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전교조 독식 시대

화이트보스 2019. 11. 23. 10:02



전교조 독식 시대

             

입력 2019.11.23 03:15

박세미 사회정책부 기자
박세미 사회정책부 기자
"해외 연수를 갈 거면 자기들끼리 알아서 가지, 왜 이런 공문을 학교에 돌려 나머지 교장들 맥 빠지게 하는지 모르겠네요."

서울의 한 초등학교 A 교장이 허탈하게 웃었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달 14일 서울 관내 초·중·고교에 보낸 '2020년 현장지원형 학교장 역량 강화 해외 연수 추진 계획' 공문을 보냈는데, 신청 대상을 '무자격 교장(내부형 공모 교장) 15명 안팎'에만 한정했다는 것이다. 무자격 교장은 교장 자격증 없이 공모를 통해 임용된 교장이다.

서울시교육청이 보낸 공문을 보면 무자격 교장들은 내년 1월 중 교육 선진국 중 한 곳을 탐방해 '새로운 교장의 역할'을 연구할 예정이다. 교육청은 방문국과 도시, 방문 기간은 연수단 결정에 맡기기로 했고, 교장들의 숙박비, 항공비, 식비 등 1인당 500만원이 넘는 경비는 교육청 예산으로 대겠다고 했다.

AI 기반 써밋 스피드수학

무자격 교장 공모제는 교사 경력 15년 이상이면 공모를 거쳐 교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젊고 능력 있는 교사들에게도 기회를 주자는 취지에서 노무현 정부 때인 2007년 시범 도입돼 2012년부터 본격 시행됐다. 그전에는 경력 20년 이상인 교사가 교감을 거쳐 교장 자격증을 따야만 교장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선 "전교조가 독식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좌파 교육감들이 전교조 출신 평교사를 대거 무자격 교장으로 임용하면서 '전교조 출세 코스'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다. 올해 서울에서 무자격 교장 공모제로 임용된 교장 15명 중 12명이 전교조 출신이다. 대부분 전교조 초등위원장, 수석부지부장, 서울지부 사무처장 등 간부 출신이고, 공모 과정에서 전교조 활동 이력을 강조하는 등 편향 논란을 빚었다.

무자격 교장이라고 해외 교육 선진국에서 연수하지 말란 법은 없다. 관리자가 해외에서 우수한 제도와 정책을 배워오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문제는 국민 세금을 들여 만드는 이런 좋은 기회를 오직 '전교조 출신이 80%인 무자격 교장'들에게만 주려 했다는 것이다. 나랏돈으로 해외 연수를 보내려면 교육 당국이 우수한 교장들을 공정하게 선발해 연수를 보내는 게 상식이지만, 서울시교육청은 그러지 않았다.

더 무서운 건 무자격 교장들이 해외 연수에서 가져올 '출장 선물'이 다. 사회적 맥락과 역사적 배경을 싹둑 자르고 좌파 신념에 맞는 부분만 정교하게 떼어와 '혁신 교육'이라는 미명으로 또 엉뚱한 교육 실험을 할까 봐 두려운 것이다. 좌파 교육계가 모델로 삼는 '혁신학교'도 2000년대 초중반 전교조 교사들이 주축이 된 모임이 핀란드 학교를 탐방하고 나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런 혁신학교가 지금은 학부모들 기피 대상이 됐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1/22/201911220303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