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3.04.09 10:52 | 수정 : 2013.04.09 11:12
중국은 지금까지 핵문제에 있어 사실상 북한 편을 줄곧 들어줬다. 하지만 지난 달에는 이례적으로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채택에 찬성표를 던졌다.
이후 양국 국경인 중국 단둥(丹東) 인근에서 북한이 대규모 군사훈련을 하자 중국 국경수비대가 집중 배치되고, 반대로 북한의 전파방해로 단둥 지역 내 통화가 어려워지는 등 첨예한 대립 관계가 형성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시사저널 보도에 따르면 유엔 대북결의안이 통과된지 보름 정도 지난 3월 25일 단둥 건너편 북한 신의주시에서 전투기가 굉음을 울리며 비행하는 등 3~4시간 동안 진행된 이례적 군사훈련이 있었다. 그러자 단둥 쪽에서도 국경 수비대가 무장한 채 압록강변에 무려 10㎞정도 길게 배치됐다는 것. 이 매체는 현지에서 대북 무역을 하는 한 조선족 상인의 말을 인용, 최근 7년간 이런 일이 벌어진 적이 없었다고 전했다.
또 안보리 결의안 채택 직후 중국 정부가 북한에서 밀수돼 단둥에서 판매되는 물건들에 대한 단속을 심하게 했으며, 중국에서 북한으로 넘어가는 물자와 차량의 수도 눈에 띄게 줄었었다고 시사저널은 전했다. 그나마도 중국 국경수비대 등이 이런 차량에 대한 검색을 대폭 강화했었다는 것이다.
매일경제도 최근 단둥 인근 육군과 공군 부대가 지난 달 중순부터 전 장병에 대한 외출·외박·휴가 금지령을 내렸다고 전했다. 중국 군사 전문 사이트에 따르면 선양군구 산하 39집단군 소속 115사단과 116사단 등이 압록강 부근에 배치돼 전투 준비태세에 들어갔으며 미사일부대인 제2포병 산하 810여단도 주둔지를 떠났지만 행선지가 파악되지 않는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단둥에서는 휴대폰이 1분을 통화하기로 힘들 정도로 수시로 끊어지고 있으며 현지 주민은 북한 보안당국이 방해전파를 쏘거나 위성위치확인시스템 교란 장치를 가동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중국과 북한 두 나라는 이미 6·25전쟁 이전부터 혈맹 관계를 맺으며 의존과 지원을 이어가고 있는 사이인만큼 서로에 대한 공식적 대응은 자제하고 있다.
하지만 두 나라의 오랜 상호 관계나 상호 필요성 등을 감안할 때, 이런 국경 지역의 긴장 관계가 실제 양측간 물리적 격돌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