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406/12/htm_201406122543750105011.jpg)
1975년 오일쇼크 때 기름값이 4배 이상으로 뛰면서 국가 부도 위기에 몰렸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을 불러 “오일쇼크로 부자가 된 중동에서 대책을 찾아오라”고 주문했다. 정 명예회장은 중동에 다녀온 뒤 이런 대답을 내놨다. “중동은 건설 공사를 하기에 세계에서 가장 좋은 곳이다. 비가 오지 않으니 1년 내내 공사를 할 수 있고 모래와 자갈이 지천이어서 자재 조달이 쉽다.” 현대건설은 이듬해 사우디아라비아 주베일 항만공사를 수주한다.
고(故)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이 반도체 산업 투자를 결정한 때는 83년이다. 나이 73세의 노(老)기업인의 결단은 이랬다. “철강 1t의 부가가치는 20만원이며 자동차 1t은 500만원이다. 반도체 1t은 13억원이다. 반도체 산업을 장악하는 사람이 세계를 지배한다.” 기술 이전도 받지 못할 것이라고 경쟁 업체들이 비웃었지만 삼성은 8년 만에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가 됐다.
SK그룹을 창업한 고 최종건 회장이 73년 서울 광장동 워커힐호텔을 인수할 때의 일화다. 10년 내리 적자를 내던 호텔을 인수하던 그에겐 정상화 복안이 있었다. 당시 논바닥이었던 서울 천호동에 레저단지를 조성하고 워커힐까지 한강을 건너는 케이블카를 설치해 손님을 유치한다는 구상이었다. 그의 아들인 최신원 SKC 회장은 “단숨에 워커힐을 서울의 명물로 만들어줄 아이디어였다”며 “창업 1세대들의 경영 스케일은 이렇게 과감한 면모가 있었다”고 말했다.
![](http://images.joins.com/ui_joins/news10/common/t_ad.gif)
이상재 기자
관련기사
- 中·日 발빠른 투자로 20조 잭팟, 한국은 189조 쌓아놓기만… 미국 월가의 최대 관심사는 초읽기에 들어간 중국 알리바바의 상장이다. 온라인 쇼핑몰인 이 회사는 상장 후 값어치가 20조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주인공은 막노동으로 학비를 벌었던 창업자 마윈(云) 회장이다. 중국 벤처기업 소셜터치의 장루이 대표는 “중국 정부의 수많은 정책보다 마 회장 한 사람의 존재가
- 손정의 "소프트뱅크 경영전략인 `제곱 병법` 핵심 두 가지는…" [중앙일보] 2014-06-12 02:52
- 피터 드러커도 극찬한 정주영·이병철 위기 돌파 DNA 어떻길래 [중앙일보] 2014-06-12 02:52
- 농기계만 124년째 만든 회사, 세계 100대 혁신 기업에… [중앙일보] 2014-06-12 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