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의 Mr. 밀리터리]
사드 추가 배치를 검토 않는 건
유사시 국민 생명 보호에 안 맞아
협의 위반 시 중국 군사개입 우려
북 SLBM 대응작전에 큰 차질
한·미 직접 사전 협의했어야
무리한 정책, 진상조사해야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03/67359700-4240-46e3-9b68-c0eeba44d0e5.jpg)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번 협의문에 따라 사드 추가 배치를 검토하지 않겠다는 것은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의 위반이기도 하다.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미국이 한반도 방위를 위해 군사력을 배치할 수 있고 그럴 경우 한국은 허용하도록 돼 있다. 그런데 이번 협의문은 한반도 방위를 책임지고 있는 한미연합사령관이 군사적인 필요에 의해 사드를 추가로 배치해야 할 경우 발목을 잡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번 한·중 협의는 한반도에서의 한·미 연합작전계획을 크게 훼손하고 안보의 취약성을 높였다. 북한이 남한을 향해 탄도미사일을 마음대로 날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셈이다.
◆MD와 한·미·일 동맹 불참=중국의 요구대로 한·미·일 군사협력을 하지 못하면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방어에 어려움이 생긴다. 북한은 이미 SLBM의 수중 발사에 성공했고 이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두 번째 잠수함도 건조 중이다. 북한이 우리의 머리 뒤에서 SLBM을 쏘면 방어할 길이 없다. 그래서 SLBM을 게임 체인저라고까지 한다. 북한이 SLBM을 쏘기 위해 잠수함을 동해로 이동시키면 한·미·일은 우선 수색에 나선다. 동해는 한류와 난류가 섞이고 수심이 깊어 잠수함이 활동하기 좋은 곳이다. 수중 수색이 쉽지 않다. 동해의 공해구역에서 북한 잠수함을 수색하다 보면 한·일 함정들이 서로 뒤엉킬 수도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해 유사시 양국은 동해에 구역을 나눠 군사적으로 협조하는 게 당연하다. 필요시엔 북한 잠수함의 수색에 이어 격파작전도 한·미·일 3국이 협력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 시각에선 북한 잠수함에 대한 한·미·일 협조작전을 군사동맹으로 간주해 경계할 것”이라고 전 국방부 관계자가 말했다.
이번 협의는 북한이 유사시 마구 쏘아대는 탄도미사일에 대한 요격에도 제한을 준다. 북한의 미사일은 한국과 일본, 미군까지 겨냥한다. 현재 한·미·일은 북한 미사일을 탐지한 정보는 공유하도록 돼 있다. 지난해 11월 체결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에 따라서다. 하지만 요격을 효과적으로 하려면 3국은 북한이 쏜 미사일에 나눠 대응해야 한다. 그러려면 3국의 군사협력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중국은 한·미·일이 협력해 북한 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을 반대한다. 3국의 군사협력을 사실상 군사동맹으로 간주할 수 있어서다. 또 중국은 한·미·일의 북한 탄도미사일 공동 대응작전을 두고 한국이 미국의 MD 체계에 참여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고 이 관계자는 지적했다.
3국 간 군사협력은 남중국해 문제에서도 중국과 부딪힌다. 중국이 2025년까지 군사적으로 완전 통제하겠다는 남중국해는 한국과 일본의 엄청난 물동량이 지나는 공해상이다. 그런데도 중국은 수천 년 전의 연고를 근거로 영유권을 고집하고 있다. 중국이 이 해역을 군사적으로 지배하면 중동에서의 원유 수입은 물론 동남아·인도·중동·아프리카·유럽으로의 수출입이 모두 막힌다. 중국이 우리의 목줄을 쥐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이 끝까지 남중국해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면 한국은 미국 및 일본 등 이해가 걸린 다른 나라들과 연대할 수밖에 없다. 이 또한 이번 협의문에 배치되고 중국의 반발을 불러온다. 김희상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이사장은 “중국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한·미·일 협력과 일본의 핵무장”이라고 했다.
DA 300
김민석 군사안보연구소장 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