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60만가구 '오를 일'만 남았다?
닻 올린 수직증축 리모델링 / '개발 붐' 일으킬까머니위크 노재웅 기자 입력 2014.05.13 05:14
리모델링시장이 수직증축 날개를 달았다. 2000년 말 선풍적인 바람을 일으켰던 재건축·재개발에 이어 업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을 분위기다.
◆매매가 상승 탄력… 쟁여놓는 물건 늘어
앞으로 지은 지 15년 이상 된 아파트·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은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가능하다. 15층 이상의 공동주택은 최대 3개층, 14층 이하는 최대 2개층까지 층수를 높일 수 있으며 일반분양에 대한 가구수는 15%까지 늘릴 수 있다.
또한 전용면적 기준으로 85㎡ 이하 공동주택은 면적의 40%, 85㎡ 이상 공동주택은 면적의 30%까지만 증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18평)를 수직증축해 리모델링 할 경우 최대 84㎡(약 25평)까지 늘어나고, 85㎡(25.7평)는 최대 119㎡(약 36평)까지 늘어나는 셈이다.
그동안 논란이 됐던 안전성 문제는 구조안전진단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대처한다. 수직증축 리모델링사업을 진행하려면 구조안전진단을 2번 받아야 한다. 아울러 추가로 리모델링 전문기관에 안전검토도 2회 받아야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주택법 개정안에 따라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가능한 공동주택은 아파트 443만가구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총 559만1000여가구, 19만3000여동에 이른다.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절반 이상이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인 셈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은 시장 선점을 위해 너 나 할 것 없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그런가 하면 강남과 분당, 1기 신도시 등 리모델링 추진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는 개발 호재에 따른 훈풍이 불고 있다.
분당 소재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리모델링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으면서 투자자들의 문의가 늘고 있다"면서 "인근 평균 매매가격이 연초보다 2000만~3000만원가량 올랐고 물건을 거둬들이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리모델링을 추진해왔던 기존 단지 주민들의 표정도 밝아졌다. 수직증축으로 일반분양 가구수가 기존보다 5%포인트 확대되면서 주민 분담금이 줄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85㎡ 1000가구로 구성된 아파트단지를 가구당 103㎡로 늘리는 리모델링을 할 경우 수직증축이 안 되면 가구당 2억원가량의 공사비를 내야 한다. 하지만 3개층을 수직증축해 추가로 150가구를 만든 뒤 일반분양(분양가 3.3㎡당 1800만원 추정)하면 기존 집주인들의 부담금은 1억2000만원으로 줄어든다.
한편 일각에선 수직증축 허용이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재건축과 리모델링 사이에서 관망하는 수요가 어느 쪽으로 움직일지는 섣불리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수직증축이 과거 재개발·재건축처럼 대대적인 훈풍을 일으킬지는 아직 미지수"라며 "일부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업체들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일단은 지켜보자는 심리가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본 기사는 < 머니위크 > (
www.moneyweek.co.kr
) 제33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 서세원 서정희, 오죽하면 아내가 직접누른 숫자
◆매매가 상승 탄력… 쟁여놓는 물건 늘어
앞으로 지은 지 15년 이상 된 아파트·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은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가능하다. 15층 이상의 공동주택은 최대 3개층, 14층 이하는 최대 2개층까지 층수를 높일 수 있으며 일반분양에 대한 가구수는 15%까지 늘릴 수 있다.
![]() |
그동안 논란이 됐던 안전성 문제는 구조안전진단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대처한다. 수직증축 리모델링사업을 진행하려면 구조안전진단을 2번 받아야 한다. 아울러 추가로 리모델링 전문기관에 안전검토도 2회 받아야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주택법 개정안에 따라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가능한 공동주택은 아파트 443만가구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총 559만1000여가구, 19만3000여동에 이른다.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절반 이상이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인 셈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은 시장 선점을 위해 너 나 할 것 없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그런가 하면 강남과 분당, 1기 신도시 등 리모델링 추진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는 개발 호재에 따른 훈풍이 불고 있다.
![]() |
리모델링을 추진해왔던 기존 단지 주민들의 표정도 밝아졌다. 수직증축으로 일반분양 가구수가 기존보다 5%포인트 확대되면서 주민 분담금이 줄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85㎡ 1000가구로 구성된 아파트단지를 가구당 103㎡로 늘리는 리모델링을 할 경우 수직증축이 안 되면 가구당 2억원가량의 공사비를 내야 한다. 하지만 3개층을 수직증축해 추가로 150가구를 만든 뒤 일반분양(분양가 3.3㎡당 1800만원 추정)하면 기존 집주인들의 부담금은 1억2000만원으로 줄어든다.
한편 일각에선 수직증축 허용이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재건축과 리모델링 사이에서 관망하는 수요가 어느 쪽으로 움직일지는 섣불리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수직증축이 과거 재개발·재건축처럼 대대적인 훈풍을 일으킬지는 아직 미지수"라며 "일부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업체들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일단은 지켜보자는 심리가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본 기사는 < 머니위크 > (
www.moneyweek.co.kr
) 제33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 서세원 서정희, 오죽하면 아내가 직접누른 숫자
'산행기 > 주택설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광양 임대아파트 ‘봇물’ (0) | 2014.06.22 |
---|---|
첨단 주택시장에 일본주택 열풍 (0) | 2014.06.11 |
좋은 집, 나쁜 집, 이상한 집 (0) | 2014.05.07 |
집 짓다 늙지 않으려면 (0) | 2014.04.30 |
가진 거라곤 달랑 집 한 채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기사100자평(0) 크게 작게요즘싸이 공감조선블로그MSN 메신저 ▲ 서울에서 소규모 도매 (0) | 201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