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브라질 상파울로 항모 매물로 나왔답니다.

화이트보스 2019. 10. 2. 11:38

브라질 상파울로 항모 매물로 나왔답니다.

 작성자: 부엉이
조회: 28608 추천: 2 글자크기   
64 0

작성일: 2019-09-28 09:59:06

브라질의 하나뿐인항모 상파울로가 매물로 나왔답니다.

금액은 15억원정도입니다.

상파울로는 프랑스(포슈)가 1950년대 건조해서 40년간 운영하다가 브라질에 매각하였습니다.

한국이 빨리사서 기술개발이나 훈련용으로 사용하면 좋겠습니다.

우리가 안사면 중국이 바로사겠죠....


*사진은 비밀자료실에서 참고하였습니다.

  이점 양해바라고 저작권과 문제가 있다면 바로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이미지

댓글 64

  • best 부엉이 2019-09-28 추천 5

    아직 쓸만하고 매각금액이 15억원정도로 고철인셈치고 사더라도 손해는없죠.
    구매하더라도 작전에 투입하자는애기가아니고, 기술연구용이나 훈련용으로 쓰자는겁니다.

  • zedoz 2019-10-01 추천 1

    현재 중국 등 해외 언론 사이트에 인도 측에서 구입했다는 미확인 댓글들이 올라오고 있습니다(경매 낙찰가 불명). 경매 주관 기관인 EMGEPRON의 공지는 없는 상태입니다.

    댓글 (1)

  • 레오나르도 다김치 2019-09-30 추천 0

    지금 이 글을 봤는데요,
    브라질 상파울로에서 9월 27일 공매하기로 정해져 있었네요.
    결과가 어찌되었는지 궁금하기는 합니다 ^ ^

    댓글의 댓글

  • 진선 2019-09-30 추천 0

    브라질이 프랑스에서 살 때 가격이 120억원정도였는데

    15억원이면 빨리 땡겨와야 하는데

    공무원들의 복지부동 태도를 봤을 때 누가 선뜻 나서서 총대를 멜지 모르겠네요..

    신규도입이면 콩고물 떨어지니 때거지로 몰려들텐데..

    저거 가져다 우리 조선소에서 완전 분해하고

    업그레이드 해서 운용연습용으로라도 써먹어도 이익일텐데요...

    댓글의 댓글

  • 청옥산 2019-09-30 추천 1

    구입했다손 치고.
    저게 지발로 오기는 힘들거고 예인해야 하는데, 중국이 러시아항모 가지고 흑해 빠져나오는데 힘들었습니다. *브라질에서 끌고 나오면 파나마운하를 통과해야 하는데 파나마가(실제로는 미국이) 군사목적 환경 운운하며 통과를 불허합니다. *어떻게 태평양까지 끌고 나와도 일본 필리핀 중국 러시아가 각국 인접 바다의 통행에 태클을 겁니다. *국내에 도착시켰는데 해군항이 있는 지자체에서 정박을 반대합니다. *정박을 시켰는데 환경문제로 해부를 해보지 못합니다. *부검을 했는데 사체처리가 문제가 됩니다. *민간에서 해상건축물로 쓰고 싶어도 개조비보다 막대한 정박료가 발생합니다. *해체를 못하니 중국으로 팔려갑니다.
    저건 말입니다. 브라질과 짜고 그냥 얻어서 현지에서 해부해보고 예인한다고 대서양으로 끌고 나와서 사고를 위장하여 침몰시켜버리는 겁니다. 그런데 항공모함을 무슨사고로 위장하여 침몰시킬까 그게 문제네요.

    댓글 (2)

  • ktt4228 2019-09-30 추천 1

    문죄인 이 짱구 냐. 저걸 사게 . . .위원장님 눈치 봐도 모자를텐데.

    댓글 (1)

  • 마수러 2019-09-30 추천 1

    업글비용문제로 퇴역한다는데 중국처럼 가져다 항모로 이용할이유는없고 다만, 사출기나 어레스트, 추진기관 레이더운용, 항모전반적인 운용능력 재고를 위해서도 구미가 당기는 매물이네여
    독도충돌시 해상자위대의 3척이상의 경항모에 비해서 3.3만톤 중형항모로 가면 상파울루급 몸체로도 F-35C운용과 EA-18그라울러 E-2C한대정도는 운용할수잇어서 제대로된 대응이 될테고, 중국 최소 6척이상의 대형항모들에 비해서도 한방은 가지고 되니 좋구요 ㅎ

    그럼에도 입으로만 반일외치고 중국몽에 빠져서 노예근성과 시대착오적 민족운운하는 현 정권하에서는
    저런매물은 시민단체 동원해서 입항금지 할게 뻔하니 문제라눈 ㅎㅎ

    댓글의 댓글

  • zedoz 2019-09-29 추천 2

    동 건의 석면 문제, 결코 가볍지 않아 보입니다.
    http://www.ibasecretariat.org/letter-to-brazil-mod-re-disposal-aircraft-carrier-sao-paulo-sep-26-2019.pdf

    9월 27일 A12 경매 관련하여 브라질 국방부 장관 및 환경부 장관에게 보낸 NGO 국제선박해체 기구의 공문인데, 내용이 엄중합니다. 만약에 수입을 하더라도 이러한 이슈를 내부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중국이나 가능할 듯 합니다.

    댓글의 댓글

  • 긴팔원숭이 2019-09-29 추천 1

    우리나라 지자체들, 철판에 철골로 고증도 하지 않은 엉터리 배를 복원이랍시고 바닷가에 지어, 결국 쓰레기만들고 수백억쓰고 자빠진 걸 보면, 차라리 저런 배를 싸게 사오는 게 함상공원으로는 더 나을 겁니다. 다만, 15억은 너무 값싸니 그런 용도로도 못 쓸 정도일 것 같네요. 폐차장에서 재활용가능한 거 다 떼네고 스크렙하기 직전인 중고차 정도 상태가 아닐까요. 그리고 브라질에선 왜 함상공원으로도 안 쓰고 15억이라도 받고 나라 밖으로 처분하려는지 생각해봐야겠죠.

    댓글의 댓글

  • 심심이9x 2019-09-29 추천 0

    도입에는 수십억 드는데, 개량하는데는 수천억원 들지도 모르겠네요...

    댓글 (1)

  • zedoz 2019-09-29 추천 0

    브라질의 국영 해군사업 관리 회사인 EMGEPRON 입찰 공고를 보면, ex-NAe São Paulo 입찰일이 브라질 현지 시간 9월 27일(금) 오전 10시이므로 매각 여부가 나왔을 것 같습니다.

    댓글 (2)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