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3.07.10 01:41
조선·중앙·동아 잇단 중단… 매경·한겨레도 "검토 중"
조선일보·동아일보·중앙일보 등 주요 언론사들이 잇따라 뉴스통신사 연합뉴스와의 전재(轉載) 계약을 중단했다. 전재 계약은 신문사나 방송사들이 연합뉴스와 같은 뉴스통신사에 대가를 지불하고, 통신 기사와 사진을 받아 보도에 활용하는 것이다.
동아일보는 지난 7월 1일 연합뉴스와의 전재 계약을 중단했다. 동아일보는 지면(紙面)뿐만 아니라, 인터넷 사이트 '동아닷컴'과 자회사인 종합편성채널 '채널A'에서도 연합뉴스 전재 계약을 중단했다. 앞서 TV조선은 2011년 12월 개국 때부터 연합과 전재 계약을 맺지 않았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도 각각 올해 2월 1일과 1월 1일에 연합뉴스와의 전재 계약을 중단했다.
동아일보는 지난 7월 1일 연합뉴스와의 전재 계약을 중단했다. 동아일보는 지면(紙面)뿐만 아니라, 인터넷 사이트 '동아닷컴'과 자회사인 종합편성채널 '채널A'에서도 연합뉴스 전재 계약을 중단했다. 앞서 TV조선은 2011년 12월 개국 때부터 연합과 전재 계약을 맺지 않았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도 각각 올해 2월 1일과 1월 1일에 연합뉴스와의 전재 계약을 중단했다.
연합뉴스는 소유 구조로 보면 정부가 8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형태다. 주요 주주인 뉴스통신진흥회(30.8%)·KBS(27.8%)·MBC(24.7%)는 모두 정부가 대주주인 기관과 방송사다. 해외에선 중국(신화통신)을 제외하고, 미국·일본·유럽 등 대부분이 민영 뉴스통신사 형태다. 정부는 지난 10년간 연합뉴스에 '정부구독료'라는 명분으로 국민 세금으로 2934억원을 지원했다. 정부는 올해도 354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1980년 연합뉴스 출범 이후 30여년간 전재 계약을 유지했던 신문사들이 태도를 바꾼 것은 포털사이트 문제가 컸다. 연합뉴스가 2000년대 중반부터 신문사에 연간 3억~7억원씩 받고 제공하던 통신 기사를 네이버·다음 등 포털에 공짜로 노출하면서 갈등이 불거졌다.
연합뉴스의 이런 행태는 네티즌에게 '기사는 공짜'라는 인식을 심어줘, 신문사들의 온라인 뉴스 유료화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이용자 입장에선 인터넷에 '공짜 뉴스(연합)'가 있는데, 신문사의 기사를 돈 주고 사볼 필요를 못 느낀다는 것이다.
동아일보 관계자는 "본사를 포함한 다수의 국내 언론사가 연합뉴스 측에 뉴스 콘텐츠 시장의 정상화를 위해 포털에 기사와 사진 공급을 중단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이를 거부했다"며 "연합의 행위는 뉴스통신사로서 공적인 의무와 책임에 반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진병태 기획조정실장은 "소비자의 뉴스 소비 패턴이 신문에서 포털·모바일로 바뀌는 상황에서 연합뉴스는 기간통신사업자로서 유사 언론 매체인 포털에 기사·사진을 공급하는 게 맞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