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12.25 03:00 | 수정 : 2014.12.25 10:27
[3·끝] 진보 정당이 사는 길
-민노당 시절 자주파 人士들
"北인권문제 확인된바 없어… 탈북 급증은 체제탓 아니다"
"북한과 線 닿는다" 자랑도
-생활 밀착형으로 거듭나야
선진국 진보 정당들이 "일자리·복지"로 進化할 때 한국선 아직 "親北·反美"
2000년대 들어 서구의 진보 정당들이 '이념형 진보'에서 일자리와 복지 등 '생활형 진보'로 진화하는 사이 우리 진보 정당들은 친북(親北)과 반미(反美) 등 과거 운동권 이념으로 역주행했다. 통진당의 전신(前身)인 민주노동당 관계자들이 전한 지난 10년 진보 정당 내부 모습은 이념형 진보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념 진보의 그림자
민노당 자주파(NL·민족 해방) 인사들은 2004년 최고위원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는 확인된 바 없고, 북한 인권 관련 단체들은 미국 CIA(중앙정보국) 자금으로 운용된다"고 주장했다. 북한 인권을 비판한 당내 반대파를 겨냥한 것이다. 한 최고위원은 탈북자가 급증하자 직접 중국에 출장 가서 탈북자들을 만난 뒤 당에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는 "북한 체제 문제로 탈북자가 급증한 것이 아니라 브로커들의 농간으로 탈북이 늘고 있다. 브로커 배후에는 미국 CIA가 있다"는 내용이어서 당 관계자들이 아연실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념 진보의 그림자
민노당 자주파(NL·민족 해방) 인사들은 2004년 최고위원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는 확인된 바 없고, 북한 인권 관련 단체들은 미국 CIA(중앙정보국) 자금으로 운용된다"고 주장했다. 북한 인권을 비판한 당내 반대파를 겨냥한 것이다. 한 최고위원은 탈북자가 급증하자 직접 중국에 출장 가서 탈북자들을 만난 뒤 당에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는 "북한 체제 문제로 탈북자가 급증한 것이 아니라 브로커들의 농간으로 탈북이 늘고 있다. 브로커 배후에는 미국 CIA가 있다"는 내용이어서 당 관계자들이 아연실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
국회 의원회관서 간판 뗀 통진당 - 국회는 헌법재판소에 의해 해산 결정이 내려진 통합진보당에 대해 25일까지 국회 내 각종 사무실에서 철수해줄 것을 요구한 상태다. 국회 의원회관 5층에 있던 통합진보당 사무실 명패가 24일에는 제거돼 있다. /전기병 기자
2004년 민노당에선 집권 여당이던 열린우리당과 관계를 설정하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벌어졌다. 평등파는 "열린우리당의 비정규직 양산 정책 등에 동의할 수 없다. 열린우리당과 투쟁해야 한다"고 했다. 민생 관련 내용이라면 야당인 한나라당과도 부분적 연대를 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왔다. 그러나 자주파는 "국보법 폐지를 위해서는 열린우리당의 2중대라는 말을 듣더라도 힘을 합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 2중대론'은 이후 야권 연대론으로 발전했다.
2006년 민노당 당직자가 연루된 '일심회' 간첩단 사건이 터지기 직전 사건의 핵심 인물은 "북한과 선이 닿는다"는 말을 하고 다녔다. 당시 당 관계자는 "NL 계열에선 북한과 선이 닿는다면 부러움을 살 정도로 종북 성향이 심했다"고 했다. 사건 관련자들이 당원 정보까지 북에 넘긴 사실이 드러나자 당 내부에선 "국정원 수사에 협조해야 하지 않느냐"는 말이 나왔지만 묵살됐다.
2007년 대선 때 자주파는 평등파 계열인 노회찬 전 의원과 심상정 의원 대신 정파색이 옅은 권영길 전 대표를 대선 후보로 만들었다. 그리고 대선 공약으로 '코리아연방공화국' '주한 미군 철수' 등 민생과 무관한 이념적 내용을 내세웠다. 당 내부에선 "상가임대차보호법, 무상 보육 같은 원래 진보 정책은 다른 당들이 쓰고 우리에겐 운동권 구호만 남게 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책 없이 치러진 선거는 참패로 이어졌다.
◇현장 밀착형 생활 진보로
진보 진영에선 과거 이념형 진보를 벗어나 생활형 진보에서 활로(活路)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대 조국 교수는 "북한 문제에 발목 잡혀 퇴보했던 지난 10년을 거울삼아 이제는 국민 생활과 밀착한 21세기형 생활 진보로 거듭나야 한다"고 했다. 민노당 의정정책실장을 지낸 경희대 채진원 교수는 "기득권화한 민주노총이 아니라 정말 지원이 필요한 비정규직으로 활동 기반을 이동해야 한다"며 "보편적 복지에만 집착하지 말고 경제 발전, 노동시장, 국가 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원전(原電) 폐지·축소만 주장하지 말고 에너지 절약 운동도 함께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