에 이번 탄착점에 오류가 있었다고 보여집니다.

 

3. 하지만 북한에 대한 실측자료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일제시대의 지형도가 있습니다. 누구든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입 할 수 있습니다

 

연평도 지방도 역시 있습니다 도면상 "부포"라고 적혀있는 곳입니다.

 

바로 요놈입니다. 개머리해안, 무도가 정확히 나옵니다

 

4. 여기에는 삼각점의 위치가 정확히 표현되어 있는데요.. 이위치는 거의다 산꼭대기 가장 높은 지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지점의 좌표는 토지조사기록에 다 적혀 있고..엄청나게 정확합니다.

무도에도, 개머리진지 산꼭대기에 수두룩하게 삼각점이 설치되어 있고, 엄청나게 정확한 좌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5. 이위치는 지금도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딱봐도 산꼭대기 인걸 알 수 있습니다.

 

6. 이 위치를 중첩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7. 한번 이방법으로 삼각점좌표를 이용해서 기존에 획득해 놓은 좌표에 오류가 없는 지 확인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한번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만일을 대비해서 다른 곳의 좌표도 다시한번 검증해 놓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010-12-02 17:21:58
첨부파일
    실제 크기로 보시려면 클릭해 주세요
  중첩.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