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국감 복귀 선언, 의원들이 뒤집어
강경파에 장악된 리더십 한계 노출
내분 즉각 멈추고 국감에 복귀해야
온 국민을 우롱한 이런 어처구니없는 해프닝은 이 대표의 허약한 당 장악력과 강경 노선으로 일관해 온 친박(친박근혜)당의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 이 대표는 국감 복귀란 중대 결정을 정 원내대표와 사전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해 반발을 자초했다. 정 원내대표 역시 의총에서 강경파를 제어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들에 얹혀 대표의 ‘원내 사안 개입’을 견제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친박계가 같은 친박계인 이 대표의 ‘국감 복귀’에 제동을 건 것은 청와대나 친박 주류와 상의도 없이 독단적으로 행동한 데 견제구를 날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집권당의 자중지란과 갈지자 행보에 골병 드는 것은 민생이요, 국회 일정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29일까지 새누리당이 국감에 복귀하지 않으면 여당 의원이 위원장으로 있는 상임위 사회권을 강제 이양받아 국감을 강행할 방침이다. 새누리당은 반발하겠지만 명분이 있을지 의문이다.
DA 300
새누리당은 이제라도 정신을 차리고 국감에 복귀해야 한다. 아무리 계파 간 이해관계가 중요하더라도 민생 현안보다 중요할 수는 없다. 이미 당내에서 “투쟁과 국감을 병행하자”는 비주류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영우 국방위원장처럼 당론을 거슬러 국감에 참여하려는 의원도 늘어날 것이다. 당내 분열이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기 전에 민심을 따르는 것이 당 지도부의 할 일이다.
정세균 국회의장의 유연한 대응도 절실하다. 28일 국감 정상화가 무산된 데는 “법을 따랐으니 유감 표명할 내용이 없다”며 중재안을 일축한 정 의장에게도 책임이 크다. 여당의 국감 복귀를 끌어내 국회를 정상화할 책무가 정 의장에게 있다. 잘잘못 여부를 떠나 논란이 있는 국회운영 방식으로 중립성 위반 시비를 자초한 점에 대해서만큼은 유감을 표명하는 결단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