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매립 쓰레기도 그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종량제봉투엔 혼합쓰레기로 채워진다. 태울 수 있는 쓰레기와 재활용이 가능한 물질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거다. 결국 이게 매립장으로 가면서 관련 시설의 조기 포화를 부르고 있다. 제주시 서부매립장은 당초 계획보다 7년 10개월, 성산매립장은 8년 4개월이나 각각 앞당겨져 포화될 예정이라 한다. 특히 서귀포시 색달매립장은 15년 2개월이나 빨리 수명을 다한다고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2034년 예정된 포화 시점이 당장 3~4년 앞으로 도래한 것이다. 가히 통제 불능의 매립량 증가다.
도 당국은 3년 전 ‘2020 쓰레기 제로화 섬’ 추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생활쓰레기 발생량과 매립을 단계적으로 줄여, 2020년의 매립률을 0%로 하겠다는 거다. 하지만 그 목표가 무색하다. 쓰레기 제로화가 공염불인 것이다.
결국 쓰레기 정책은 뒷걸음질치고 있다. 도 당국은 쓰레기 매립장 규모를 확장하는데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는 쓰레기 매립 제로화의 포기 선언이나 다름없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제주의 쓰레기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매립시설을 확장하는 것이 과연 옳은 방향인가. 아니다. 매립에 의존하는 건 친환경적이지 않은 전근대적 방식이다. 세계환경수도를 지향하는 제주의 미래비전과도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해법은 쓰레기에 ‘매립’이란 단어를 없애 나가는 것이다. 재활용, 재사용을 극대화하고, 직매립을 피하고, 어쩔 수 없는 쓰레기만 소각 처리한다면 못 이룰 바가 아니다. 그게 곧 쓰레기 제로화의 요체다. 따라서 도정이나 행정시는 수거단계에서부터 쓰레기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매립을 막기 위한 대책과 노력에 우선적으로 집중해야 한다. 발생 주체인 도민들도 생활 속에서 쓰레기 다이어트를 솔선 실천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