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韓·美 연합훈련 7일 시작..美 전략무기 대거 전개

화이트보스 2016. 3. 5. 11:00

역대 최대 韓·美 연합훈련 7일 시작..美 전략무기 대거 전개

뉴시스 | 장민성 | 입력 2016.03.05. 05:31

군 29만·미군 1만5000여명 참가
美 항모강습단·원자력잠수함·B-2폭격기 등 참여
北지휘부 제거 '참수작전' 및 '핵·미사일 시설 선제타격' 등 포함
北, 연합훈련 시작 시점 맞춰 도발 가능성…軍 "면밀히 감시 중"

【서울=뉴시스】장민성 기자 = 한·미 연합군사훈련인 키리졸브(Key Resolve·KR)와 독수리(Foal Eagle·FE)연습이 오는 7일부터 다음달 30일까지 약 두 달 동안 실시된다. 이번 훈련은 역대 최대 규모로, 우리 군 29만여명과 미군 1만5000여명이 참가한다. 미군 병력 중 절반 정도는 해외에서 오는 증원 병력인 것으로 전해진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미국 해군의 강습상륙함 '본험 리차드함'(LHD6·4만500t급)이 3일 오전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두에 입항하고 있다.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중 3번째 함선인 본험 리차드함은 길이 257m, 폭 32m, 최대속력 시속 37㎞이며, 승조원 수는 1800여 명이다.    이 함정은 수송용 대형 헬기인 'CH-46 시 나이트'와 'MH-60R 대잠헬기', 수직 이착륙 수송기인 '오스프리', 수직 이착륙 전투기인 'AV-8 해리어' 등의 항공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자체 방어 무기로 씨 스페로우 미사일 시스템, 팔랑스(Phalanx) 근접방어체계 등을 갖추고 있다. 2016.03.03.   yulnet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미국 해군의 강습상륙함 '본험 리차드함'(LHD6·4만500t급)이 3일 오전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두에 입항하고 있다.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중 3번째 함선인 본험 리차드함은 길이 257m, 폭 32m, 최대속력 시속 37㎞이며, 승조원 수는 1800여 명이다. 이 함정은 수송용 대형 헬기인 'CH-46 시 나이트'와 'MH-60R 대잠헬기', 수직 이착륙 수송기인 '오스프리', 수직 이착륙 전투기인 'AV-8 해리어' 등의 항공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자체 방어 무기로 씨 스페로우 미사일 시스템, 팔랑스(Phalanx) 근접방어체계 등을 갖추고 있다. 2016.03.03. yulnet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핵 미사일로 무장한 미국의 전략무기 ‘B-52’ 장거리 폭격기가 10일 경기도 오산 상공을 우리군 F-15K와 미 공군 F-16 전투기의 호위를 받으며 저공비행 하고 있다. 2016.01.10. (사진=공군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핵 미사일로 무장한 미국의 전략무기 ‘B-52’ 장거리 폭격기가 10일 경기도 오산 상공을 우리군 F-15K와 미 공군 F-16 전투기의 호위를 받으며 저공비행 하고 있다. 2016.01.10. (사진=공군 제공) photo@newsis.com
【평택=뉴시스】추상철 기자 = 북한의 핵 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이후 개성공단까지 폐쇄되면서 한반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17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오산공군기지에 F-22랩터가 도착해 있다.    F-22랩터는 적의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과 함께 250km 밖의 적을 탐지할 수 있는 APG-77 AESA(다기능위성배열) 레이더를 갖추고 있다. 2016.02.17.   scchoo@newsis.com
【평택=뉴시스】추상철 기자 = 북한의 핵 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이후 개성공단까지 폐쇄되면서 한반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17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오산공군기지에 F-22랩터가 도착해 있다. F-22랩터는 적의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과 함께 250km 밖의 적을 탐지할 수 있는 APG-77 AESA(다기능위성배열) 레이더를 갖추고 있다. 2016.02.17. scchoo@newsis.com
【연천=뉴시스】박진희 기자 = 북한의 청와대 타격 공언으로 군사적 긴장감이 높아진 24일 오후 경기도 연천군 군사보호구역에서 미군이 훈련하고 있다.   주한미군 커티스 스캐퍼로티 사령관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이 통치 위기를 맞으면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WMD)를 사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2016.02.24.  pak7130@newsis.com
【연천=뉴시스】박진희 기자 = 북한의 청와대 타격 공언으로 군사적 긴장감이 높아진 24일 오후 경기도 연천군 군사보호구역에서 미군이 훈련하고 있다. 주한미군 커티스 스캐퍼로티 사령관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이 통치 위기를 맞으면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WMD)를 사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2016.02.24. pak7130@newsis.com

5일 군 당국에 따르면 이번 훈련에는 핵추진 항공모함을 주축으로 한 항모강습단과 원자력 잠수함, B-2 스텔스 폭격기, F-22 스텔스 전투기 등 20조원대의 미국 전략자산(전략무기)들이 집중 전개될 예정이다. 앞서 미국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B-52 전략폭격기와 핵잠수함, F-22 스텔스 전투기 등을 잇따라 한반도에 출동시킨 바 있다.

북한은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앞두고 지난 3일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신형 300㎜ 방사포(다연장로켓) 'KN-09'로 추정되는 단거리발사체 6발을 발사하는 등 군사적 긴장을 높이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부터 거의 모든 매체를 앞세워 "(우리를 공격할 경우) 미국의 항공모함은 파철(낡거나 깨진 쇠붙이나 쇳조각) 덩어리로 수장될 것이며, 최첨단이라는 미국 비행기들도 가을철 낙엽처럼 처박힐 것"이라며 비난 공세를 펼쳐왔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4일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국방위원회 제1위원장)가 신형 방사포 시험발사 현장을 참관한 자리에서 "실전배비(배치)한 핵탄두들을 임의의 순간에 쏴버릴 수 있게 항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김정은은 그러면서 "적들에 대한 우리의 군사적 대응방식을 선제공격적인 방식으로 모두 전환시켜라"고 지시했다.

북한이 반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번 훈련에서 이른바 '참수(斬首) 작전' 시나리오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참수 작전은 유사시 김정은 등 북한 지도부를 제거하고 정권을 무너뜨리는 개념으로 북한이 '최고 존엄'으로 떠받드는 김정은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는 점에서 거친 반발이 예상돼왔다. 일각에서는 김정은이 위기감을 느껴 '공갈·협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훈련에서는 유사시 북한의 대량파괴무기(WMD)를 선제 타격하는 '작전계획 5015' 실전 훈련도 이뤄질 전망이다. 이는 북한의 도발 징후를 파악하는 동시에 핵·미사일 등 주요 시설에 선제타격을 퍼부어 도발 능력과 의지를 원천 차단하는 것으로, 과거와는 다른 적극적·공세적인 작전계획으로 평가된다. 한·미 양국은 또 지난달 24~26일 제5차 한·미 확장억제수단 운용연습(TTX)에서 4D(탐지·교란·파괴·방어) 작전개념 및 이행지침을 최종 완성, 이번 훈련에 적용키로 했다.

이밖에도 한·미 해병대 1만여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상륙훈련인 '쌍용훈련'도 8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된다. 특히 동·서해 주요 거점으로 동시에 상륙해 평양을 최단시간에 점령하는 데 초점을 맞춰 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미국 해군의 강습상륙함인 '본험리차드함'(LHD 6·4만500t급)이 지난 3일 부산에 입항했다. 미군은 강습상륙함 1척을 추가 투입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진다.

군 당국은 북한이 훈련 시작 시점에 맞춰 단거리발사체 추가 발사나 서해 북방한계선(NLL) 침범, 해안포 사격 등 국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북한군 동향을 면밀히 감시 중이다. 실제 북한은 지난해 키리졸브 연습 첫날 단거리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으며, 종료 전날에는 지대공미사일 7발을 쏘며 무력시위에 나선 바 있다. 잠수함이나 공기부양정, 무인기 등을 이용한 기습 침투나 사이버테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nlight@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