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0.01.08 03:19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4·19혁명 60주년과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으며 숭고한 정신을 되새긴다"고 했다. 또 "올해는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고도 했다. 하지만 올해가 6·25 발발 70주년이라는 것은 말하지 않았다. 북의 침략에 맞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지켜내느라 100만명이 넘는 인명 피해를 낸 6·25는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불행한 사건이다. 6·25를 빼고 대한민국 70년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 그런데도 대통령은 민주화 투쟁과 남북 교류·협력에만 의미를 부여하면서 70주년을 맞는 6·25는 존재하지 않은 역사인 것처럼 무시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수석·보좌관회의도 거르고 신년사를 준비했다고 한다. 실수로 6·25를 누락한 것이 아니라 일부러 뺀 것이다. 그런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3년 연속 6·25 기념식 당일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고, 6·25 때 북에 희생된 호국 영령들을 추모하는 날인 현충일 기념사에서도 3년간 '6·25'와 침략 주체인 '북한'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오히려 6·25 때 북한 편에서 공을 세운 사람을 일제 때 광복군에 속했다는 이유만으로 국군의 뿌리인 것처럼 추켜세웠다. 스웨덴 의회 연설 때는 "남북은 그 어떤 나라도 침략한 적이 없다. 서로를 향해 총부리를 겨눈 슬픈 역사를 가졌을 뿐"이라며 명백한 남침인 6·25가 마치 쌍방과실인 것처럼 호도했다. '평화쇼'를 위해 김정은 눈치를 살피느라 보고 싶은 역사만 보는 정도를 넘어서 역사 자체를 비틀고 있는 셈이다.
이 정권은 교과서에서 대한민국의 번영을 가져온 '자유민주주의'를 없애려 시도하고 "한반도의 유일 합법 정부"란 표현도 삭제했다. 문 대통령이 임명한 대법관들은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을 'A급 민족반역자' '미국 꼭두각시'로 매도하고 "대한민국의 역사는 친일·독재·분단 세력과 자주·민주·통일 세력의 전쟁"이라고 주장한 다큐에 대해 "객관성·공정성·균형성을 지켰다"고 했다. 대통령 직속위원회가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아 주요 독립운동가 초상화를 내걸면서 임정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을 빼버린 일도 있다.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라는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대한민국을 역사 속에서 지우려 했다가 실패한 6·25를 기억조차 하고 싶지 않은 것인가.
문 대통령은 전날 수석·보좌관회의도 거르고 신년사를 준비했다고 한다. 실수로 6·25를 누락한 것이 아니라 일부러 뺀 것이다. 그런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3년 연속 6·25 기념식 당일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고, 6·25 때 북에 희생된 호국 영령들을 추모하는 날인 현충일 기념사에서도 3년간 '6·25'와 침략 주체인 '북한'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오히려 6·25 때 북한 편에서 공을 세운 사람을 일제 때 광복군에 속했다는 이유만으로 국군의 뿌리인 것처럼 추켜세웠다. 스웨덴 의회 연설 때는 "남북은 그 어떤 나라도 침략한 적이 없다. 서로를 향해 총부리를 겨눈 슬픈 역사를 가졌을 뿐"이라며 명백한 남침인 6·25가 마치 쌍방과실인 것처럼 호도했다. '평화쇼'를 위해 김정은 눈치를 살피느라 보고 싶은 역사만 보는 정도를 넘어서 역사 자체를 비틀고 있는 셈이다.
이 정권은 교과서에서 대한민국의 번영을 가져온 '자유민주주의'를 없애려 시도하고 "한반도의 유일 합법 정부"란 표현도 삭제했다. 문 대통령이 임명한 대법관들은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을 'A급 민족반역자' '미국 꼭두각시'로 매도하고 "대한민국의 역사는 친일·독재·분단 세력과 자주·민주·통일 세력의 전쟁"이라고 주장한 다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