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 역사전쟁 확대 우려

분석 작업을 통해 △중국 연호 중심으로 연도별 고구려, 부여, 백제 관련 사료(史料) 정리 △2002∼2007년 중국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주도했던 중국 정부가 기금을 지원하고 동북공정 참여 학자가 집필을 주도했다는 사실 등이 드러났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한중 외교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의 ‘사드 보복’이 역사전쟁으로 다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 중국 중심으로 나열된 우리 고대 역사
이 책들은 중국 고대국가에서 사용한 연호를 중심으로 특정 연도와 관련된 주요 사료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일례로 ‘고구려역사편년’ 목차 중 서기 660년 부분은 굵고 큰 글씨로 ‘唐高宗顯慶五年(당고종현경오년) (660年)’으로 표기됐다. ‘고구려 보장왕 19년’에 해당되는 시기가 중국 연호 중심으로 표기된 것. 660년에 나열된 사료는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자치통감(資治通鑑)’ 등 중국 사료 기록을 우선적으로 나열했다. 고려 때 집필된 ‘삼국사기’ 기록은 마지막에 인용돼 있다.
후순위로 밀린 삼국사기 등 한국 사료는 상당 부분 누락돼 있다. ‘고구려역사편년’ 속 고구려 역사의 시작 연도는 서기 9년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서는 고구려 건국 연도를 기원전 37년으로 보고 있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 또한 서기 9년부터 299년까지는 삼국사기 기록을 전부 누락한 채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등 중국 중심의 사료를 선별해 정리했다.
○ 중국 정부 지원, 동북공정 참여 연구진 주도

2007년 동북공정 프로젝트 종료 후 중국은 한국과의 외교 마찰을 피하기 위해 사회과학원 대신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간접 방식을 택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동북공정 이슈 또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상훈 박사는 “중국의 움직임에 대한 국민, 학계,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배중기자 wanted@dong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