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식물공장

스마트팜 성공사례 속속 나오지만...

화이트보스 2018. 12. 8. 11:06



스마트팜 성공사례 속속 나오지만...

국내기술력 美에 4.5년 뒤처지고
재배면적도 작아 생산성 한계
기업 참여 허용해 첨단기술 접목
농업 규모화로 비약 발전 도모를

  • 세종=임진혁 기자
  • 2018-10-01 17:31:55
  • 정책·세금
['과보호 덫'에 갇힌 농업, 이대로 괜찮은가]  스마트팜 성공사례 속속 나오지만...

첨단 유리온실 전문기업인 그린플러스는 지난 1999년부터 일본에 온실을 수출해 165㏊ 이상 설계·제작·시공 실적을 쌓아온 국내 스마트팜 수출 산업의 선두주자로 꼽힌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도 그린플러스가 지난해 매출 463억원, 영업이익 30억원으로 최대 실적을 거둔 데 이어 올해도 우즈베키스탄과 르완다 등으로 판로를 넓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노루그룹도 카자흐스탄과 중국 등에 첨단 온실을 구축·운영 중이며 경기도 안성에 대규모 종자연구단지를 조성해 종자 부문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1일 농업계에 따르면 그린플러스나 노루그룹처럼 농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실적을 내는 기업들이 하나둘 늘며 스마트팜의 장밋빛 미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를 제외한 국내 스마트팜의 경쟁력은 여전히 선진국들에 비해 한참 뒤떨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선 농업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등 기반 부문은 세계 최고 수준인 미국과 비교해 국내 기술력이 76.5% 수준에 불과하고 기술격차도 4.5년으로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스마트팜 농가들의 고질적 단점인 영세성 때문에 생산성도 한 수 아래다. 파프리카 농가의 경우 국내 농가의 평균 재배면적은 0.4㏊로 네덜란드(3㏊)의 7분의1에 불과하다. 이 때문인지 생산성도 국내 선도 농가가 ㏊당 190톤을 수확하는 데 비해 네덜란드는 무려 300톤을 만들어내 격차가 크다. 

스마트팜은 국내 농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가장 효과적 대안으로 지목받는 만큼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기업의 참여를 이끌고 규모화와 집적화를 이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언제까지나 농업을 대기업의 불가침 영역으로 둘 수만은 없다”며 “고급 기술이 접목되고 자본투자를 통해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규제 혁신과 적극적인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시선집중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1S5QTPN1Z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