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 캐는 젊은 농부’로 알려진 부용농산의 유화성 대표(34)는 지난해 136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경북 안동시 농장에서 마와 우엉을 키운다. 그가 재배하는 마는 많을 때는 전국 생산량의 70%에 달한다. 그가 성공한 농업 경영인이 되기까지 우여곡절이 적잖았다. 아버지의 농사를 이어받을 생각이었던 그는 3년제 국립전문대인 한국농수산대학(한농대)에서 공부했다. 》
경북 안동에서 부용농산을 운영하는 유화성 대표가 직접 재배한 마를 들어 보였다. 유 대표는 올해 150억 원 매출을 목표로 생마와 우엉, 마 가공식품 등을 생산한다. 한국농수산대학 제공
2004년 졸업한 뒤 아버지의 부추 농사를 넘겨받았지만 같은 해 6월 ‘쓰레기 만두’ 파동이 불거졌다. 이미 10억여 원의 빚이 있었던 데다 경작지까지 늘렸던 터라 벼랑 끝에 몰렸다. 그때 안동에서 잘 자라는 마와 우엉에 눈이 갔다. 그리고 덩이가 커서 손질이 어렵고 값도 비싸다는 이미지로 상품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던 마를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판매하면서 성공 가도를 달렸다. 유 씨의 모교인 한농대는 ‘부농(富農) 학교’라는 별명으로 통한다.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하자 국내 농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1997년 설립됐다. 학생들은 1학년 때 이론을 배운 뒤 2학년 때 국내 농장뿐 아니라 미국·네덜란드·일본 등 해외 농장에서 10개월 이상 현장실습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토대로 3학년 때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제출한다.
9일 한농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졸업한 1896명이 2015년에 올린 가구별 소득액은 평균 9000만 원에 달한다. 전년도 소득액(8594만 원)보다 4.7% 늘어났다. 같은 기간 도시근로자 평균소득(5779만 원)의 1.6배, 일반농가(3722만 원)의 2.4배 규모다.
소득이 가장 높은 분야는 닭·오리 등 가금류와 돼지 사육법을 배우는 ‘중소가축학과’로 1년에 1억9904만 원을 벌었다. ‘수산양식학과’가 1억4428만 원, 소를 키우는 ‘대가축학과’가 1억2285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식량작물학과(7372만 원), 화훼학과(6244만 원), 과수학과(5882만 원) 등도 도시근로자보다 소득이 많았다.
한농대는 학비가 무료다. 그 대신 졸업 후 6년간 영농에 종사해야 한다. 군 면제 혜택을 받은 남자 졸업생은 의무영농기간이 9년으로 늘어난다. 또 졸업생에게는 농지 지원 등의 혜택을 준다. 2000년 209명의 졸업생을 처음 배출한 이래 지금까지 4041명의 졸업생을 냈다.
졸업생의 상당수는 부모와 함께 농장을 경영한다. 2010∼2015년 졸업생의 57%는 부모와 함께 농업에 종사하며, 농장을 물려받아 혼자 경영하는 사람도 19%에 이른다. 자신만의 분야에서 창업한 졸업생도 23%나 된다.
김남수 한농대 총장은 “고소득을 올리는 한농대 졸업생의 사례는 취업난으로 힘들어하는 청년층에게 농수산업이 블루오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2018년에는 입학정원을 550명으로 늘리고 농수산융복합학과를 신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전북 전주시에 있는 캠퍼스 외에 다른 지역에도 캠퍼스를 건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