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인구증가와 관광객 증가, 이에 따른 과도한 개발행위에 의해 생활쓰레기가 급증하면서 매립장의 조기포화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신규매립장과 신규소각장을 건설하더라도 과도한 쓰레기 배출문제를 개선하지 않는다면 똑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7월 8일부터 8월 13일까지 제주도 내 운영 중인 매립장과 종료된 매립장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였다.
봉개동 매립장은 올해 2월 이미 만적된 상태로 이를 넘어 매립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는 외부반입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현재 매립장 내 위치한 음식물자원화시설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슬러지를 매립하고 있다.
봉개동 매립처리량은 2014년 16만8487.5t, 2015년 19만7340t, 2016년 18만3383.5t, 2017년 14만8817.7t, 2018년 27만8682.3t이다.
원래 소각장에 반입해 소각처리해야 하지만 현재 소각장이 포화 상태인데다 동복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소각장이 연말에 완전 가동이 가능한 상황이어서 당분간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관리 조례 시행규칙 제3조 3항에2) 따라 부득이 매립을 진행하겠다는 것이 제주도의 입장이다.
현재 수분량이 많아 매립토로 매립을 그대로 진행할 수 없어 톱밥과 함께 섞어 매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침출수와 부패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상당량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또한 재활용선별장에서 발생하는 잔재물과 협잡물(재활용 선별과정에서 재활용을 할 수 없는 폐기물)에 대한 매립도 진행되고 있다.
매립종료공구 위에 대규모 압축쓰레기를 쌓아둔 상태로 매립종료에 따른 후속조치를 이행하지 못하는 부분도 문제로 지적된다. 매립종료기한은 오는 10월31일까지다.
환경운동연합은 “매립장 운영평가 사실상 매립이 종료된 상태이지만 당분간 동복매립장으로 반입이 어려운 재활용 협잡물과 유기성폐기물(음식물슬러지 등)이 반입돼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미 매립이 포화된 상태에서 추가로 매립이 진행된다는 점이고 이로 인해서 매립장 종료에 따른 침출수, 메탄가스 등의 관리에도 상당한 부하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실제 2014년부터 18년까지 침출수 처리 현황과 침출수 유출 사고현황만 보더라도 이에 대한 문제가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압축쓰레기가 6만5000t 이상 쌓여있는 상태로 방치된 종료공구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압축쓰레기 침출수와 악취문제를 포함해 종료공구에 대한 후속조치를 하지 못함으로 인해 매립장 침출수 등의 부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생활쓰레기 문제가 매립장의 조기포화 문제를 넘어 매립장 관리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게 만들고 있다”며 “더 큰 문제는 매립을 추가로 하기 어려운 상태에 다다르면 결과적으로 동복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매립장으로 반입돼 문제가 전이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대한 대책이 부재하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은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각장의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한데 제주도에 적치된 압축쓰레기의 양이 이미 8만t을 넘어선 상태인데다 해양쓰레기, 음식물슬러지, 하수슬러지 등을 소각해야 하는 상황이라 동복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소각장만으로는 현재의 소각량을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도는 북부와 남부의 소각장을 7년 더 연장하고 시설을 재정비해 가동한다는 계획을 내놓고 있지만 주민반발이 예상되고 있어 쓰레기 대란이 재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매립장 조사를 통해 신규매립장의 건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립에 의한 문제가 발생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현재 제주도는 신규매립장과 신규소각장 건설로 문제가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현재의 과도한 쓰레기 배출문제를 개선하지 않는다면 결과 적으로 신규매립장에서도 똑같은 문제가 반복되는 악순환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환경수용력을 감안한 적정한 수요관리정책 △1회용품 사용제한 및 사업장폐기물 의무강화 △재활용시설의 현대화 및 재활용 활성화 추진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