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신중국 60년

[스크랩] 중국 옥시월드(수질정화제) 시장동향

화이트보스 2011. 1. 9. 19:49

중국 옥시월드(수질정화제) 시장동향

 

 

□ 수요동향 : 시장 규모 및 경향            

1) 시장 규모(광동성 위주)


양식장  

2003년 중국 해수양식의 생산해역은 10m 등심선으로부터 30m 등심선 해역으로 발전했다. 깊은 물 그물상자 양식 생산량은 1만3000톤, 양식 수체면적은 353만입방미터; 공장화 양식 생산량은 3만5000톤, 양식 수체면적은 898만6000입방미터다. 최근 담수 집약화 양식의 발전도 빠른데 울타리로 둘러싼 양식 생산량은 62만8000톤; 그물상자 양식 생산량은 55만3000톤, 양식면적은 3936만3100평방미터; 공업화 양식 생산량은 8만2000톤, 양식면적은 2362만2600평방미터다.

 

중국 2003년 수산양식 생산량, 면적과 단위 생산량 증감 현황 통계

 

생산량

면적

단위 생산량

증감(%)

헥타르

증감(%)

Kg/헥타르

(증감)%

총계

30,275,795

3.99

7,103,648

4.07

11.63

60.96

해수양식

12,533,601

3.23

1,532,152

12.23

8.18

-10.27

내륙양식

17,742,734

4.52

5,571,496

1.82

3.18

2.52

못양식

12,515,093

2.92

2,398,740

1.75

5.22

1.15

   호수양식

 1,051,930

6.56

936,262

6.66

1.12

-0.89

 저수지양식

 1,841,245

8.36

1,660,02

0.97

1.11

7.21

   하천양식

738,459

5.38

382,170

-0.09

1.93

5.70

   기타양식

572,396

34.18

194,297

-9.41

2.95

39.66

     논양식

1,023,611

-2.39

1,558,04

-3.86

0.66

1.52%

(자료원 : 중국어업년감2004)


 중국 2003년 각 지역 수산양식 면적 증감 현황 통계                                      (단위 : 헥타르, %)

지역

전체

해수양식

내륙양식

못양식

면적

증감

면적

증감

면적

증감

면적

증감

전국

7,103,64

4.07

1,532,152

12.23

5,571,496

1.82

2,398,740

1.75

북경

20,933

-2.25

-

-

20,933

-2.25

680

30.44

천진

38,338

0.33

5,087

-14.33

33,251

2.58

25,383

-0.18

하북

155,978

-1.41

77,588

2.95

78,390

-5.73

30,535

-9.95

산서

17,300

-0.67

-

-

17,300

-0.67

3,252

-4.06

내몽골

108,236

11.73

-

-

108,236

11.73

8,499

-2.11

요녕

531,024

17.68

381,090

26.9

149,934

-5.74

43,740

7.61

길림

191,323

4.75

-

-

191,323

4.75

21,669

10.85

흑룡강

374,585

-1.63

-

-

374,585

-1.63

124,211

-3.15

상해

45,448

5.90

466

-49.36

44,982

6.48

25,501

 -6.90

강소

779,585

2.57

156,947

4.23

622,638

2.16

325,503

2.46

절강

332,572

0.80

117,408

0.43

215,164

1.01

67,319

4.76

안휘

574,660

1.35

-

-

574,660

1.35

214,787

-2.29

복건

239,210

0.96

139,420

1.03

99,790

0.86

37,515

-0.86

강서

358,536

2.72

-

-

358,536

2.72

125,897

7.29

산동

620,604

13.79

358,349

18.3

262,255

7.64

135,409

4.54

하남

200,289

1.04

-

-

200,289

1.04

95,201

0.56

호북

665,667

4.60

-

-

  665,667

4.6

339,034

4.76

호남

431,867

-0.06

-

-

431,867

-0.06

232,106

0.97

광동

595,328

1.61

216,763

3.96

378,565

0.27

256,158

0.72

광서

254,382

-2.99

62,269

0.79

192,113

-4.22

77,393

1.71

해남

62,179

0.51

16,765

1.98

45,414

-0.04

16,731

5.36

중경

68,560

-0.95

-

-

68,560

-0.95

31,689

3.09

사천

183,936

6.27

-

-

183,936

6.27

89,779

0.76

귀주

34,872

9.82

-

-

34,872

9.82

5,539

9.35

운남

86,241

2.76

-

-

86,241

2.76

29,250

-0.58

서장

20

25.00

-

-

20

25

20

25

산서

28,605

-0.65

-

-

28,605

-0.65

9,201

-1.67

감숙

20,081

-3.53

-

-

20,081

-3.53

3,078

-1.3

청해

5,522

-2.72

-

-

5,522

-2.72

390

-38.46

녕하

13,367

0.25

-

-

13,367

0.25

6,639

-3.48

신강

64,400

1.34

-

-

64,400

1.34

10,510

-6.47

 (자료원 : 중국어업년감2004)

 

광동성 수산양식 통계                                                                                  (단위: 톤, 헥타르)            

지역

2003년

2004년

해수양식

담수양식

해수양식

담수양식

단위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생산량

합계

1,973,006

216,763

2,562,557

378,565

2,106,986

2,698,372

?州市

42,575

10,221

240,128

28,871

43,000

257,295

深?市

32,077

4,591

7,818

1,278

28,359

6,931

珠海市

21,533

10,758

109,452

11,036

19,102

119,834

汕?市

108,440

13,601

44,372

4,018

117,549

51,688

韶?市

-

-

77,329

18,396

-   

75,896

河源市

-

-

29,213

6,834

-   

31,000

梅州市

-

-

72,456

14,710

-   

74,990

惠州市

55,711

12,481

69,758

22,904

55,409

75,937

汕尾市

217,339

24,528

24,904

7,740

233,241

30,101

?莞市

7,325

1,806

43,561

6,916

6,888

40,901

中山市

16,950

3,798

238,052

20,018

17,766

246,784

江?市

234,910

28,051

225,843

39,414

291,290

243,105

佛山市

-

-

474,498

46,416

-   

490,111

?江市

412,072

24,672

65,641

16,707

429,156

73,053

湛江市

343,531

46,191

72,134?

30,192

367,162

76,560

茂名市

386,232

25,453

231,269

26,780

398,853

243,492

肇?市

-

-

266,321

30,078

-   

276,707

??市

-

-

63,856

15,848

-   

66,887

潮州市

75,884

3,977

36,470

4,990

80,818

37,679

揭?市

11,639

1,911

63,211

9,961

11,632

66,728

云浮市

-

-

82,981

11,341

-   

89,403

其他

6,788

4,723

23,290

4,117

6,761

23,290

(자료원 : 광동성해양과어업국)

 

골프장  

1984년 광동 중산시삼향(中山市三鄕)에 중산온천골프촌클럽(中山溫泉高爾夫球會)이 처음 문을 연 이래 20년 동안 중국에 건설된 골프장은 모두 180곳, 매년 골프장이 거의 9개씩 건설된 셈이다. 가장 일찍 개혁개방이 추진된 광동성엔 모두 42개의 골프장이 집중돼 있다.

지역

골프장

지역

골프장

지역

골프장

광동

42개

운남

5개

산서

2개

북경

23개

천진

5개

귀주

1개

상해

17개

요녕

4개

신강

1개

심천

12개

하북

4개

흑룡강

1개

해남

11개

절강

3개

길림

1개

산동

10개

호북

3개

하남

1개

복건

8개

중경

2개

내몽고

1개

강소

7개

사천

2개

강서

1개

광서

5개

호남

2개

안휘

1개

(자료원 : China golf association)


 광동성 골프장 면적

 

합계

27Hole,

Par108

18Hole,

Par72

36Hole,

Par144

기타

광동성

42

11

16

4

11

(자료원 : 차이나가이드)

 

2) 경향

 

수질개선제로 현재 많이 사용하는 방법

 

- 이산화염소

이산화염소는 수처리분야에서의 음용수 소독, 공업 순환냉각 수처리 방면, 수산양식업 등 면에서 많이 쓰인다. 이산화염소는 제4대 수산양식 소독제로 병을 유발하는 수중 미생물 수량을 대량으로 소멸할 뿐만 아니라 부유생물을 손상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수체에 대해 소독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이산화염소는 최근에 하남, 광동, 산동, 하북 등 연해양식지역에 빠르게 보급되고 있으며, 현재는 내륙 담수양식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 산소공급기

산소공급기는 작동할 때 수체를 휘저어서 공기중의 산소가 물에 용해되게 하여 수체중 산소의 함량을 증가하고 골고루 분포되게 한다. 산소공급기가 물을 휘저을 때 새우 양식장 2~3미터 깊이의 하층수와 상층수간의 대류를 발생시켜 못 밑의 영양염과 산소 함유량이 많은 못 표층을 혼합시킨다. 산소 공급기를 통해 대량으로 번식한 이로운 산소세균이 유독물질을 끊임없이 무독물질로 분해시킴으로써 수질을 개선한다.

 

- 황토

황토를 바다에 집어넣으면 플랑크톤들이 흙 알갱이에 달라붙어 바다속으로 가라앉게 되고 황토내의 알루미늄 성분은 적조생물의 세포를 파괴하는 작용을 한다.

 

- 생석회

생석회는 산화칼륨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물과 접촉하면 소석회(일종의 알칼리성 소독제)로 변화되면서 열량을 방출하는데, 이 과정에 소독, 못 밑의 유기산 중화 및 못 밑에 있는 유기물질에 대한 무기화 작용을 한다.  소석회가 이산화탄소를 접하면 탄산칼슘으로 전변되는데 이는 이상적인 PH조정제로 양식수체의 산성도를 조정, 안정시키고 체질을 푸석푸석하게 하고, 체질의 공기유통조건을 개선하여 충적된 진흙의 질소, 인, 칼륨을 방출시켜 수체의 영양염을 증가하는 작용을 한다. 생석회로 못을 청소하는 경우 마른 못인 경우는 매 무(畝- 1무=666.7m2)에 50~75Kg, 물이 있는 못인 경우에는 매 무 1m수심의 수면에 125~150Kg 수요한다.

 

수질 오염 정도

2004년 중국 전 해역 해수 수질 오염이 심화되었고 연해 해역의 일부 조개류도 오염 됐으며 육지의 오염물이 바다에 투입되는 현상이 심각하고 대면적의 유독한 적조가 수차 발생하여 연해 해역의 해양생태계통이 심하게 악화됐다.

 

중국 정부발표에 따르면, 2004년 중국 전 해역에서 청결 표준에 도달하지 못한 해역면적이 16.9만 Km2 로 2003년에 비해 2.7만 Km2가 증가됐다.  연해 해역의 오염이 심각하고 오염해역으로는 주로 발해만, 강소성 연해, 장강 입구, 항주만(杭州?), 주강 입구 등임. 연해 해역의 주요한 오염물질로는 무기염과 활성인산염이다.  2004년 중국 해역에서는 모두 96차례의 적조가 발생하였고, 그 발생면적은 약 26,630Km2 다. 이 가운데 유독한 적조생물이 일으킨 적조가 20여 차례에 달했으며 발생면적은 거의 7,000Km2 이다.

 

 2004년 정상수위기 광동성 연해 해역수질 평가 결과

해역 명칭

표준 초과 항목

오염물

2003년

2004년

潮州근해

0.27

0.28

 

汕?근해

0.19

0.23

 

揭?근해

0.17

0.15

 

汕尾근해

0.22

0.21

부유물

惠州근해

0.18

0.17

부유물

深?근해

0.31

0.18

 

東莞근해

0.36

0.38

부유물

中山근해

0.46

0.29

부유물

珠海근해

0.18

0.25

 

江?근해

0.31

0.31

 

?江근해

0.28

0.22

 

茂名근해

0.19

0.17

 

湛江근해

0.16

0.17

 

(자료원 : 광동성환경보호감측센터 )


2004년 정상수위기 광동성 주요 입해구 수질 현황

하구 명칭

수질 현황

주요 오염 항목

변화추세

2003년

2004년

광주(?州)입해하구

경도 오염

경도 오염

산소 용해

산두(汕頭)입해하구

양호

경도 오염

산소, 질소암모니아, 인 용해

악화

담강(湛江)입해하구

우수

우수

-

(자료원 : 광동성환경보호감측센터)

 

□ 경쟁 동향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의 수질에 대한 요구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경제가 발전하는 동시에 환경오염도 날로 심해지고 있다.

 

수질개선제를 생산하는 업체들도 넓은 시장을 겨누고 투자를 많이 진행하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음용수 혹은 공업순환수에 맞는 수질개선제와 일부분의 적조와 녹조 제거제를 생산하는 회사로 이러한 약품은 디엔텍에서 생산하는 전문 양식장과 골프장의 적조와 녹조를 제거하는 약품과는 일정한 차이가 있다.

 

현재 중국에서 양식장, 골프장 등의 적조와 녹조제거용 수질개선제를 생산하는 회사는 많지 않으며,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보다 부가적으로 바이어들의 수요에 근거하여 실정에 맞게 생산해주는 회사들이 일부 있다.

 

적조제거제를 생산하는 생물기술회사들은 연구비용이 많이 들고 주성분이 미생물이라 원가가 높아 대부분 1Kg당 수백원 씩 한다. 국외브랜드도 전에는 중국에서 판매가 되었었는데 원가가 중국내 제품보다 높고 적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등 원인으로 대부분 시장에서 퇴출된 상태다.

 

2003년 기준, 광동성의 해수양식 생산량은 197.3만 톤, 담수양식 생산량은 256.3만 톤이며, 참새우의 생산은 30만 톤을 초과하는 등 양식업이 매우 발달하였지만 중국의 양식업은 보편적으로 규모가 작고 열세함.

 

□ 관세 및 수출입현황

 

관세율 및 증치세(부가가치세)

- 관세 : 6.5%

    - 부가가치세 : 17%

 

중국 전체 연도별 수출입 현황                                                                   (단위 : US$ 천, %)

 

수출

수입

연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2000

107,076

56.2

583,682

67.4

2001

206,885

93.2

685,717

17.5

2002

173,531

-16.1

897,825

30.9

2003

244,157

40.7

1,247,167

38.9

2004

385,224

57.8

1,389,505

11.4

 

주요 성별 수입현황                                                                                    (단위 : US$ 천, %)

순위

성명

2003년

2004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1,247

38.9

1,389

11.4

1

Guangdong PE(廣東省)

491

35.9

592

20.6

2

Shanghai CY(上海)

243

46.7

258

6.1

3

Jiangsu PE(江蘇省)

185

54.8

219

18.3

4

Tianjin CY(天津)

66

98.1

89

34.4

5

Beijing CY(北京)

50

60.6

55

10.1

6

Shandong PE(山東省)

60

14.4

42

-28.8

7

Liaoning PE(?寧省)

34

-4.1

33

-4.2

8

Zhejiang PE(浙江省)

30

-23.9

30

0.9

9

Fujian PE(福建省)

22

14.9

19

-14.1

10

Anhui PE(安徽省)

17

81.1

13

-23.3

 

광동성 연도별 수출입 현황                                                                          (단위 : US$ 천, %)

 

수출

수입

연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2000

47,604

148.3

47,604

148.3

2001

51,179

7.5

51,179

7.5

2002

64,067

25.2

64,067

25.2

2003

73,687

15

73,687

15

2004

98,329

33.4

98,329

33.4

 

중국 전체 주요 국가별 수출 현황                                                                  (단위 : US$ 천, %)

순위

국가명

2003년

2004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244,157

40.7

385,224

57.8

1

Hong Kong

65,750

31

112,406

71

2

Japan

30,620

51

56,575

84.8

3

United States

33,586

62.2

50,642

50.8

4

Korea Rep

18,309

11.7

23,710

29.5

5

Taiwan prov.

9,155

66.5

14,465

58

6

Thailand

9,102

-9.1

12,702

39.6

7

Indonesia

6,521

13.8

11,571

77.5

8

Singapore

5,578

55.9

9,188

64.7

9

Sudan

3,410

-35.4

6,845

100.7

10

India

3,780

65.6

4,980

31.8

 

 중국 전체 주요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 US$ 천, %)

순위

국가명

2003년

2004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1,247,167

38.9

1,389,505

11.4

1

Japan

397,961

49.2

464,992

16.8

2

United States

206,820

72.3

226,584

9.6

3

Taiwan prov.

129,951

24.8

149,041

14.7

4

Germany

112,359

37.3

126,416

12.5

5

Korea Rep

93,087

24.3

120,570

29.5

6

China

28,428

108.3

44,957

58.1

7

Singapore

35,489

61.3

43,338

22.1

8

Hong Kong

30,211

1.8

34,116

12.9

9

Netherlands

36,158

-2.8

22,978

-36.4

10

United Kingdom

25,555

19.8

22,762

-10.9

 

광동성의 국가별 수출 현황                                                                          (단위 : US$ 천, %)

순위

국가명

2003년

2004(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73,687

15

98,329

33.4

1

Hong Kong

45,351

12

64,367

41.9

2

Japan

3,237

188

7,311

125.8

3

Thailand

6,529

-26

6,593

1

4

Korea Rep

5,506

14.3

5,503

-0.1

5

United States

1,596

166

4,208

163.6

6

Taiwan prov.

1,947

63.8

1,758

-9.7

7

Singapore

2,131

10.7

1,688

-20.8

8

Indonesia

1,876

-8.9

1,686

-10.1

9

Vietnam

852

101.2

1,070

25.6

10

Brazil

2,491

147.2

799

-67.9

 

광동성의 국가별 수입 현황                                                                       ( 단위 : US$ 천, %)

순위

국가명

2003년

2004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49,021

47.8

60,226

22.9

1

Japan

13,163

71.1

18,496

40.5

2

Germany

4,804

69.6

7,797

62.3

3

Taiwan prov.

7,548

32.2

7,774

3

4

United States

7,590

33.8

7,694

1.4

5

China

2,653

51.9

3,702

39.5

6

Korea Rep

2,111

19.3

3,526

67

7

Singapore

2,438

44.8

2,650

8.7

8

Hong Kong

1,373

30.3

1,827

33.1

9

Thailand

41

-33

1,453

3,427.90

10

United Kingdom

822

48.3

1,095

33.1

 

작성일자 : 2005년 3월 31일

출처 : 중국 청도에서 생활하기
글쓴이 : 도우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