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문재인 정부의 선별적 추모에 분노하는 거예요. 왜 천안함이나 연평해전 관련 행사는 찾지 않고, 이번에는 해군 사고에도 찾지 않고….”
4일 대전 국립현충원 천안함 46용사 묘역에서 묘비를 닦고 나오던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의 두 눈은 다소 붉게 충혈되어 있었다.
"어른들이 울어서 나도 모르게…”
전 의원은 쑥스럽다는 듯 말하고는 다시 연평도 포격 도발 전사자 묘역으로 향했다.
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일부 당직자들은 현충일을 앞두고 4일 이곳을 찾았다. 국회에서 치러진 오전 행사를 마무리하고 도착한 시간은 오후 3시 40분. 구름 한 점 없는 31도의 날씨는 한여름처럼 푹푹 쪘다. 천안함과 연평도 전사자 묘역을 방문하고 충혼탑에 참배까지 마치고 나오는 전 의원의 얼굴은 눈물과 땀으로 얼룩져 있었다.
“헝가리 유람선 사고에도 강경화 외교부장관을 보낸다, 잠수사들을 보낸다, 대책을 서둘러 지시했잖아요. 그걸 뭐라고 하는 게 아니에요. 다만 왜 그런 정성과 관심이 유독 나라를 지키는 군인들에게만 달라지냐는 겁니다.”

전희
보수의 여전사, 보수의 잔다르크.
한국당 전희경 의원을 묘사하는 수식어다. 국회의원 300명 중엔 한국당이든 더불어민주당이든 어느 쪽에서 정치 생활을 해도 크게 어색하지 않을 의원이 적지 않다. 특히 비례대표 중에 그런 경우가 많다.
전 의원의 경우는 반대다. 초선 비례대표임에도 전 의원은 자유한국당이라는 울타리 밖에서의 정치활동은 언뜻 상상이 가지 않는 정치인이다. 정치 입문 후 활동을 봐도 ‘좌파정권 방송장악 피해자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좌파독재저지특별위원회 위원’ 등 색깔이 명확하다. 비교적 일찌감치 시작한 유튜브 ‘전희경과 자유의 힘’은 구독자가 11만 3600명에 달한다.
우파 색을 낼수록 인기는커녕 조롱의 대상으로 전락하는 게 최근 대한민국 정치판이다. 이런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자기 정체성을 분명히 드러내기란 웬만한 강단이 아니고선 쉽지 않다. 단지 신념이 아니라 그의 탄탄한 논리와 풍부한 사례에 감복해 팬이 됐다는 이도 적지 않고, 그만큼 일정도 바쁘다. 4일 오전도 원내대책회의(오전 8시)-당 대표실 티타임(오전 8시30분)-브리핑(오전 10시)-2020 경제대전환 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오전 11시) 등 10분의 짬을 낼 수 없을 정도였다.
![자유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이 4월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김경수 경남지사 보석 허가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6/09/cc386768-5d5a-4f25-a16a-9cf481af7b90.jpg)
자유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이 4월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김경수 경남지사 보석 허가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날 오후 5시 현충원 참배 일정이 마친 뒤에야 겨우 이야기를 나눌 시간이 났다.
- 질의 :문재인 정부의 주류인 586 정치인들의 대척점에 서 있다. 전희경이 보는 586 정치인은 어떤 존재인가.
- 응답 :“586중에서도 정말 열심히 살고 그 시절에 대한민국이 지켜야 할 가치를 위해 투쟁을 한 분들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반면 그야말로 운동이 업(業)인 것 같은 사람들이 있다. 이분들은 대한민국을 위한 운동을 하는지 그야말로 북한을 염두에 두고 하는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다. 이들은 자신들이 디자인하는 이상향대로 설계하고 끌고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듯싶다. 목적이 정당하기 때문에 수단은 어떻든 상관없다는 사고도 있다. 하지만 자유민주주의와 근본부터 다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다.”
- 질의 :그런데 청와대와 586 정치인 그룹의 가장 강력한 지지층이 40대라고 한다. 전 의원도 40대인데.
- 응답 :“한때 대한민국을 위해 586그룹이 주장했던 민주, 인권, 평화, 정의 등이 3040 세대 가슴에도 들어와 있다. 내 삶을 챙기느라 바빴는데 우리를 대신해 해준 이들에 대한 고마움과 부채의식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586도 기득권이고, 그들이 외쳤던 가치에 대한 근본적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어, 이게 뭐지? 저 사람들이 내가 선배라고 형이라고 했던 그 사람들이 맞아?’라는 물음이다. 김제동씨의 강연료 1550만원 파장이 컸던 것도 이런 회의감과 무관치 않다.”
전 의원은 2016년 총선 당시 당선 안정권인 비례대표 9번을 받았다. 김무성 대표가 영입한 '젊은 인재 6인' 중 유일한 당선자였다. 당시 새누리당에서는 전 의원을 반드시 국회 입성시켜야 한다는 의지가 강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당시 대표가 2016년 1월 1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젊은 전문가 그룹 영입기자회견을 열고 전희경 자유경제원 사무총장, 배승희 변호사, 변환봉 서울지방변호사회 사무총장, 김태현 변호사, 최진녕 전 서대변인, 박상헌 정치평론가 등을 소개하고 있다.
- 질의 :걸출한 커리어가 없는 시민단체 실무자 출신으로서는 예외적으로 높은 번호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