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 별세…향년 100세
입력 2020.07.11 00:14 | 수정 2020.07.11 01:44
6.25 전투서 백척간두의 조국 구한 영웅
32세에 대한민국 최초의 4성 장군에 올라
역대 주한미군사령관들이 가장 존경한 한국 군인
백선엽 장군
6·25 전쟁의 영웅이자 창군(創軍) 원로인 백선엽(100) 예비역 대장이 10일 오후 11시 별세했다. 백 장군은 최근 지병으로 건강이 많이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백 장군 측 관계자는 “최근엔 사람을 잘 알아보지 못했고, 6·25 70주년도 잘 모르시는 것 같았다”고 했다.
◇”내가 앞장설 테니, 내가 물러나면 나를 쏴라”
1920년 11월23일 평안남도 강서군 덕흥리에서 태어난 고인(故人)은 어린 시절을 평양에서 지낸 뒤 평양사범학교를 나왔고 1941년 만주군관학교를 졸업했다. 일본군 간도특설대에 배치됐던 백 장군은 해방 직후인 1945년 평양에 돌아왔고, 독립운동가이자 조선일보 사장이었던 조만식 선생의 비서로 일하다 김일성이 권력을 잡자 그해 12월 월남했다. 월남 직후 군사영어학교에 들어간 백 장군은 1946년 국군의 전신인 국방경비대에 입대해 부산 제5연대 중대장을 맡았다. 창군 원년 멤버가 된 것이다. 6·25전쟁 직전인 1950년 4월 대령으로 제1사단장이 되어 개성 지역을 담당했고, 전쟁 발발 당시 고급 간부 훈련을 받고 있었다.
고인은 1950년 6월25일 북한의 남침에 백척간두의 위기였던 조국을 구했다. 경북 칠곡의 낙동강 전선 다부동 전투에서 그는 패퇴 직전인 아군에게 “내가 앞장설 테니, 내가 물러나면 나를 쏴라”고 말하며 인민군이 점령한 고지로 뛰어올라갔고 전세를 뒤집었다. 많은 6·25 전사가들은 이 전투에서 패했다면 지금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서른 두살에 한국 최초의 4성 장군에
1951년 3월 서울을 탈환한 국군 1사단 사령부로 도쿄 유엔군 맥아더 총사령관이 예고 없이 방문해 백선엽 사단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백선엽 장군 제공
백 장군이 이끄는 1사단은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뒤집히자 평양 진군의 선봉에 섰다. 1951년 중공군의 춘계 공세를 막아내 동부 전선 붕괴를 막아내기도 했다. 1952년 7월 백 장군은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고, 1953년 1월 전공을 인정받아 한국군 최초의 4성 장군이 되었다. 정전 회담 때는 한국군 대표로 참가했다. 백 장군은 1959년 합참의장을 지낸 뒤 1960년 5월31일 예편했다. 태극무공훈장을 두 차례나 받았다.
백 장군은 생전 본지 인터뷰에서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으로 국군 장병과 함께 북한의 수도 평양에 첫발을 들여놨던 1950년 10월 19일을 꼽았다. 백 장군은 “우리는 6·25전쟁이 터진 뒤 다부동에서 김일성의 공세를 막아낸 뒤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를 뒤집고 북진에 나섰다”며 “그때 정말 신났다. 공산당을 물리치고 곧 통일이 될 거 같았다”고 했다. 1952년 12월 아이젠하워 대통령 당선인의 방한 때 한국군 증강 필요성을 브리핑해 참모총장 재임 당시 육군 10개 사단을 20개 사단으로 확대한 일화도 있다. 1948년 정부 수립 직후 군 내부 남로당 숙청 분위기 속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 구명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대 주한미군 사령관이 가장 존경한 韓 군인
2018년 11월 21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주한미군이 주관하는 백선엽 예비역 대장 생일파티가 열렸다. 이 행사에는 정경두 국방부장관과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박한기 합참의장, 해리해리스 주한미국대사 등이 참석했다. /남강호 기자
예편 직후 주중(당시 대만) 대사로 부임한 백 장군은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프랑스·캐나다 대사 등을 지낸 뒤 1969년 교통부장관에 임명됐다. 하지만 일체의 정치 활동은 하지 않았다. 6·25 전쟁 초기 한국군을 ‘민병대’ 취급했던 미군도 백 장군에게만큼은 존경심을 표했다. 역대 주한미군사령관들이 백 장군을 향해 ‘존경하는 백선엽 장군’이라는 경칭을 붙이는 게 전통이 됐다. 2013년엔 명예 미8군 사령관에 임명됐고, 2016년엔 한국인 최초 로 미8군사령관 이·취임식에 초대됐다.
좋아하는 고사성어는 ‘상선약수(上善若水·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기동력 있게, 겸손하게 살고 싶다는 뜻”이라고 백 장군은 설명한 바 있다. 유족으로는 부인 노인숙씨, 아들 백남혁·백남흥씨, 딸 백남희·백남순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30호실, 발인은 15일 오전 7시다. 장지는 국립대전현충원.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다부동 전투 승리에 韓美동맹까지 일군 위대한 장수, 백선엽유광종 중국인문경영연구소장[사설] 백선엽 장군이 현충원 못 간다면 더 이상 대한민국 아니다
[백선엽과 김형석, 文武 100년의 대화] "내 친척이 김일성 젖먹여… 두 아들이 공산당에 죽자 통탄"진행·정리=장일현 기자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제휴안내구독신청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
[터치! 코리아] 이젠 '당신 탓'이라 할지 모른다
2020年07月11日
-
서울시 "박원순 성추행 의혹 관련 가짜사진 유포" 경찰에 고소
2020年07月10日
-
月 2만원대 암보험 인기! 암진단비 '5천만원'..
AD(암보험 비교가입센터)
-
눈에띄는 피부 잡티,기미 7일만에 지워져..
AD(고혼진)
-
[사설] 22번째 부동산 대책, 집 공급 확대 없는 세금 폭탄
2020年07月11日
-
고민정, “하루종일 마음 한켠 쓰라려”
2020年07月10日
-
[김광일의 입] 박원순, 호숫가에 돌을 던졌는가
2020年07月10日
-
박원순 장례 '특별시장·5일장 반대' 청원 20만 돌파...답변 기준 넘겨
2020年07月10日
-
100만원 있으면 '이 종목' 사서 묻어놔라 40배...
AD(코리아경제티비)
-
남편 입에서 시궁창 냄새나... 이혼위기였던 우리 부부를 구해준 oo는 무엇인가?
AD(momo-selection)
100자평
윤종한(yunjh****)모바일에서 작성2020.07.1108:56:35신고배은망덕한 대한민국 정부. 대국민장으로 치르고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해야...
권혁배(g****)모바일에서 작성2020.07.1108:56:34신고구국영웅의 죽음과 성추행범의 죽음이 동일시되는 나라가 정상적인 나라가? 구국영웅이신 백선엽장군님의 영전에 머리숙여 감사를 드립니다. 이제 나라 걱정은 그만하시고 편히 영면하시기 바랍니다. 충성!!!
신용섭(bbis****)모바일에서 작성2020.07.1108:55:43신고오늘의 한국이 있게하신 장군님! 감사드립니다. 영면하세요!!!
정진태(jjt****)모바일에서 작성2020.07.1108:54:57신고이 시대에 존경받는 어른이시여 영면하소서 ㆍ이 어른이 현충원에 안장 못된다고? 그럼 전체 전역 군장병들이 들고 일어나 맨손으로라도 모셔야지ㆍㆍ 그람서 전 현직 국회의원을 안장하겠다고? 가증한것들ㆍㆍㆍ
이항규(lhg2****)2020.07.1108:53:41신고국립현충원에 안장된 그 누군가의 묘를 파내고 백선엽 장군을 모셔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 입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1/2020071100041.html
'아픈역사에서 배운다 > 6,25전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후 2년 만에 제대로 모신 ‘6·25 영웅’ 백선엽 장군 (0) | 2022.06.27 |
---|---|
백선엽 장군의 수의는 ‘6·25 당시 전투복’ (0) | 2020.07.14 |
영웅의 유해를 대하는 법 (0) | 2020.07.01 |
“6·25 전쟁은 북한 남침” 구소련 기밀문서 공개 (0) | 2020.06.28 |
되돌아보는 6.25 수수께끼] "서울만 점령하면 인민봉기" 예상 빗나가 (0) | 2020.06.25 |