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7.30 16:05 | 수정 : 2015.07.30 16:09
새정치민주연합 당 혁신위원회가 제기한 국회의원 정수 확대안을 두고 새정치연합 내 자중지란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 당내 두톱인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가 서로 다른 입장을 밝히며 충돌한 데 이어 조경태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이를 정면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경망스럽다”고 비판했다.
앞서 당 혁신위는 지난 26일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과 현행 300명인 국회의원 정수를 369~390명으로 확대할 것을 주장했다.
앞서 당 혁신위는 지난 26일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과 현행 300명인 국회의원 정수를 369~390명으로 확대할 것을 주장했다.

혁신안 발표 이후 이 원내대표는 ‘세비 50% 삭감’을 전제로 “의원 정수를 모두 390명으로 늘려야 한다. 당론으로 추진하겠다”며 “비노 개혁파의 첫 번째 정치 어젠다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문 대표는 “의원 정수 문제를 지금 이 시기에 정치 이슈로 만드는 것은 좀 바람직하지 않다”며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논의가 이뤄진 뒤에 의원 정수 문제까지 넓혀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선을 그었다.
문 대표는 27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중요한 정치개혁은 국민의 투표 절반이 사표가 되고, 지역 내 소수파 국민은 대표를 낼 수가 없어서 지역주의 정치구도를 심화시키는 현행 승자독식 선거제도를 혁파하고, 선거의 비례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가 바로 그것”이라고 말했다.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는 추진하되 의원 정수 확대까지 당론으로 추진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이다.
그러나 이 원내대표는 “(의원) 수를 늘리는 데 대한 정치비용이 커지는 것은 총액제한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중요한 문제들은 다음에 논의할 수 있다”며 “우리가 기득권과 특권을 과감히 내려놓아서, 국민의 우려와 혈세낭비 걱정을 불식시킨다면 국민들도 납득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의회주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한 정치과제인 이 문제를 정면으로 논의해서 우리 당론으로 만들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의원 정수 확대 논란은 당 최고위원을 지낸 조경태 의원과 김상곤 혁신위원장으로까지 번졌다.

당내 비노(非盧) 진영으로 분류되는 조 의원은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혁신위의 의원정수 확대안에 대해 “시대정신에 반하는 발상이자 민심을 거스르는 무책임한 행위”라며 “혁신위는 국민의 뜻에 반하는 국회의원 숫자 늘리기, 당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최고위원회 폐지 등 논란거리만 제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 의원은 또 “혁신위가 과연 필요한지 의문이 든다”며 혁신위에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비례대표제는 패거리정치, 줄 세우기 정치를 가능케 하는 수단”이라며 비례대표제 폐지까지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상곤 위원장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조 의원은 부산 3선이고 최고위원까지 하신 분이라 당이 이런 사태까지 온 데 대한 책임이 있다”며 “그런 발언은 경망스럽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의원 정수 확대를 놓고 논란이 확산되자, 문 대표는 29일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은 국정원 불법 해킹의혹을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다. 국회의원 정수 논란으로 그 일이 가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국회의원 정수 문제가 너무 앞질러 논란이 되지 않도록 신중한 논의를 당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