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최민희 "누가 종북 친노냐"…조경태 "賣盧가 문제"

화이트보스 2014. 3. 14. 17:23

최민희 "누가 종북 친노냐"…조경태 "賣盧가 문제"

[뉴스1] 입력 2014.03.14 16:18 / 수정 2014.03.14 16:50

최민희, "친노종북 신당 따라오지 말라" 조경태에 공개서한

최민희 민주당 의원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신당, 온-오프결합 시민참여형 정당으로 승부하자` 긴급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최민희 민주당 의원은 '친노(친노무현) 종북(從北·북한 추종)은 신당에 따라오지 말라'고 발언한 조경태 최고위원을 향해 "심각한 이지메 정치"라며 공개토론을 14일 제안했다.

당내 친노 진영으로 분류되는 최 의원은 이날 공개서한을 통해 "도대체 종북친노가 무슨 뜻이냐. 종북 또는 친노냐. 아니면 종북 그리고 친노를 지칭하는 말이냐"며 "아무런 개념규정 없이 일부 보수세력이 쳐놓은 야권분열 프레임에 빠져 내부 분란을 야기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항의했다.

이에 앞서 당내 대표적인 비노(비노무현) 인사로 꼽히는 조 최고위원은 전날(13일) 뉴스1과 통화에서 "국가 정체성에 대한 이념이 다른 사람들, 패권주의적인 사람들과 한 지붕 두 가족이 더 이상 돼선 안 된다. 이대로 가면 '도로 민주당'일 뿐"이라며 "친노 종북 세력은 신당에 따라오지 말라"고 주장한 바 있다.

최 의원은 서한에서 "'친노'는 친노 정신을 지키고자 애쓰는 사람들 모두"라면서 "친노 정신은 권위주의 타파, 시민참여, 지방분권, 원칙과 상식을 지향한다. 민주당은 친DJㅡ친노 정당"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총선과 대선에서 이기지 못한 책임에서 우리 모두 자유롭지 못하다"고 전제한 뒤 "두 번 선거에서 중요 역할을 한 무게만큼 책임도 무거운 것(은) 삼척동자도 안다. 저는 누구도 책임을 회피하는 것을 못보았다"며 "걸핏하면 일부 보수언론과 발을 맞추어 당내·외 분란 발언을 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라고 반문했다.

최 의원은 "한두번이 아니다. 거듭되는 조 의원의 행태는 기획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요구한다. 누가 종북 친노인지 밝혀달라"면서 "그 다음 공개토론하자. 종북이 무엇이고 친노가 무엇인지 종북친노는 또 무엇인지 추적해보자"고 요구했다.

이어 "지금 우리 사회는 기로에 섰다. 우리는 지방선거에서 언론정치에 기대, 민주와 민생을 파괴하는 세력을 심판해야 한다"며 "통합신당으로 하나 돼 나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정청래 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에 조 최고위원의 발언을 링크한 뒤 "유치한 영혼이 측은하고 불쌍한 영혼에 그냥 우스울 뿐"이라고 적었다.

조경태 민주당 최고위원.

한편, 조 최고위원은 이날 보도전문채널인 뉴스Y의 '맹찬형의 시사터치'에 출연해 '친노 배제론'에 대한 질문에 전날보다 톤을 낮추긴 했지만, '매노(賣盧)'를 문제삼으며 자신의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친노라고 하면 여러 부류가 있다. 노무현 정신을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합리적인 친노들이 있고, 저도 사실은 오래 전부터 노 전 대통령과 뜻을 같이 했던 사람 중 한 사람"이라며 "그러나 자칭 친노라고 하는 사람들 중에서 그들만의 친노가 있다. 노 전 대통령의 이름을 팔아 정치적 이득을 보려고 하고, 정작 어려울 때는 곁에 있지 않다가 과실만을 따먹으려고 정치적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분들의 매노 행위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분들의 친노 패권주의로 치닫는 모습들이 국민들로부터 (민주당을) 상당히 경계하게 하고, 민주당의 지지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들이 있다"면서 "그들만의 친노들은 계파를 위한, 계파에 의한, 계파의 정치를 하는 분들도 있다는 국민적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 노력을 좀 더 기울였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조 최고위원은 또 "제대로 된 신당을 만들고 민주당의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기 위해서라도 민주당을 해체시키고 (개별적으로) 신당에 합류해야 한다"며 "지금의 통합방식은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지 않은 상태에서 흡수합당의 형태로 가기 때문에 국민들은 '도로 민주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자리 숫자의 지지율을 갖고 있던 민주당의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나기 위해선 그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있어야 한다"며 △반성할 줄 모르는 정당 이미지 △특정계파의 반민주적 행태 △종북 이미지 △반대를 위한 반대 정당 이미지를 탈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