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고위 관계자는 “풍계리 남쪽(3호) 갱도에서 최근 인력과 차량의 활발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3차 핵실험(2월 12일)을 앞두고 보였던 행동과 유사한 상황이어서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2월 서쪽(2호) 갱도에서 3차 핵실험을 했으며, 이후 일상적인 시설관리 수준 정도로 3호 갱도를 관리해 왔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그는 또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실시할 것이라는 첩보도 입수됐다”며 “실제로 추가 핵실험을 위한 마무리 작업을 하는 것인지, 우리 정부와 미국을 압박하기 위한 시위성 기만전술인지 분석 중”이라고 덧붙였다. 핵실험장 주변의 부산한 움직임은 지난주 중반부터 포착됐다고 한다.
이와 함께 북한은 지난주 중반 중거리 탄도미사일(사거리 3000㎞ 이상)인 ‘무수단’을 동해안으로 옮겨 발사 준비를 마쳤다. 군 관계자는 “중거리 미사일과 이동형 발사대(TEL)가 부착된 열차를 이용해 동해안 원산 인근으로 옮긴 뒤 모처에 숨겨뒀다”며 “이동형 발사대를 이용하는 만큼 언제라도 발사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은 지난해 10월 이후 서쪽 갱도와 남쪽 갱도의 핵실험을 동시에 준비해 왔다”며 “추가 핵실험 준비는 거의 마친 상태로 정치적 결단만 있으면 수일 내 핵실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자 한·미 합참의장은 다음 주 미국 워싱턴 D C에서 예정했던 한·미 군사위원회(MCM) 회의를 잠정 연기하기로 했다. 합참 관계자는 “현재상황에서 자리를 비울 수 없기때문에 일정을 조정하기로 했다” 고 밝혔다.
김장수 실장은 “북한이 개성공단과 평양 주재 외교공관에 4월 10일까지 철수방안을 내놓으라며 시점을 못 박는 것은 계산된 행동으로 보인다”며 “그 시기를 전후로 미사일 발사 등과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김행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개성공단에서 담석증으로 복통을 호소하던 하모(43)씨의 긴급 후송을 7일 허용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개성공단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긴급 출경이 이뤄진다”며 “출입 정상화 조치로 판단하긴 이르다”고 말했다. 북한의 개성공단 통행제한 조치가 닷새째 이어지며 7일 현재 13개 업체가 조업을 잠정 중단키로 한 상태다.
정용수·허진 기자
[관계기사]
▶북 도발 시나리오 2단계 진행 중…이번 주가 분수령
▶"北 도발 못하게 중국이 좀…"각국 정상들 촉구
▶英 외교관 "김정은, 오바마 연락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