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 끊긴 시중은행, 문턱 닳는 저축은행저금리 별곡 / 저금리에 울고 웃는 금융권 머니위크 한영훈 기자 입력 2014.09.09 05:03
바닥을 드러낸 줄 알았던 금리가 또 한번 주저앉았다. 지난 4년간 꾸준히 저점을 낮춰온 금리가 또 다시 하향곡선을 그리며 투자자들의 가슴을 철렁하게 만든 것이다. 이러한 저금리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전문가들은 내년까지도 금리상승세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그렇다면 본격적인 저금리시대를 바라보는 금융업계의 시선은 어떨까. 시중은행들은 예금금리가 연 2%대를 위협받음에 따라 잔뜩 얼굴을 구기고 있다. 과거 '안전한 투자가 최고의 투자'라고 주장하던 고객들마저 이제는 백기를 들고 새로운 투자처를 찾아 떠나는 모습이다.
반면 증권업계나 저축은행업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시중은행을 떠난 투자자들이 '중위험·중수익' 또는 '고위험·고수익' 상품을 찾아 증권시장과 저축은행 쪽으로 유입되고 있어서다. 이에 해당 업계에서는 이번 기회를 발판삼아 다양한 고정투자자를 확보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스1 ◆ 시중은행 '1%대' 예금금리 목전 '울상'
# 다음 달 시중은행 적금 만기를 앞둔 직장인 A씨(37)는 깊은 고민에 빠졌다. 평소 위험한 선택을 즐기지 않는 A씨는 재테크를 할 때도 "금리가 좀 낮더라도 안전한 은행 예·적금상품을 이용하는 편이 현명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시중은행 예금상품을 알아보니 금리가 연 2%대인 데다 곧 연 1%대까지 떨어지는 초저금리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해져 막상 시중은행에 재예치하기가 꺼려진 것. A씨는 고민 끝에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보장해주는 저축은행으로 투자처를 옮기기로 마음 먹었다.
본격적인 저금리시대에 돌입함에 따라 A씨처럼 시중은행을 빠져나가는 이탈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은행예금이 아무리 안전자산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연 2%대의 이율도 보장받기 힘든 상황 속에서는 더 이상 투자의 매력을 찾기 힘들어서다. 이에 시중은행들은 연일 '울상'을 짓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은행권에서는 수익창출을 통해 생존권(?)을 보장받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시중은행들은 떠나는 고객의 마음을 되돌리기 위해 연 5% 이상의 고금리를 보장해주는 상품들을 앞다퉈 출시했다. 이러한 '틈새상품'들만 잘 살펴봐도 비록 소액이긴 하지만 높은 금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은 월 납입액 20만원 한도 내에서 연 최대 5.5% 금리를 제공하는 '난 할 수 있어 정기적금'을 선보였다. 이 상품의 기본금리는 연 3%지만 봉사활동 등의 약속을 실천하면 1%포인트를 추가로 올려주고 자동이체할 경우에는 1%포인트를 더 추가해준다. 또, 인터넷 뱅킹 등을 통해 예적금 추가가입시 0.5%포인트를 더해준다.
우리은행 역시 월 납입금액 20만원 내에서 1년에 최대 5% 이자를 주는 적금상품을 출시했다. 농협은행의 '법사랑플러스적금'도 기본금리 연 2.41%에 카드사용, 주택청약저축 신규가입 등의 조건을 충족하면 연 3.41%까지 금리를 높여준다.
일각에서는 은행권이 예대마진(예금과 대출금리의 차이)을 이용해 잇속 챙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한 이후 예·적금의 시중금리에는 인하 폭을 적극 반영한 반면 대출금리 인하에는 유독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 증권사 '고위험·고수익' 투자자 증가에 '방긋'
이처럼 안정적인 시중은행을 떠나 다른 투자상품으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가 늘어나면서 증권시장에는 '청신호'가 켜졌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고려했을 때 연 2% 수준의 이율을 보장하는 시중은행에 돈을 맡기느니 차라리 일정부분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고수익을 보장하는 사모펀드나 ELS, 기업어음 등에 투자해 투자가치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기준금리 인하 소식이 전해진 이후 증권가에는 판매개시시점에서 5분이 채 지나지 않아 판매가 완료되는 '5분 완판' 상품이 잇따르고 있다. 대우증권의 '몽골 무역개발은행 사모펀드', '특별한 환매조건부채권', 신한금융투자의 '세이프 공모주랩' 등은 모두 판매개시 후 5분 만에 완판을 기록했다. 연 4%대 수익에 최대 5억원까지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익성과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원금손실의 가능성이 열려 있는 만큼 자신의 위험선호 수준에 맞는 상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본격적인 초저금리시대에 진입하면서 안전자산을 선호했던 투자자들도 기업어음(CP), 주가연계증권(ELS), 사모펀드 등의 위험자산에 눈을 돌리고 있다"며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만큼 위험도를 철저하게 따져 자신에게 맞는 리스크 수준의 상품을 찾아 가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저축은행 3%대 정기예금으로 '활짝'
저금리 기조가 짙어지면서 은행권 예금금리가 1%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지자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보장하는 저축은행으로 발길을 돌리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이로 인한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는 상황.
저축은행업계는 최근 새롭게 문을 연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들을 공격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물 들어 왔을 때 노를 저어라'는 옛말처럼 이번 기회를 발판삼아 다양한 고정투자자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공시(8월27일 기준)에 따르면 참저축은행이 내놓은 연 3.3% 특판 정기예금 100억원어치는 일주일도 채 못돼 모두 팔려나갔다. 부산·경남지역 동원제일저축은행의 연 3.04% 특판예금도 100억원 한도가 거의 소진된 상태다. 현재 유니온저축은행과 참저축은행의 경우 각각 연 3.10%, 3.06%의 금리를 제공하며 친애·드림·동원제일·대명·청주·한성저축은행 등은 3.00%를 적용한다. 전국 대부분의 저축은행들은 연 이율 2.75% 수준을 보장한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혹여나 저축은행이 파산할까 불안하다면 한 은행당 예금자보호가 되는 한도 5000만원까지만 돈을 넣으면 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 대부업체들이 앞다퉈 저축은행시장에 진출하며 업계 판도가 바뀌고 있는 만큼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고금리를 보장하는 특판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추석합본호(제347호·제348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한영훈 기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그렇다면 본격적인 저금리시대를 바라보는 금융업계의 시선은 어떨까. 시중은행들은 예금금리가 연 2%대를 위협받음에 따라 잔뜩 얼굴을 구기고 있다. 과거 '안전한 투자가 최고의 투자'라고 주장하던 고객들마저 이제는 백기를 들고 새로운 투자처를 찾아 떠나는 모습이다.
반면 증권업계나 저축은행업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시중은행을 떠난 투자자들이 '중위험·중수익' 또는 '고위험·고수익' 상품을 찾아 증권시장과 저축은행 쪽으로 유입되고 있어서다. 이에 해당 업계에서는 이번 기회를 발판삼아 다양한 고정투자자를 확보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 다음 달 시중은행 적금 만기를 앞둔 직장인 A씨(37)는 깊은 고민에 빠졌다. 평소 위험한 선택을 즐기지 않는 A씨는 재테크를 할 때도 "금리가 좀 낮더라도 안전한 은행 예·적금상품을 이용하는 편이 현명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시중은행 예금상품을 알아보니 금리가 연 2%대인 데다 곧 연 1%대까지 떨어지는 초저금리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해져 막상 시중은행에 재예치하기가 꺼려진 것. A씨는 고민 끝에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보장해주는 저축은행으로 투자처를 옮기기로 마음 먹었다.
본격적인 저금리시대에 돌입함에 따라 A씨처럼 시중은행을 빠져나가는 이탈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은행예금이 아무리 안전자산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연 2%대의 이율도 보장받기 힘든 상황 속에서는 더 이상 투자의 매력을 찾기 힘들어서다. 이에 시중은행들은 연일 '울상'을 짓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은행권에서는 수익창출을 통해 생존권(?)을 보장받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시중은행들은 떠나는 고객의 마음을 되돌리기 위해 연 5% 이상의 고금리를 보장해주는 상품들을 앞다퉈 출시했다. 이러한 '틈새상품'들만 잘 살펴봐도 비록 소액이긴 하지만 높은 금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은 월 납입액 20만원 한도 내에서 연 최대 5.5% 금리를 제공하는 '난 할 수 있어 정기적금'을 선보였다. 이 상품의 기본금리는 연 3%지만 봉사활동 등의 약속을 실천하면 1%포인트를 추가로 올려주고 자동이체할 경우에는 1%포인트를 더 추가해준다. 또, 인터넷 뱅킹 등을 통해 예적금 추가가입시 0.5%포인트를 더해준다.
우리은행 역시 월 납입금액 20만원 내에서 1년에 최대 5% 이자를 주는 적금상품을 출시했다. 농협은행의 '법사랑플러스적금'도 기본금리 연 2.41%에 카드사용, 주택청약저축 신규가입 등의 조건을 충족하면 연 3.41%까지 금리를 높여준다.
일각에서는 은행권이 예대마진(예금과 대출금리의 차이)을 이용해 잇속 챙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한 이후 예·적금의 시중금리에는 인하 폭을 적극 반영한 반면 대출금리 인하에는 유독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 증권사 '고위험·고수익' 투자자 증가에 '방긋'
이처럼 안정적인 시중은행을 떠나 다른 투자상품으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가 늘어나면서 증권시장에는 '청신호'가 켜졌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고려했을 때 연 2% 수준의 이율을 보장하는 시중은행에 돈을 맡기느니 차라리 일정부분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고수익을 보장하는 사모펀드나 ELS, 기업어음 등에 투자해 투자가치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기준금리 인하 소식이 전해진 이후 증권가에는 판매개시시점에서 5분이 채 지나지 않아 판매가 완료되는 '5분 완판' 상품이 잇따르고 있다. 대우증권의 '몽골 무역개발은행 사모펀드', '특별한 환매조건부채권', 신한금융투자의 '세이프 공모주랩' 등은 모두 판매개시 후 5분 만에 완판을 기록했다. 연 4%대 수익에 최대 5억원까지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익성과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원금손실의 가능성이 열려 있는 만큼 자신의 위험선호 수준에 맞는 상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본격적인 초저금리시대에 진입하면서 안전자산을 선호했던 투자자들도 기업어음(CP), 주가연계증권(ELS), 사모펀드 등의 위험자산에 눈을 돌리고 있다"며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만큼 위험도를 철저하게 따져 자신에게 맞는 리스크 수준의 상품을 찾아 가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저축은행 3%대 정기예금으로 '활짝'
저금리 기조가 짙어지면서 은행권 예금금리가 1%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지자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보장하는 저축은행으로 발길을 돌리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이로 인한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는 상황.
저축은행업계는 최근 새롭게 문을 연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들을 공격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물 들어 왔을 때 노를 저어라'는 옛말처럼 이번 기회를 발판삼아 다양한 고정투자자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공시(8월27일 기준)에 따르면 참저축은행이 내놓은 연 3.3% 특판 정기예금 100억원어치는 일주일도 채 못돼 모두 팔려나갔다. 부산·경남지역 동원제일저축은행의 연 3.04% 특판예금도 100억원 한도가 거의 소진된 상태다. 현재 유니온저축은행과 참저축은행의 경우 각각 연 3.10%, 3.06%의 금리를 제공하며 친애·드림·동원제일·대명·청주·한성저축은행 등은 3.00%를 적용한다. 전국 대부분의 저축은행들은 연 이율 2.75% 수준을 보장한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혹여나 저축은행이 파산할까 불안하다면 한 은행당 예금자보호가 되는 한도 5000만원까지만 돈을 넣으면 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 대부업체들이 앞다퉈 저축은행시장에 진출하며 업계 판도가 바뀌고 있는 만큼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고금리를 보장하는 특판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추석합본호(제347호·제348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한영훈 기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문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길에서읽는논어-사직단에서찾은민본덕치 (0) | 2020.05.29 |
---|---|
엄마는 고달프다 (0) | 2015.04.01 |
세월호 민심이 싸늘하게 식고 있다 (0) | 2014.08.25 |
세월호法]SNS 떠도는 ‘野제출 세월호 특별법 22개 항목’ 진실은 (0) | 2014.08.25 |
당신의 서재는 안녕하십니까 (0) | 201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