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6.20 03:19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 정부가 첫 공식 입장을 내놓았지만 일본이 바로 거부했다. 정부는 어제 '한국·일본 기업의 출연금을 통한 위자료 지급' 방안을 일본에 제안했다. 일본 전범 기업과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이익을 본 한국 기업이 출연금을 내고, 이렇게 조성한 재원으로 피해자들에게 배상 판결 액수만큼을 위자료로 지급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일본 외무성은 1시간도 안 돼 "한국 측 제안으로 상황을 시정할 수 없다"고 했다.
정부는 지난해 말 대법원의 배상 판결 후 총리 주재로 범정부 TF를 꾸렸지만 7개월 이상 아무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미적댔다. 일본과 절충점을 찾은 전 정부 대일(對日) 외교를 '적폐 1순위'로 매도하다 보니 강제징용 문제에서도 현실적 대안을 찾기 어려웠던 것이다. 올 초 전문가들이 '양국 기업 출연금' 아이디어를 냈을 때 청와대는 "비상식적 발상"이라고 깔아뭉갰고, 일본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왔다. 정부가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양국 간 불씨를 급히 꺼보기 위해 이 카드를 다시 꺼냈지만 실패는 예고된 것이었다. 그러니 "정부가 일본이 안 받을 걸 뻔히 알면서 면피성으로 제안한 거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온다.
우리 정부가 손을 놓고 아베 정권도 한국에 대한 비판 분위기를 국내 정치에 이용하면서 한·일 관계는 지금 최악의 대결 국면에 접어들었다. 일본에서는 "다음 주 G20 정상회의 때 아베 총리가 15개국과 개별 회담을 할 예정이지만 한·일 회담은 없다"는 얘기가 나온다고 한다. 한·일 관계가 삐걱거린 게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이 정도 까지 냉랭했던 적은 없었다. 정상회담이 무산되면 양국 관계는 더 깊은 수렁에 빠질 수 있다. 한·일 양국은 지정학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가치를 공유하는 이웃이다. 한·일 관계가 악화되면 북핵 해결을 위한 한·미·일 공조에 균열이 생기고 한반도 안보를 위한 군사 협력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이런 비정상을 언제까지 방치할 것인가.
정부는 지난해 말 대법원의 배상 판결 후 총리 주재로 범정부 TF를 꾸렸지만 7개월 이상 아무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미적댔다. 일본과 절충점을 찾은 전 정부 대일(對日) 외교를 '적폐 1순위'로 매도하다 보니 강제징용 문제에서도 현실적 대안을 찾기 어려웠던 것이다. 올 초 전문가들이 '양국 기업 출연금' 아이디어를 냈을 때 청와대는 "비상식적 발상"이라고 깔아뭉갰고, 일본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왔다. 정부가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양국 간 불씨를 급히 꺼보기 위해 이 카드를 다시 꺼냈지만 실패는 예고된 것이었다. 그러니 "정부가 일본이 안 받을 걸 뻔히 알면서 면피성으로 제안한 거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온다.
우리 정부가 손을 놓고 아베 정권도 한국에 대한 비판 분위기를 국내 정치에 이용하면서 한·일 관계는 지금 최악의 대결 국면에 접어들었다. 일본에서는 "다음 주 G20 정상회의 때 아베 총리가 15개국과 개별 회담을 할 예정이지만 한·일 회담은 없다"는 얘기가 나온다고 한다. 한·일 관계가 삐걱거린 게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이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