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수, "제주 4.3사태는 좌익무장폭동" | |||||||||||||||
좌익폭동이 민주화운동으로 둔갑한 노무현정권 시절에도 | |||||||||||||||
국방부가 제주4.3사건을 '좌익세력의 무장폭동'으로 표기하도록 제안한 가운데, 국방부가 지난 참여정부에서도 '4.3사건은 좌익세력에 의한 무작폭동'이라며 객관적인 평가를 공식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정부 마지막 국방장관을 지낸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은 21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국방부가 4.3사건에 대한 평가가 좌익성향 위주로 돼있다는 판단에 따라 국무총리 소속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에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공문을 올해 초 보낸 바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김 의원은 이 날 전화통화에서 국방부가 참여정부 당시에도 '제주 4.3사건'을 '좌익 폭동'으로 규정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국방부가 4.3사건에 대한 평가가 좌익 성향 위주로 돼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국무총리 소속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에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공문을 올해 초 보낸 바 있다"며 "국방부의 `좌편향 수정' 요청 시점이 참여정부 임기가 끝나기 직전이어서 새 정부로 바뀌기 전까지 위원회로부터의 회신은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4.3사건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생각에 국방부는 의견을 달리했다"면서도 "하지만 그 의견을 노 대통령께 직접 말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은 모든 상황을 감안해 그런 조치를 취할 수 있겠지만, 국방부는 안보책임기관으로서 의견을 달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4.3사건은 명백히 좌파에 의한 무장폭동"이라며 "군경에 의한 일부 민간인 피해는 인정하지만 그것은 폭동 진압과정에서의 불가피한 사고였다.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왜곡돼선 안된다"며 전체 사망자의 80%에 달하는 민간 부녀자 피해를 '불가피한 일부 민간인 피해'로 일축했다. 이어 "4.3사건에 대한 정부 평가가 민간 피해자 진술 위주로 돼 있고, 비록 그 분들의 말이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군경은 선량한 민간인을 제압하러 간 것이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는 또 "전교조 중심의 좌편향된 교육을 확실히 바로잡아야 한다"며 "그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군에 오면 어떻게 될 지도 생각해볼 문제"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의원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민주당 노은하 부대변인은 "제주 4.3사건은 2000년 당시 진상규명과 희생자의 명예회복을 위해서 여야가 합의로 특별법을 제정했던, 이미 역사적 평가가 완료된 사건"이라며 "민주당은 김장수 의원의 망언을 4.3 유가족, 제주도민과 국민의 이름으로 엄중하게 규탄한다"면서 "김 의원은 제주 4.3사건에 대한 반민주적이고, 시대역행적인 발언을 즉각 철회하라"고 말했다.(Konas) [코나스 이현오 기자: holeekva@hanmail.net] 김장수 전 국방장관 "참여정부 때 '4.3사건 좌익무장폭동' 평가"(연합뉴스) 국방부가 참여정부 당시에도 제주 4.3사건에 대한 평가가 '좌편향'됐다며 '객관적인 평가'를 공식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정부의 마지막 국방장관을 지낸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은 2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방부가 4.3사건에 대한 평가가 좌익 성향 위주로 돼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국무총리 소속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에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공문을 올해 초 보낸 바 있다"고 말했다. 당시 국방부는 4.3사건을 '좌익세력의 무장폭동'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최근에도 4.3사건을 '좌익세력 무장폭동'으로 규정해달라는 내용의 고교용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개정 의견을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해 논란을 촉발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국방부의 '좌편향 수정' 요청 시점이 참여정부 임기가 끝나기 직전이어서 새 정부로 바뀌기 전까지 위원회로부터의 회신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참여정부에서도 국방부가 4.3사건을 '좌익세력의 무장폭동'으로 규정짓고 '좌편향'을 수정해 달라고 요청한 사실은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국가 원수로선 처음으로 4.3사건 희생자들에게 사과하고 위령제에 참석하는 등 희생자 시각에서 이 사건을 해석한 정부의 공식 입장과 다른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김 의원은 "4.3사건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생각에 국방부는 의견을 달리했다"며 "하지만 그 의견을 노 대통령께 직접 말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은 모든 상황을 감안해 그런 조치를 취할 수 있겠지만, 국방부는 안보책임기관으로서 의견을 달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4.3사건은 명백히 좌파에 의한 무장폭동"이라고 전제, "군경에 의한 일부 민간인 피해는 인정하지만 그것은 폭동 진압과정에서의 불가피한 사고였다"며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왜곡돼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4.3사건에 대한 정부 평가가 민간 피해자 진술 위주로 돼 있고, 비록 그 분들의 말이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군경은 선량한 민간인을 제압하러 간 것이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전교조 중심의 좌편향된 교육을 확실히 바로잡아야 한다"며 "그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군에 오면 어떻게 될 지도 생각해볼 문제"라고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 |||||||||||||||
기사입력: 2008/09/21 [23:24] 최종편집: ⓒ allinkorea.net | |||||||||||||||
| |||||||||||||||
![AD링크](http://www.allinkorea.net/img/skin1/ad.gif)
'민족사의 재발견 > 민족사의 재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기 1543년, 무슨 일이 벌어졌나 (0) | 2019.01.02 |
---|---|
3·1운동 100년 역사의 현장해란강의 첫봄 알리듯… 수만 한인들 함성, 만주벌판 메아리 쳐 (0) | 2018.12.29 |
제주 4.3사태의 진실 (0) | 2018.12.23 |
구례의 명품고택(古宅) 운조루(雲鳥樓) (0) | 2018.12.17 |
을사조약과 군함 양무호 (0) | 2018.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