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다가 여권은 ‘판문점 선언’에 대한 국회 비준을 추진할 움직임이다. 국회 비준은 정상 간 ‘정치적 합의’를 ‘국가 간 조약’으로 끌어올린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비준안의 국회 통과를 위해선 야당 설득이 급선무일 텐데 여당이 일방적으로 제기하면 될 일도 안 된다. 그렇다고 이번 합의를 “김정은이 불러주는 것을 그대로 받아쓴 것에 불과하다”고 폄훼한 자유한국당도 도가 지나치다.
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와 문 대통령과 악수한 순간은 역사적이다. 하지만 5월 북-미 정상 간 핵 담판에서 북이 완전한 비핵화의 이행 방안을 제시해야 남북연락사무소 설치를 비롯한 각종 교류협력도 성큼 우리 곁에 다가올 수 있다. 가슴은 뜨거워도 머리는 냉정하게 비핵화 프로세스를 지켜봐야 한다. 특히 집권여당은 4·27 정상회담이 결과적으로 실패한 과거 두 차례 정상회담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이번 정상회담이 삼세번만의 성공을 거두려면 보수계층 설득을 통한 남남갈등 해소 역시 중요하다. 필요하다면 문재인 대통령까지 나설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