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미군 수송선'광양항 기항 논란

화이트보스 2011. 4. 17. 16:11

'미군 수송선'광양항 기항 논란

뉴시스 | 김석훈 | 입력 2011.04.17 13:29 | 누가 봤을까? 50대 남성, 전라

 




【광양=뉴시스】김석훈 기자 = 미군 수송선의 전남 광양항 기항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수송선의 광양항 입항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인정 되면서도 광양항이 미 해군의 병참기지가 되는 것 아니냐는 시민단체의 우려감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17일 광양만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미군 수송선 랍파한녹호가 광양항에 입항해 생수 100만병과 기타 선박에서 필요로 하는 제반 선용품 등의 컨테이너 화물을 선적하고 지난달 27일 출항했다. 이어 미 해군해상수송사령부(MSC)가 관할하는 해상 사전배치물자 수송선 메튜페리호(길이 210m, 4만298t)가 항해장비 및 선박 정비 등을 위해 14일 광양항에 입항했다.

해상 사전배치물자 수송선은 전 세계 각지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들에게 공급할 보급 물품 및 다양한 지원 장비 등을 적재하고 있는 선박으로 미 해군해상수송사령부와 계약을 체결한 일반 해운선사들이 대부분 선박운항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양경제청 집계결과 지난해 총 26척의 미군 수송선이 광양항을 이용했으며 4만3000여t의 화물 작업 및 7000여t의 선박연료를 급유했다. 또 지난해 미군 수송선의 광양항 총 정박일수는 약 530여일로 연인원 약 2만2000여명의 외국인 선원 을 비롯해 미국, 일본과 국내 타 지역의 미군 수송선 업무와 관련된 외국인들이 광양항을 찾았다.

미 해군관계자는 "미군 수송선의 광양항 기항 증가에 따라 선석사용료, 화물 작업료 예선사용료, 도선료, 해운 대리점 수입, 급유, 선박 정비 및 기타 해운관련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특히 "선원을 포함한 많은 외국인들의 방문 및 장기 체류에 따라 지역 내 숙박업체, 요식업체 등 선원 1인당 수만달러를 지출해 광양광 순천의 상권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광약지역 시민사회단체는 미군 수송선의 광양항 입항에 대해 광양항을 미 해군의 병참기지화 하려는 것 아니냐며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시민단체는 지난해 12월 미 해군 수송선이 전투지원장비를 하역하는 작전을 펼치자 광양항 대한통운 앞에서 평화로운 광양항에서 전쟁훈련은 안된다며 피켓 시위를 벌였으며, 최근에는 광양항에 수송선이 잇따라 입항하자 병참기지화여부에 대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광양진보연대 관계자는 "미군 수송선이 3척이나 광양항에 있다는 것은 군사 기지화에 대한 의혹을 떨칠 수 없다"면서 "주한미군은 2005년 경북 칠곡군에 있던 정비 창고를 광양항으로 옮기려 했으나 시민사회단체의 저항에 부딪혀 무산된 적이 있다"고 우려했다.

미 해군해상수송사령부 한국 관계자는 "2004년 8월 미군 수송선이 광양항에 처음 기항한 이후 국내 일부 타 항만들의 미군 수송선 유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광양항을 꾸준히 이용해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광양항의 뛰어난 항만시설과 선석 확충, 고속도로 등 SOC여건의 개선, 유관기관 및 터미널운영사의 적극적인 협조가 기항 이유이며, 일부 시민사회단체가 우려감을 갖고 제기하고 있는 병참기지 이전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kim@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