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0
- 더보기
입력 : 2018.01.04 03:13

위대한 역사는 사기극에서 시작됐다. 최근 유네스코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한 조선통신사 이야기다.
조선통신사는 조선 국왕이 일본 막부(幕府) 최고 권력자 쇼군(將軍)에게 보낸 외교사절. 특히 임진왜란이 끝난 뒤인 1607~1811년 12차례에 걸쳐 건너간 통신사는 양국 간 평화 시대를 여는 데 크게 기여했다.
500명 규모 통신사 일행은 일본 각지에서 극진한 환대를 받았다. 각 번(藩)이 통신사 1회 접대에 쓴 총비용이 요즘 돈으로 약 2000억원에 이른다는 분석도 있다. 히로시마현은 통신사에게 매끼 진상한 '국 3가지, 요리 15가지' 반상까지 전시할 정도다. 당시엔 "조선통신사가 2년 연속 오면 나라가 망할 것"이란 말도 나왔다. 그런데 임란 후 첫 통신사가 일본에 건너간 것이 1607년. 수백만 명이 죽고 수만 명이 노예로 끌려간 전쟁이 끝난 지 불과 9년 만의 일이다.

이에 조선은 '지난 만행으로 일본과는 한 하늘 아래 살지 못할 정도지만, 먼저 위문편지를 보내어 잘못을 고쳤다고 하니 후의에 답한다'는 취지로 답장을 보냈다. 쓰시마 번주는 이 역시 중간에 가로채 갈등 소지 부분을 통째 덜어내고 '조선이 화교를 먼저 요청한다'는 문장을 집어넣었다. 국교 재개는 이렇게 시작됐다.
두 나라 정부가 과연 바보같이 속은 걸까. 당시 기록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조선 정부는 애초에 국서가 가짜임을 간파했다. 일본 역시 이 문제로 쓰시마 번주가 재판까지 받았다. 그러나 어느 쪽도 국서의 '흠'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 그 실리(實利)는 양 국민이 챙겼다.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 수천 명이 집으로 돌아왔다. 양국 간 분쟁으로 벌어진 강제 징발과 약탈이 사라졌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2015년의 한·일 위안부 합 의를 백지화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절차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중대한 흠결이 있었다"는 이유에서였다. 일본은 반발하고 있다.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관철하는 것만이 외교일까.
통신사가 끊긴 지 64년 만에 일본에서 온 것은 군함 운요호였다. 조선은 망했고, 고통은 위정자 아닌 국민 몫이었다.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善意)로 포장돼 있다.' 유럽 속담이다.
두 나라 정부가 과연 바보같이 속은 걸까. 당시 기록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조선 정부는 애초에 국서가 가짜임을 간파했다. 일본 역시 이 문제로 쓰시마 번주가 재판까지 받았다. 그러나 어느 쪽도 국서의 '흠'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 그 실리(實利)는 양 국민이 챙겼다.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 수천 명이 집으로 돌아왔다. 양국 간 분쟁으로 벌어진 강제 징발과 약탈이 사라졌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2015년의 한·일 위안부 합
통신사가 끊긴 지 64년 만에 일본에서 온 것은 군함 운요호였다. 조선은 망했고, 고통은 위정자 아닌 국민 몫이었다.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善意)로 포장돼 있다.' 유럽 속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