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戰作權 전환 재연기] 용산 美軍기지 17% 남기기로… 公園조성 계획 일부 차질 가능성

화이트보스 2014. 10. 24. 10:06

戰作權 전환 재연기] 용산 美軍기지 17% 남기기로… 公園조성 계획 일부 차질 가능성

  • 곽창렬 기자
  • 양승식 기자
  • 입력 : 2014.10.24 03:31

    -美 정부 강력한 요구로 성사
    "유사시 연합사·한국軍 수뇌부 원활한 지휘체계 구축 필요… 평택으로 내려가면 곤란"

    -예상보다 커진 잔류 면적
    서울市 측 "공식 통보 오면 내부조정 거쳐 입장 발표"
    시민단체들은 입장 엇갈려

    한·미 양국은 이번 한·미 안보협의회(SCM)에서 서울 용산 미군기지 내 한·미연합사령부 건물 일부를 남기기로 합의했다. 연합사령부, 지하 벙커(CC서울), 미(美) 8군사령부, 연병장 등이 용산에 남게 된다. 지난 2004년 양국이 합의했던 평택 기지로의 이전 결정을 뒤엎은 것이다. 이에 따라 애초 용산에 남기기로 했던 미국 대사관 부지와 드래곤힐호텔, 헬기장 등(8.3%)과 이번에 신규로 잔류하게 된 부지(8~9%)를 합치면 전체 용산 기지의 17% 남짓이 잔류하게 됐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유사시 연합사가 우리 합동참모본부 등 한국군 수뇌부와 원활한 지휘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데 평택에 내려가면 곤란할 것으로 봤다"며 "필수적 기능만 용산에 남기기로 했다"고 했다. 연합사 소속 미군 600여명 중 200명가량은 애초 기지 이전 장소였던 경기 평택으로 이주하지 않고 그대로 남는다.

    잔류 용산 미군기지 현황.
    연합사 잔류는 미국 정부의 강력한 요구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내에선 그동안 연합사 잔류 문제를 놓고 계획대로 평택으로 내려보내야 한다는 의견과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재연기를 수용한 미국의 체면과 안보상 실리를 감안해 미국 측의 요구를 일부라도 받아들여야 한다는 입장으로 갈려 논쟁이 오갔다. 한·미 양국은 합참 신청사에 연합사 일부를 남기거나 평택 기지로 모두 이전하는 방안도 논의했으나 과도한 재정 지출과 비효율을 이유로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잔류 면적이 예상보다 넓어지면서 국토부와 서울시의 '용산공원 조성 계획'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미국 측으로부터 용산 기지를 반환받아 오는 2017년부터 생태공원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추가 잔류하게 될 연합사령부와 지하 벙커 등도 전작권을 넘겨받을 2020년 중반 이후에는 모두 평택으로 이전하게 될 것"이라며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본지 통화에서 "아직 정부로부터 공식 통보를 받은 바 없고, 공식 통보가 오면 내부 조정을 거쳐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용산공원 조성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1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용산 기지가 이전하면 서울 시민에게는 정말로 좋은 공원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용산 기지 이전은 국방부·국토부 관할이기 때문에 저희는 권한이 없지만 (이 뜻을) 중앙정부에 전달하고 있다. 시민 의견을 전달하고 당초의 공원 조성 계획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시민단체 입장은 엇갈렸다. 참여연대 이태호 사무처장은 "(연합사 이전은) 국가 간 약속이고, 우리 국민과 약속을 해서 이미 기지 이전을 위해 천문학적 비용을 쓴 것인데, 정부는 국민이나 국회에 아무런 의견을 묻지 않았다"며 "이해할 수도 없고 믿을 수도 없는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바른사회시민회의 신종익 사무처장은 "현재 우리 안보 상황이 불안하기 때문에 잘된 결정이라고 본다"며 "시민을 위한 공원도 중요하지만 취약한 서울의 안보 환경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