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단 자위권 행사 때 .. 한국, 사전동의권 미에 요구
한반도 주권에 관련된 부분미·일방위지침에 반영 요청
미국 "이해한다" 입장 보여 중앙일보 박승희 입력 2013.10.28 01:54 수정 2013.10.28 04:18
미국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인정하기로 한 데 대해 우리 정부가 본격 대응에 나섰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25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관련해 "한반도 주권 행사와 관련된 부분에서는 우리의 입장을 반영해 달라고 미국 측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계자는 "집단적 자위권은 유엔헌장에도 나와 있는 보통국가의 권리 중 하나"라며 "하지만 집단적 자위권이 확대 해석돼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거나 한국의 주권과 관련된다면 한국의 동의를 거쳐야 한다는 점을 미국 측 인사들에게 강조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 일본이 '미·일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할 때 이 같은 한국의 입장이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미 정부에 요구했다"며 "미국 측은 우리 정부의 요구에 대해 '이해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달 초 미국과 일본은 도쿄에서 외교·국방장관 회담을 하고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미·일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하기로 했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또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는 주변국들의 의견을 감안해 절제된 형태로 이뤄져야 한다" 고도 강조했다. 그는 과거사 문제와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 갈등에 대해 "미국 측 인사들과 많은 의견을 나눴다"며 "미국은 한·일 갈등이 한·미·일 협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워싱턴 정가에서는 "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관련된 한국 정부의 입장이 공식 회담에서 본격 거론된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관계국들의 이해가 대립하는 사안이어서 좀 더 진행 과정을 지켜봐야 하지만 향후 이 문제는 한·미·일 협력의 틀을 손상시키지 않는 선에서 매듭지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 "미국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용인하려는 것은 급부상하는 중국의 군사력을 견제하고 북한의 핵 및 장거리 미사일 개발에 따른 국제 정세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군사적 분담의 성격을 띠고 있기에 미 정부의 양보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7일 자위대 사열식 행사에서 "북한의 대량파괴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 우리(일본) 주권에 관한 도발 등 현실을 감안할 때 일본이 더 이상 멈춰 서 있을 여유가 없다"며 "올 연말까지 집단적 자위권 등 안전보장의 법적 기반 검토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박승희 특파원 <pmasterjoongang.co.kr>
박승희 기자pmaster@joongang.co.kr
특히 "미국과 일본이 '미·일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할 때 이 같은 한국의 입장이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미 정부에 요구했다"며 "미국 측은 우리 정부의 요구에 대해 '이해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달 초 미국과 일본은 도쿄에서 외교·국방장관 회담을 하고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미·일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하기로 했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또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는 주변국들의 의견을 감안해 절제된 형태로 이뤄져야 한다" 고도 강조했다. 그는 과거사 문제와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 갈등에 대해 "미국 측 인사들과 많은 의견을 나눴다"며 "미국은 한·일 갈등이 한·미·일 협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워싱턴 정가에서는 "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관련된 한국 정부의 입장이 공식 회담에서 본격 거론된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관계국들의 이해가 대립하는 사안이어서 좀 더 진행 과정을 지켜봐야 하지만 향후 이 문제는 한·미·일 협력의 틀을 손상시키지 않는 선에서 매듭지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 "미국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용인하려는 것은 급부상하는 중국의 군사력을 견제하고 북한의 핵 및 장거리 미사일 개발에 따른 국제 정세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군사적 분담의 성격을 띠고 있기에 미 정부의 양보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7일 자위대 사열식 행사에서 "북한의 대량파괴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 우리(일본) 주권에 관한 도발 등 현실을 감안할 때 일본이 더 이상 멈춰 서 있을 여유가 없다"며 "올 연말까지 집단적 자위권 등 안전보장의 법적 기반 검토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박승희 특파원 <pmasterjoongang.co.kr>
박승희 기자pmaster@joongang.co.kr
중앙일보 관련기사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중앙일보 실시간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버스10대' 日자위대,6·25격전지서…섬뜩 2013-10-28 00:19
- 15세女,'카톡 애인' 알몸사진 문자받고 충격 2013-10-28 01:11
- '깐깐 선배, 까칠 후배' 내노라 하는 선배도 2013-10-28 01:40
- 성형하다 시력 잃은 30대女, 8억5000만원을 2013-10-28 01:03
- 깜짝 시구한 박 대통령 "응원한 팀은…" 2013-10-28 01:29
추천 6
- 日, 한반도 유사시 현재처럼 후방지원 가능성 서울신문
- 미국 '아시아전략' 수용하되 '일본 한반도 개입' 우려를 불식 한국일보
- 정부, 일본 집단적 자위권 '제한적 용인' MBN
- 일본 집단 자위권 행사 때 .. 한국, 사전동의권 미에 요구 중앙일보
- 일 집단적 자위권 행사 정부, 제한적 인정 시사 한겨레
- 정부, 美에 미일방위지침 반영 요청 동아일보
- 집단자위권 행사 범위 제한.. 정부, 일에 '금지선' 제시키로 경향신문
- 집단자위권 대응기조 변화조짐..정부, 수위 높이나 연합뉴스
- "日 집단자위권 한반도 행사땐 한국 동의 반드시 필요하다" 세계일보
- 정부, 집단자위권에 본격 목소리..日대응 주목 연합뉴스
- "日 집단적 자위권 한반도에선 제한" 국민일보
- 전문가 "日 작전 등 사전 협력 프로세스 필요" 서울신문
'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 > 자주 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위대, 지도 그려가며 다부동 교육 왜 (0) | 2013.10.28 |
---|---|
정부, 패트리엇 미사일 112기 구매 美에 타진 (0) | 2013.10.28 |
한국 해군이 核항모와 核잠수함을 확보해야 하는 세가지 이유 (0) | 2013.10.27 |
北 도발 시 한반도에 배치될 최신 첨단무기들 (0) | 2013.10.26 |
PAC-3탄 도입 탄도미사일 방어 능력 확충 (0) | 201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